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김덕희-
dc.creator김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관련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상관이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5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외동아이 234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담임교사를 무선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Schaefer(1959)의 어머니의 양육태도 조사 도구(Man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 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하고 송호경(2004)이 일부 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는 Schaefer(1959)의 양육태도를 애정-거부축과 자율-통제축으로 제한하여 두 개의 축으로 대별되는 4개의 하위요인 즉,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에 대한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Pease와 그의 동료들(1972)이 개발한 아이오와 사회적 능력 측정 도구(lowa Social Competency Scales : Preschool form : ISCS)를 양외점(1993)이 번안하여 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는 총 22 문항의 교사용 질문지로써 5개의 하위요인 즉, 사회적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 과민성, 비협조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는 외동이 어머니에게는 자신들의 양육태도를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고, 담임교사에게는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을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SPSS 11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관련변인에 따라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모든 유의도는 p<.05 이하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관련변인인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직업유무,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직업이 없는 어머니들이 직업이 있는 어머니들 보다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고,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대학 이상의 어머니들이 고등학교 이하의 어머니들 보다 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관련변인인 유아의 성별, 어머니의 직업유무,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더 사회적 활동성과 협조성이 높았으며 비협조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유무와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유아의 비협조성은 낮은 경향이 있었고, 거부적일수록 유아가 과민하고 비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일수록 유아의 사회적 활동성은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통제적일수록 유아가 과민하며 비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only child's Moyhers and children'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its related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ose two aspects.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established to meet theses research purposes above. Ⅰ.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ccording to children's sex?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ccording to whether the mother has a job or not?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Ⅱ.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children's sex?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whether the mother has a job or not?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Ⅲ.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nd the children's social 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to solve these questions were 234 of only children at the age of 4 and 5, their mothers and their homeroom teachers from 5 kindergartens in Bucheon, Gyeonggi province. As a measuring material, a questionnaire from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by Schaefer(1959), translated by Lee, Won-young(1983) and partially revised by Song, Ho-Kyoung(2004), was used to examine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This questionnaire limited Schaefer(1959)'s child-rearing attitude within two axes, affection-rejection and autonomy-restriction, and set 42 questions under 4 subordinate factors; affectionate attitude, rejective attitude, autonomous attitude and restrictive attitude. In order to investigate children's social ability, ISCS(Preslowa Social Competency Scales:Preschool form) developed by Pease and his colleagues(1972) was used with being translated and revised by Yang, Oe-Jeom(1993). With 22 questions in it, this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subordinate factors; social activity, stability, cooperativeness, oversensitiveness and low cooperativeness. The mothers of only children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asking their own child-rearing attitude while the homeroom teach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asking the only children's social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SPSS 11 rogram,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in order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nd children's social ability according to its related variables. In addi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nd children's social ability. All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under p<.05. The summaries of the study result are as following. In the first place, for the difference i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by related variables such as children's sex, status of mother's job and their educational level,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y children's sex. Meanwhile, more mothers without jobs had tendency to show rejective child-rearing attitude than mothers with jobs, and mothers over bachelor's degree presented more affectionate and 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 compared with mothers below high school education. Secondly, for the difference in children's socal ability by related variables such as children's sex, status of mother's job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female target children had higher social activity and cooperativeness than male target children while boys showed lower cooperative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ocal ability according to status of mother's job and their educational level, Thirdly,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of the only child and children's socal ability, the more affectionat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r cooperativeness children showed, while the more rejectiv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more oversensitive and the lower cooperative children were. Furthermore, 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 was in proportion to children's high social ability, and the children were more oversensitive and less cooperative whe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was more restri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외동이의 개념 및 특성 = 5 B. 어머니의 양육태도 = 8 1. 양육태도의 개념 = 9 2. 양육태도의 유형 = 9 3.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 12 C. 유아의 사회적 능력 = 15 1. 사회적 능력의 개념 = 15 2. 사회적 능력의 측정 방법 = 17 3.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 20 D.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1. 어머니의 양육태도 측정도구 = 26 2. 유아의 사회적 능력 측정도구 = 28 C. 연구절차 = 29 1. 예비조사 = 29 2. 본조사 = 30 3. 자료처리 = 3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1 A. 관련변인에 따른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 31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 31 2.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른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 32 3.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른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 32 B. 관련변인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 33 1. 성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 33 2.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 34 3.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 35 C.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상관관계 = 36 Ⅴ. 논의 및 결론 = 38 A.논의 = 38 B.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6 부록 = 55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25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ild Rearing Attitudes of The Only Child's Mothers and Children's Social Ability-
dc.creator.othernameKim, Deok-Hee-
dc.format.pageⅸ,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