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유아안전교육 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안전교육 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lan and Performance of Children's Safety Education
Authors
김동은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 초 유치원에서 유아에게 필요한 일련의 안전 교육 활동을 고안하고 그것을 계획, 실행하였을 때 유아의 비안전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년 초 유치원에서 유아에게 필요한 안전 교육 활동의 계획과 실행은 어떠한가? 2. 학년 초 유치원에서 유아에게 필요한 안전 교육 활동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자의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들의 비안전 행동의 원인을 조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비안전 해동 목록을 작성하였다. 비안전 행동 목록은 곽은복(2003)이 제작한 ‘영유아들의 비안전 행동 목록’, 한국산업안전공단(2003)에서 제작한 ‘유아 안전행동 평가 체크리스트’ 그리고 이기숙 등(2002)이 제시한 ‘놀이 안전규칙’을 참고하여 본유치원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제작하였다. 비안전 행동은 실내자유선택 활동 시간, 실외활동, 전이시간의 3가지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행동으로 분류하였다. 다음 유아의 비안전 행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 관찰을 하였다. 사전 관찰 후 비안전 행동의 유형 및 빈도수의 결과를 통해 안전교육에 대한 활동을 선정하였다. 활동은 주제 선정에 의한 통합적인 활동, 동화, 극놀이를 통한 활동, 원인의 설명과 연습을 통한 활동, 상황에 근거한 활동, 토의를 통한 활동의 5가지 방법으로 계획되었다. 유아들의 비안전 행동을 파악한 결과를 기초로 계획한 안전교육 활동은 약 4주간 진행되었으며 교사는 매 활동이 끝난 뒤 유아들의 행동을 관찰하였고 변화를 보이지 않는 비안전 행동에 대해서는 유아들과 토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안전 교육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관찰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관찰을 하여 유아들의 비안전 행동의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안전교육활동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 활동 실시 후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여러 흥미 영역에서의 유아의 비안전 행동의 빈도수가 비안전 행동 16항목 중 비안전 행동 166회에서 10항목중 28회로 감소하였다. 둘째, 안전교육 활동 실시 후 실외놀이 시간의 놀이터에서 나타나는 비안전 행동이 비안전 행동 21힝목 중 136회에서 8항목 중 15회로 크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이시간 중 복도, 계단, 화장실에서의 비안전 행동은 13항목 중 140회에서 6항목 중 30회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년 초 유치원에서 필요한 유아안전교육은 비안전 행동에 대한 실태 파악, 교육 내용 및 활동 선정, 활동의 실행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안전교육의 방법으로 주제 선정에 의한 통합적인 방법, 동화,극놀이를 통한 방법, 설명 및 시연에 의한 방법, 상황에 근거한 방법, 토의를 통한 방법을 사용하여 유아의 행동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즉, 체계적인 계획에 의한 통합적이고 경험중심적이며 유아중심적인 안전교육 활동이 유아의 비안전 행동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planning and performance of a series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kindergarten on children's unsafe behavi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planning and performance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kindergarten? 2. How about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kindergarten? Field study was made to solve the researcher's problem recognition in this study, and the study process was as follows: Firstly, the causes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m, a list of unsafe behaviors was prepared. The researcher referred to 'A List of Unsafe Behaviors for Young Children' by Gwak Eun-bok(2003), 'Safety Behavior Checklist for Young Children‘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2003), and 'Safety Rules for Play’ by Lee Gi-sook(2002) to make the list, and the list was corrected for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kindergarten. Unsafe behaviors were divided into three situations - Indoor free activity, outdoor activity and transfer activity. Then prior observ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After prior observation,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s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ype and frequency of unsafe behaviors. The activities were planned into five of integrated activity by subject selection, fairy tale and play activity,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activity, situation-based activity and discussion activity. Safety education activities plann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investigating children's unsafe behaviors were carried out for about 4 weeks. Teachers observed children's behaviors after each activity and continuously conducted safety education especially for unchanged unsafe behaviors through discussion with children. Lastly, post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same manner as prior observ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frequency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was measured.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s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in several interest areas during indoor free activity decreased from 166 times for 16 items of unsafe behaviors to 28 times for 10 items afte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Second, the frequency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in a playground during outdoor play activity greatly decreased from 136 times for 21 items of unsafe behaviors to 15 times for 8 items afte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Lastly, the frequency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in a corridor, stairs and toilet during transfer activity decreased from 140 times for 13 items to 30 times for 6 items afte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conclusion, children's safe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kindergarten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dure of looking into the current condition of unsafe behaviors,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ity, and execution of activity. Means of safety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integrated activity by subject selection, fairy tale and play activity,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activity, situation-based activity and discussion a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they much influenced children's behavioral changes. In other words, integrated and experience-oriented children's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nder systematic plan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decrease of children's unsafe behavi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