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숙-
dc.contributor.author조아롱-
dc.creator조아롱-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05-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role expectancy as the school counselor of the classroom teachers and the school counselors and to search students' demands in school counseling and suggesting a efficient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it, 402 middle school from K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made them reply a questionnaire, then used program spss 12.0 to analyze its finding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by area of each question and one-way repeated Anova, paired t-tests,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see differences in replies to the question. The Study items consist of sex, school year and degree of worrying, the number of intimate friends of the respondents, etc. The inquiry composed of 6 sections and 98 questions a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students had never had counseling experiences. But counseling experiences perceived students having that counseling was helpful for them. Second, most students expect school counseling. Third, as for students' expectation for the classroom teacher and school counselor is high. Students more expect the school counselor than the classroom teacher. Fourth, activities that students want to talk about with the school counselor were helping school acceptances and variable group counseling. Fifth, students more prefer the female school counselor than the male school counselor.;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학교상담자로서 학급담임교사와 학교청소년상담사에게 갖는 역할기대를 알고 학교상담에 대한 요구를 알아 더 효율적인 학교상담활동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경기도의 한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 402명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에게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했다. 그 후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으로 학생들이 응답한 결과물을 분석했다. 분석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각 질문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paired T-test와 repeated Anova, Chi-Square tests 를 통해 의미있는 차이를 검증하고자 했다. 설문지에 응답한 학생들의 배경변인은 성별, 학년, 고민정도,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친구의 수 등이다. 이 설문지는 크게 6개의 항목과 98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학교상담을 경험하지 못했다. 그러나 학교상담을 경험한 학생들은 자신들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상담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셋째, 학급담임교사와 학교청소년상담사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는 높았다. 학생들은 학급담임교사보다 학교청소년상담사에게 더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학교청소년상담사에게 가장 원하는 활동은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을 도와주고, 다양한 집단상담을 경험하는 것이다. 다섯째, 학생들은 학교상담자의 성별로 남자상담자보다 여자상담자를 더 선호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부록목차 = ⅲ 표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상담 = 5 1. 학교상담의 개념 = 5 2. 학교상담의 특징 = 6 3. 학교상담의 한계점 = 8 B. 학교상담자에 대한 역할기대 = 10 1. 인간적인 자질 = 10 2. 전문적인 자질 = 11 3. 윤리적인 자질 = 12 C. 학교상담자의 활동 = 14 D. 선행연구의 고찰 = 15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도구 = 18 C.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절차 = 21 D. 자료처리 = 21 Ⅳ. 연구 결과 = 22 Ⅴ. 논의 = 35 참고문헌 = 40 부록 = 43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7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상담자에 대한 역할기대와 학교상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ole expectancy to the school counselor and the school counseling-
dc.creator.othernameJo, A-Long-
dc.format.pageⅴ,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