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윤-
dc.creator김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37-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정보화·세계화 시대에 맞춰 사회과 교육은 급변하는 사회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탐구력, 의사결정력과 같은 고급 사고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사회 교과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발하고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활동 과제로서 탐구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탐구활동은 각종 자료와 함께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발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고차적 사고력 신장과 자발적이고 다양한 활동 유도라는 기본적 관점 아래 중학교 「사회1」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활동이 학생들의 고급 사고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심화과정의 발문은 기본과정에 속하는 탐구활동의 발문과 사고 수준에서 차별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탐구활동은 어떤 유형의 활동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 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취지에 따라 개발된 중학교 「사회1」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발문유형 및 활동유형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탐구활동 속에 포함되어 있는 발문을 ‘Blosser의 발문 범주 체계’에 따라 인지․기억,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 평가적 사고로 분류하였다. 교과서와 단원별로 주로 어떤 사고유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제 6차 교육과정의 발문과 비교하였다. 또한 기본과정에 포함되는 탐구활동의 발문에 비해 심화과정의 발문이 사고력 수준과 관련하여 심화되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탐구활동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는지 활동유형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사실 확인형, 기능 연습형, 창의성 계발형, 맥락형 활동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 유형에 따른 탐구활동의 발문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마다 아주 조금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폐쇄적 발문의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높은 수준의 사고를 자극하는 개연적 발문의 형태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문수준이 지식의 단순한 기억 및 재생이나 제한된 수준의 응답을 요구하는 것에 머물러 다양한 사고의 기회를 주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둘째, 심화과정을 기본과정의 탐구활동의 발문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는 기본과정에 비해 폐쇄적 발문은 줄어든 반면 개연적 발문은 약간 증가하였다. 높은 수준의 사고를 요하는 개연적 발문이 기본과정 보다 어느 정도 증가는 하였으나 증가 정도가 차별성이 있다고 하기에는 미미하여 기본과정과 사고 수준에서 차별성 있는 발문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탐구활동의 활동유형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기능 연습형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사실 확인형, 창의성 계발형, 맥락형 순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활동유형이 기능 연습형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어 탐구활동이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의 유도를 위해서는 어느 한 유형으로 편중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발문구성이 필요하다. 특히 심화과정은 기본과정을 성취한 학습자들의 창의적 사고와 상상력을 높이기 위해 좀 더 고급 사고력을 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으로 기본과정과는 발문 수준에 있어 차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업목표와 잘 결부되어 있으며 뚜렷한 목적을 지닌 구조화된 발문 구성을 위한 준거의 개발이 필요하다. 탐구활동이나 심화과정의 발문의 구성은 하나의 발문이 아니라 일련의 발문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그들 사이에 유기적인 연계가 이루어져야 수업목표에 부합된 학생들의 사고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수자는 교과서의 발문을 맥락적 상황에 따라 적절히 재구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며, 따라서 교수자들에게 발문의 중요성 및 활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 발문의 사고 유형에 따른 분석만 하여 탐구활동의 발문 구성에 있어 사고력 신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사고 수준에 따른 발문의 적절한 배분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그러나 탐구활동이 주로 어떤 사고를 유도하는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 중학교 사회 교과서 발문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리고 앞으로 탐구활동의 발문이 학습자들의 사고 증진에 효과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 사고유형에 따른 발문의 적절한 배분 및 구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social studies textbook based o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power and self-directed,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and globaliz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ing measures by examining the diversity of question types according to thinking patterns, relating inqui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1 with thinking power and by examining the diversity of activity patterns: whether inquiry activities lead students to various activities. The analysis of questions according to thinking patterns was based on Blosser’s Question Category System, and the diversity of activity patterns was analyzed by reorganizing analysis form based on other studies’ pattern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in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inking patterns indicated that there was a large potion of closed questions while there was a very small portion of open questions which stimulate high level of think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questions are only requesting answers with simple memorization and reproduction of knowledge or limited level of answers, which doesn’t give students enough opportunities of various thinking. Second, when the inquiry activities of advanced course were compared to those of basic course, the number of open questions requesting higher level of thinking increased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rses is so little that development of questions which can be discriminated from basic course in the level of thinking is required. Third, the analysis of activity patterns of inquiry activities indicated that skill-practicing patterns hold a majority. Therefore, it doesn’t seem that inquiry activities lead students’ various activities. In this respect, the development of various patterns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made. First, in order to induce students’ various thinking, various patterns of questions without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one pattern should be organized. Especially, advanced course, as one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more advanced thinking, should be discriminated from basic course in the level of questions. Second, standards for structured questions which are connected with lesson objectives withi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which have distinctive goals should be developed. Third, in an actual teaching-learning situation, a teacher should be able to appropriately reorganize and use questions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training for this ability is required This study lacks in investigating organic connection between questions, as well as appropriate distribution and organization of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inking level. However,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present state of questions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which is what kind of thinking patterns the questions of inquiry activities were induc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ⅳ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자료와 방법 3 II. 이론적 배경 6 A. 사회과 교육에서 추구하는 사고력 교육 6 B. 사고력과 발문 10 III. 탐구활동의 사고유형 분석 22 A. 분석기준 22 B. 탐구활동에 제시된 발문의 사고유형 분석 24 IV. 탐구활동의 활동유형 분석 41 A. 분석 기준 41 B. 탐구활동의 활동유형 분석 43 V.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51 ABSTRACT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44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사회1』교과서 탐구활동의 사고유형 및 활동유형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inking Patterns and Activity Patterns of Inquiry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Textbook-
dc.creator.othernameKim, Ji-yun-
dc.format.pagev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