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장미숙-
dc.creator장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93-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 whether communication strategy teaching is possible, and to find the effect of how communication strategy training influences Korean learners' speaking ability. Furthermore, to propose ways of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education, by checking if the Korean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y competence improves in real language usage conditions, through communication strategy training. Throughout the procedure there are many different stages of interlanguage, until they reach perfection of the targeted language. Learners of second languages or foreign languages encounter many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of the targeted language's grammar, vocabulary,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earn language skills for their communic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ortant for learners to develop communication strategies in order to find solutions for communication difficulties on their ow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First, throughout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how communication strategy training influences speaking competence, the experimental group of learners' interactive, communication strategy, and task performance competence improved meaningfully. This result shows that communication strategy ability competence is not formed automatically, but is developed through training. Thus,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be taught. Even though the interactive competence of the controlled group of learners improved, the experimental group of learners were able to improve much more. This shows that interactive competence is formed automatically, but can be improved even more through training. Second, through the analysis between mutual spe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strategy competence of the controlled group, the higher their improvement wa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mutual relations between the interactive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how high the level of communication strateg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learners was, the higher their interactive competence was able to improve. Also,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cation strategy competence and interactive competence, the higher the level of task performance competence became.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have interactive features, based on the target language the experimental group of learners used to solve the problem, are desirable. Finally, through an analysis of the criteria of the speaking ability, which has the biggest influences over the task performanc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speaking, the biggest factor in task performance competence improvement were found to be interactive and communication strategy competence. This shows that the Korean learners did not receive proper evaluations for their speaking ability, as they had been evaluated on the points of grammar, vocabulary, pronunciation, or fluency and accurac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nd experimental experience, the following can be proposed. First, the communication strategy should be taught more actively because it is not formed automatically, but developed through training. Second, communication strategy training should consist of activities that can improve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should be chosen considering the target language and strategies which have interactive features. Thirdly, though the learners may use these strategies, the teacher's role is to guide them in using them, therefore the teacher must first understand the value and effect of communication strategy training, in order that they can give encouragement to the learners. Fourth, the interactive and communication strategy competence, is proved to be a major factor influencing higher task performance, the ultimate goal of speak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actual realm of Korean education.;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전략 훈련으로 실제 언어 사용 상황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전략 능력이 증가되는지 확인함으로써, 그동안 쟁점이 되어온 의사소통전략 교수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살피고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에 있다. 나아가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전략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언어나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목표어에 완전히 도달할 때까지 여러 단계의 중간언어 과정을 거치는 동안 문법, 어휘 등의 목표어의 지식 부족으로 끊임없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처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 기술을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그에 대한 해결책을 스스로 찾을 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의사소통전략을 계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실제 의사소통전략이 의사소통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를 미치고, 의사소통전략을 교실 내에서 가르쳐야 하는지, 과연 의사소통전략이 교수할 수 있는 분야인지를 밝히려는 취지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전략 훈련을 실시함으로 말하기 수행 능력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말하기 수행 능력 간에는 서로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말하기의 궁극적 목표인 문제해결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말하기 능력범주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 문제로 삼았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은 13-16세의 영어권, 일어권 학습자로 사전 말하기 능력 성취도의 지그재그에 의한 대응집단구성으로 실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에는 평상시와 같이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에는 목표어에 근거하며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전략인 풀어 말하기, 도움요청, 분명히 말하기전략을 중심으로 의사소통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일주일에 한 번씩 삼 개월에 걸쳐 공시적, 통합적, 장기 훈련 형태로 실시되었으며 말하기 능력 평가를 위해 고안된 과제는 의사결정 과제와 정보전달 과제이며 말하기 궁극적 목표인 문제해결을 하도록 설계하였다.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미리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과제 수행한 내용을 녹음 전사 후 담화분석을 통해 평가했다. 연구 문제에 따라 세 가지의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상호작용 능력, 의사소통전략 능력, 문제해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의사소통전략 능력은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훈련에 의해서 계발되어지는 것으로 전략은 교수되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제집단의 상호작용 능력도 상승하나 실험집단의 향상 폭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나 상호작용 능력은 자동 형성되기는 하나 훈련을 통해 더욱 계발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말하기 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은 의사소통전략 능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 능력이 상승되나 상호작용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실험집단은 의사소통전략 능력이 높을수록 상호작용 능력이 상승하고 의사소통전략 능력과 상호작용 능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 능력도 상승하여, 실험집단이 문제해결을 위해 주로 사용한 목표어에 근거하고 상호작용적 특성을 가진 의사소통전략들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말하기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말하기 능력 범주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능력의 가장 큰 변인은 상호작용 능력과 의사소통전략 능력인 것으로 나타나 문법, 어휘, 발음 혹은 유창성, 정확성 위주로 평가 받아온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이 적절하게 평가받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와 연구의 경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의사소통전략은 자동으로 형성되지 않고 훈련을 통해 계발되어지기 때문에 그 가치와 효과를 생각할 때 적극적으로 교수하여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전략 훈련은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수할 의사소통전략은 목표어에 근거하고 상호작용적 특성을 가진 전략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셋째, 전략 사용의 주체는 학습자이지만 그러한 전략을 쓰도록 유도하고 일깨워 주는 것은 교사의 역할로서 의사소통전략 훈련에 있어서 교사가 먼저 그 교육적 가치와 효과를 인식하고 학습자를 적극 격려해야 한다. 넷째, 말하기의 궁극적 목표인 과제수행력에 가장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나타난 상호작용 능력과 의사소통전략 능력이 실제 한국어 현장에서도 평가 범주로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향 = 1 B. 선행연구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의사소통전략의 개념 = 6 B. 의사소통전략 유형 분류 = 9 C. 의사소통전략 훈련 = 17 1. 전략 훈련의 유형 = 18 2. 전략 훈련의 절차 = 20 3. 의사소통전략 훈련 활동 = 22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문제 = 25 B. 연구대상 = 26 C. 연구 절차 = 26 1. 예비 조사: 의사소통전략에 대한 한국어 교사 인식조사 = 26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 = 34 3. 실험집단에 교수한 의사소통전략 훈련 = 34 4. 평가자 훈련 = 41 5. 말하기 평가의 녹음 및 전사체계 = 42 D. 연구 도구 = 43 1. 수행 과제 = 43 2. 말하기 능력 평가 범주와 배점, 척도 = 45 3. 평가자 = 46 4. 과제수행 평가 기준 = 47 Ⅳ. 연구 분석 결과 및 논의 = 55 A. 분석 방법 = 55 B. 동질성 검사 = 55 C.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 57 1.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상호작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 58 2.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전략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 62 3.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64 4.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문법에 미치는 효과 = 66 5.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어휘에 미치는 효과 = 67 6.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발음에 미치는 효과 = 68 7.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사회언어학 능력에 미치는 효과 = 70 8. 의사소통전략 훈련이 담화 구성력에 미치는 효과 = 72 D. 말하기 수행 능력 간 관계 = 74 E. 문제해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말하기 수행 능력 범주 = 76 Ⅴ. 결론과 제언 = 81 참고문헌 = 85 부록 = 93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1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의사소통전략 훈련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how communication strategy training influences Korean learners' speaking competence-
dc.creator.othernameJang, Mi sook-
dc.format.pageⅶ,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