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지현-
dc.creator서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8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비행동기 중 중요한 요인이 부모와의 관계에 있다고 보고, 어린 시절부터 형성되는 부모와의 애착정도를 측정하여,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남자 비행청소년들과 쉼터 또는 대안학교를 다니고 있는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반사회성 및 공감능력과 각각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범법으로 인해 입건처리 된 서울·경기지역의 보호관찰소 남자비행청소년 50명과, 쉼터 및 기타 남자 비행청소년 50명으로 총100명의 남자 비행청소년들을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비행청소년들의 부모애착정도는 반사회성 및 공감능력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둘째, 보호관찰 남자청소년집단(A)과 쉼터 및 기타 남자청소년집단(B)의 부모애착에 따른 반사회성과 공감능력의 관계는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 측정도구로서는 부모-애착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Armsden & Greenberg (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중에서 부모척도를 이용하였으며 반사회성 척도는 MMPI 566문항 중 4번(Pd) 척도 50문항과 솔직성 정도를 알아보는 L척도 15문항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능력에 대한 조사도구로는 Mehrabian & Epstein(1972)의 척도를 아동과 사춘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하여 제작한 도구인 Bryant(1982)의 정서공감척도(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를 이용하였다. 집단에 따라 부모애착의 반사회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모형(path model)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애착에 따른 반사회성과 공감능력의 효과가 A, B 두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AMOS를 이용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부모애착은 반사회성과 부적상관을 가지며 공감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이며 이것은 P<.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애착이 남자비행청소년들의 반사회성에 대한 효과는 A집단과 B집단에서 모두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공감능력에 대한 효과는 두 집단에서 모두 정적으로 나타났으나 A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B집단이 A집단보다 보다 유의하게 더 강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t=2.795) 모애착의 남자 비행청소년들에 대한 반사회성에 대한 효과는 A집단에서만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B집단에서는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효과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즉, 모애착이 A집단에 대한 반사회성에 미치는 효과가 B집단에서 부적으로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는 결과였다. 또한 공감능력에 대한 모애착의 효과는 정적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모두 유의하지 않았고 집단차이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자 비행청소년들에게 부모애착은 반사회성과 공감능력에 각각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나, 부애착이 모애착보다 각 요인들에 더 유의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애착의 공감능력에 대한 효과는 B집단이 더 크고, 모애착의 반사회성에 대한 효과는 A집단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attachment of male juvenile delinquents and their psychopathic deviate as well as their ability to empathize. To support this assertion,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A test group of 100 male juvenile delinquents [the “participants”] were surveyed; 50 serving time in a government facility after being sentenced for illegal activities (called “Group A”) and another 50 were on probation (called “Group B”). The two questions being asked in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What affect does the participants’ parental attachment have on their psychopathic deviate and ability to empathize? How does this affec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resource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by Armsden & Greenberg (1989) was used as a resource for the parental attachment aspect of the study. The 15 question, “L” standard was used to determine the honesty of the study participants. Within the 566 question, “MMPI” standard, 50 questions from section 4(pd)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sychopathic deviate of the participants. Finally, “The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Bryant (1982)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empathy from each of the participants. This text was created from the Mehrabian & Epstein (1982) standard previously used for adults. Utilizing the Path Model, the data for the participants’ parental attachment was analyzed, firstly with respect to their psychopathic deviate ; and secondly, with respect to their ability to empathize. This data was further analyzed using the AMOS “t-test”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 test groups; Group A and Group B.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parental attachment and their corresponding psychopathic deviate. There i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parental attachment and their ability to empathize. A second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The parental attachment factor was broken down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attachment to their father affected the psychopathic deviate and ability to empathize of both participant groups.Group B had a better ability to empathize. The attachment to their mother only had an affect with respect to psychopathic deviate on Group A. Group B was unaffected by mother attach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비행청소년에 대한 관점과 정의 = 4 B. 애착 = 6 1. 애착과 내적 실행 모형 = 6 2. 청소년기의 부모-자녀 애착 = 8 C. 반사회성 = 9 1. 반사회성의 특징 = 9 D. 공감능력 = 10 1. 공감의 정의와 특성 = 10 2. 비행청소년과 공감능력 = 13 Ⅲ. 연구 방법 = 14 A. 연구 대상 = 14 B. 연구 도구 = 15 1. 부모와의 애착척도 = 15 2. 반사회성 척도 = 16 가. 반사회성 척도의 해석 = 16 3. 공감척도 = 17 C. 연구절차 = 18 D. 자료처리 = 18 Ⅳ. 연구 결과 = 19 Ⅴ. 논의 = 24 참고문헌 = 28 부록 = 37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82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부모애착과 반사회성 및 공감능력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nd Psychopathic Deviate, empathize in male juvenile delinquents-
dc.creator.othernameSeo, Ji-Hyeon-
dc.format.pageⅵ, 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