View : 5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나미-
dc.creator김나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68-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음악 창작 교육은 음악적 앎과 느낌을 자기 특유의 방식으로 다루는 창작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창작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나 음악 창작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방법 및 자료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어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음악 창작은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음악과에서 아동의 창작 능력 신장을 위한 동시 활용 음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창작 능력 신장을 위해서 음악적 표현에 흥미를 갖고 접근할 수 있는 음악 재료를 탐색한 결과, 초등학교 아동들이 친숙하고 흥미 있게 접하는 동시를 활용하였다. 동시는 반복, 운율, 리듬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음악적 요소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창작을 곡을 만드는 것만이 아닌 곡을 만드는 과정의 여러 경험까지 포함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창작 능력은 음악을 만드는 기본 요소인 가사 창작, 리듬 창작, 가락 창작의 세 가지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서울 강남구 D초등학교 4학년 아동 44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24차시를 적용하여 실제 음악 창작 능력이 향상되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Tyler의 교육과정 설계 모형에 기초하여 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요구조사, 교육 목표 설정, 학습 경험의 선정, 학습 경험의 조직, 프로그램 실제, 프로그램 평가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고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현행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 내용을 분석하고 학습자, 사회, 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음악 창작 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음악 창작 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목표를 “동시를 활용한 음악 창작 활동을 통하여 아동의 창작 능력을 신장시키고, 음악에 대한 흥미와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한다.”로 설정하였고, 내용 요소는 창작에 필요한 기본 요소인 가사 창작, 리듬 창작, 가락 창작으로 선정하였다. 수업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개발한 ‘동시 활용 음악 프로그램 수업 모형’에 의해서 진행되었고, 1주에 2~3차시씩 12주 동안 모두 24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게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음악 창작 능력을 가사 창작, 리듬 창작, 가락 창작으로 나누어 5명의 채점자가 채점한 결과를 SPSS 12.0 for Window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정의적인 변화와 음악 창작 능력 신장의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창작 학습지, 창작품 연주 녹음자료, 자기 평가 및 상호 평가를 수집한 창작포트폴리오와 연구자 관찰 및 교사 저널로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 결과, 동시 활용 음악 프로그램은 유의수준 .01에서 아동의 음악 창작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요소별로 살펴보면 가사 창작, 리듬 창작, 가락 창작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사 창작 사전․사후 검사 결과, 동시의 주제를 뚜렷하게 알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적절하게 가사를 창작하는 아동이 증가했다. 리듬 창작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박자에 알맞게 리듬을 구성하고 가사의 느낌을 살려서 리듬 창작을 하는 아동이 증가했다. 가락 창작의 사전 검사․사후 검사 결과, 가사와 리듬에 어울리게 창의적으로 가락 창작하고, 정확히 기보를 하는 아동들이 증가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시 활용 음악 프로그램이 음악 창작 능력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창작포트폴리오에 따르면 아동의 음악 창작 능력의 신장뿐만 아니라 음악 개념의 이해가 증진되고 기보할 수 있는 능력도 향상되며 음악에 대해서 자신감과 흥미를 갖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동시의 연관성을 고려하여서 동시를 활용한 음악 창작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다양한 활동과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음악 창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음악 창작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채점 기준 표 및 평정 표, 평가의 예를 제시하여 현장의 교사들에게 하나의 내용 체계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4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실시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는 동시를 교과서에 제시된 것만을 활용했고, 기보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음악 창작 능력 향상에 대한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에 다양한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합한 기준에 맞는 다양한 동시를 제시하고 기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을 보완한 결과를 탐구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aim of the education of creating music is to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helping them to handle musical knowledge and feelings in their own ways. Even though the teaching of creating music is emphasized in the 7th music curriculum, it is still regarded as a difficult and uncomfortable task not only for students and but also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sic teaching programs that use children poems for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ir music creativity. In this study, the 'creating music' means not only the product of creating but also the process of the activity. And the creating activity implies writing poems or text, creating rhythms and melodies. I applied 24 lesson plans to 4th-grade students (44 people) and tested the effect of the lessons. This music teaching programs were developed based on Tyler's model of curriculum design. The following i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survey on objectives, developing program objectives,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s, applying programs, and evalu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gram objectives, I analyzed the 7th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surveyed the opinion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examined what they expected about the teaching of creating music. In addition, I designed 24 music-teaching plans in which children poems were effectively used.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effect, and t-test was used. I collected qualitative data such as pieces and recordings of students' composition works, self-evaluation, mutual evaluation, journals of teachers, and my observation records. I analyzed the data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change of children and the process of their creativity development. The result of t-test supports that the children in this stud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erms of poem writing, rhythm making, and melody creating.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meaningful idea and teaching materials about music teaching program that uses children poems. In addition, some practical lesson plans, evaluation instruments, and teaching examples might be useful for music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needs further researches becaus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s was conducted only to one class (4th graders) and only for a short term. Thus, the effect of teaching programs of creating music that uses children poems needs to be examined by applying to more grades' students and with more various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ⅳ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음악 창작 4 B. 동시 31 C. 선행연구 38 Ⅲ. 연구 방법 44 A. 연구 대상 44 B. 연구 설계 46 C. 연구 절차 48 D. 연구 도구 49 E. 자료 분석 53 Ⅳ. 프로그램 실제 및 결과 54 A. 프로그램 실제 54 B. 프로그램 결과 93 Ⅴ. 결론 및 제언 108 A. 결론 108 B. 제언 111 참 고 문 헌 113 부 록 목 차 119 ABSTRACT 1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148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아동의 창작 능력 신장을 위한 동시 활용 음악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Study on Music Teaching Programs Using Children Poems for Improving Their Creativity-
dc.creator.othernameKim, Nami-
dc.format.pagevi, 1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