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담당자 인식조사

Title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담당자 인식조사
Authors
박혜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lso, it is to find out the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ed to improve those programs' opera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ighty-nin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however, 128 questionnaires from fifty-one centers were analy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sed by compu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or by calculat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in order to compare programs' content, based on the program operating peri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not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ir objectives. 2. The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not enough to meet the needs of demand and, as a result, center teachers appealed for governmental and financial supports in answer for the ongoing difficulty. 3.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ed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of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not reflected on the program operation. 4. Program cont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y the period of program ope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objectives and current status of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 reexamined and, moreover, enough programs be supplied to meet the actual demands. And, guides or plans be made in order for programs' effective operating factors to be reflected on their actual operating. The study and training be carried out for center teachers to learn newly developed programs and exchange their empirical knowledge.;우리나라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는 주로 학령전기 유아특수교육 대상 아동들과 초등학교에서의 고등학교 학령기 장애아동들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비하여 장애청소년 및 성인에 대한 관심은 간과되었다. 그러나 21세기 교육의 총체적 원형으로 불리며, ‘요람에서 무덤까지’ 배움을 주장하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며,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교육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들에게 새로운 교육적 비젼을 제시하고, 성인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부각시켰다. 최근 국내외의 학령기 이후 장애성인인들에 대한 추후 조사결과와 장애성인의 삶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들은 그들의 삶이 낙관적이지 못함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 역시 우리나라 특수교육분야에 전환교육과 함께 학령기 이후의 평생교육과 성인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장애성인 교육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직업재활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장애인복지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①프로그램 내용; ②프로그램 운영방법과 실제운영; ③프로그램 연계와 협력; ④프로그램의 이용중단; ⑤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과 프로그램 담당자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있는 89개 장애인복지관의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51개 복지관에서 13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무응답이 지나치게 많은 질문지 6부를 제외한 총 128부의 질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문헌연구와 현장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질문지가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들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배경변인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실태 비교를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양한 영역들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개인적 책임감과 관계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자주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직업영역의 활동으로는 조립․포장 단순작업과 컴퓨터 활동이 많았으며, 여가영역에서는 영화관 이용과 공연관람, 노래방 이용과 컴퓨터 활동이 많이 나타났다.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은 주로 이용자가 프로그램 이용신청을 한 후, 정원에 결원이 생길 경우 대기순서에 따라 이용하는 것이었으며, 언제든지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등록요건은 각 프로그램마다 다양하며, 프로그램 기준에 따른 요건, 장애유형, 연령, 장애정도에 따라 등록제한을 두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담당자가 자체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계획시, 프로그램 담당자 외 참여자는 주로 복지관내 전문인력이었으며, 이용자 혹은 이용자 가족의 참여는 제한적이었다.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은 주로 복지관 내 프로그램실에서 이루어졌으며, 교육방법은 소그룹 공동학습과 개별지도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작성하는 문서는 연간계획서와 평가서였으며, 개별계획서로는 개별재활계획서(IWRP)가 주로 작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주로 이용자의 만족도와 목표성취결과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은 사업체, 회사 등과 연계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프로그램 진행시 주로 협력하는 전문가는 사회복지사와 직업재활전문가였으며, 그 외 전문가들과의 협력은 제한적이었다. 발달장애성인들이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주된 이유는 이용제한기간이나 고용으로 나타났다. 많은 프로그램들이 1년에서 3년까지 이용제한기간을 두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용기간제한으로 인해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경우, 이용자들은 복지관 외의 다른 성인프로그램이나 보호작업장 등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복지관의 성인프로그램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담당자들은 행․재정적 자원 미흡을 프로그램 운영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하였다. 2.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내용을 프로그램 운영기간에 따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3년 미만의 프로그램에 비하여 3년 이상의 프로그램이 고용 영역과 가정과 가족 영역의 내용을 유의하게 자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추구와 지역사회 참여 영역, 정서적-신체적 건강 영역, 개인적 책임감과 관계 영역의 실행은 운영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담당자의 인식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담당자들은 프로그램 개선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프로그램 담당자들은 정부의 재정적 지원 확대,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교수내용에 관한 연수기회 마련, 프로그램 교수방법에 관한 연수기회 마련 순으로 높은 개선과 관련된 요구를 나타내었다. 반면 프로그램에 이용자 참여, 프로그램에서 주거에 대한 정보 포함, 프로그램에 보호자 참여에 관한 항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대부분이 직업재활사업에 속하며, 성인기 고용을 중점영역으로 다루고 있음에도 고용영역보다 개인적 책임감과 관계 영역에 관한 내용을 더 자주 실행하고 있음에 따라, 프로그램의 목적과 실제 실행 내용이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목적과 실제 실행 내용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프로그램들이 이용제한기한을 두었는데, 이용제한기한에 따라 프로그램 이용을 중단한 이용자들이 다른 프로그램으로 옮기는 경우가 빈번한 것은 프로그램의 공급이 이용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의 수요파악과 함께 이에 따른 충분한 프로그램 공급이 필요할 것이다. 프로그램 협력과 자연적 환경에서의 프로그램 운영 등에 관한 프로그램 담당자들의 인식과 실제 프로그램의 실행에는 차이가 있는 실태를 바탕으로 담당자들의 인식이 프로그램 운영에 현실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지침이나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담당자들은 이용자와 보호자의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 프로그램에서도 이용자와 보호자는 프로그램 계획에 참여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프로그램 이용자와 보호자의 참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인프로그램의 내용이 프로그램의 운영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시작하는 경우, 프로그램 담당자 연수를 통하여 기존 프로그램의 경험적 지식을 공유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