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렬-
dc.contributor.author장문영-
dc.creator장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9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 만족도와 귀인성향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파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경로모형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대학생들의 학과(학부) 만족정도와 귀인성향은 진로결정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가? 가설 1. 학과(학부) 만족도가 높은 대학생들은 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에 비해 진로결정수준이 높을 것이다. 가설 2. 내적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은 낮은 대학생들에 비해 진로결정수준이 높을 것이다. 가설 3. 학과(학부) 만족도가 높은 대학생들은 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에 비해 내적귀인성향이 높을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학과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하혜숙(2000)이 제작한 학과(학부) 만족도 질문지를 사용 하였고, 귀인양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Levenson(1981)이 개발한 것을 안귀덕(1986)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Osipow 등(1980)이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 Scale: CDS)를 고향자 (1992)가 번안한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개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기술 통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SPSS 12.0을 사용하였고, 이론적·논리적 근거 하에 설정된 연구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은 AMOS 4.0을 사용하였으며 추정 방법으로는 기본방법인 최대 우도법(maximum likelihood) 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학부) 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은 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에 비해 진로 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학부) 만족도의 내용을 좀 더 구체화시켜 살펴보기 위해 학과(학부) 만족도를 내부만족과 외부만족으로 나누었다. 이때 내부만족이라 함은 전공학과에 대한 흥미와 교과 내용에 대한 만족과 같이 내재적 요인에 의한 만족을 의미하고 외부만족은 흥미 이외의 요인 즉, 교수-학생 간의 관계에 대한 만족, 학과를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 등 외재적 요인에 의한 만족을 지칭한다. 연구결과 학과(학부) 만족도의 내용 중에서도 내부만족(학과에 대한 흥미, 교과 내용 등에 대한 만족)이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외부만족(학교만족, 교수-학생 간의 관계 만족, 사회적 인식만족)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귀인성향은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외적귀인성향은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과(학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대학생들은 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에 비해 내적귀인성향이 높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majors of their selection, attributional-style,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Path Analysis was used as a tool for such analysis. Subjects and hypothesi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Subject of the study: What ar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majors of their selection, attributional-style,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Hypothesis 1.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majors will be higher than those who have low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s. Hypothesis 2.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internal attributional-style will be higher than those who have low level of internal attributional-style. Hypothesis 3. The level of internal attributional-style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s will be higher than those who have low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s. Research participants were 38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Questionnaire of Ha Hye-Sook (2000) was used for gaug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s; questionnaire of Levenson (1981) interpreted by Ahn Gui-Duck (1986) for attributional style; and Career Decision Scale (CDS) of Ospiow et al (1980) interpreted by Koh Hyang-Ja (1992) for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were more satisfactory to their majors proved to be higher than those who had lower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s. For the purpose of closer investiga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s was classified into two concepts - internal satisfaction and external satisfaction. Internal satisfaction means satisfaction depending on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interests in majors and satisfaction on the contents of learning. External satisfaction refers to motivation other than interests, i.e. satisfac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ult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on social recognition on the majors, and satisfaction on the college itself. Among the contents of the level of major satisfac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internal satisfaction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positive influences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On the other hand, external satisfaction did not influence meaningfully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condly, internal attributional-styl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 its influenc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External attributional-style, however, had statically meaningful influences in negative direction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Lastly, the internal attributional-style of the college students who were more satisfactory to their major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ose who were less satisfactory to their maj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과(학부) 만족 = 6 1. 학과(학부)의 개념 = 6 2. 학과 선택 현황 = 8 3. 학과(학과) 만족도 구성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 9 4. 학과(학부) 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 10 B. 귀인성향 = 11 1. 귀인의 개념과 이론들 = 11 2. 귀인성향과 대학생활 적응 = 14 3. 귀인성향과 진로결정수준 = 15 C. 진로결정수준 = 17 1. 진로결정수준의 개념 = 17 2. 진로결정수준과 관련된 변인들 = 18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측정도구 = 21 1. 학과(학부) 만족도 질문지 = 21 2. 귀인성향 측정 질문지 = 22 3. 진로결정검사 = 23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4 E. 연구 모형 = 25 Ⅳ. 연구결과 = 26 A. 기술통계 결과 = 26 B. 경로분석 결과 = 27 1. 학과만족도와 귀인성향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27 2. 학과만족도와 귀인성향의 관련성 = 29 C. 남녀집단 결과 = 32 1. 남녀집단의 기술통계 결과 = 32 2. 남녀집단의 경로분석 결과 = 33 Ⅴ. 논의 = 38 참고 문헌 = 44 부록 설문지 = 51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33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ir majors, attributional style, and career decision level-
dc.creator.othernameChang, Moon-young-
dc.format.pageⅸ,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