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현숙-
dc.contributor.author손희정-
dc.creator손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3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1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8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Man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ften have poor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and as a result,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their learning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needs, and fail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in school life as well as ou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on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of intermediate grade leve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wenty two 4-5th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electe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 traditional one in the ethics subje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out fifteen 40-minute sessions. To test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given to the students and teacher in forms of Self-Awareness Checklist and Self-Advocacy Checklist. The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abilities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program.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self-awarenes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student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effect on the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group. According to the teachers,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between the two groups. (2) In terms of self-advocac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student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effect on the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group. According to the teachers, the significant difference also did not appear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is an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the self-advocacy as well as self-awarenes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at it does not appear to be very effective for teachers. Although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evaluation and the teachers' evaluation, the improvement of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evaluated by students is significant as it is, for it forms the basi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that can be functionally applied not only in structured condition but also in natural condition.;많은 학습장애 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자신의 욕구를 알고 표현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일 뿐만 아니라, 학교 교실 밖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에서도 적절히 대처하고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어려움은 학습장애 학생의 낮은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많은 교사들과 부모들은 그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독립적인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교수되어야할 중요한 두 요소로 손꼽고 있다.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능력은 어느 특정 시기에만 요구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발달적인 과정 속에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조기에 교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결정기술 교수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학습장애 학생의 관점에서 평가된 연구결과를 보다 객관화하고, 구조화된 교수 상황을 벗어나 자연적인 일반학급 안에서는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가 평정한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 5학년 학습장애 학생 2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읽기능력, 지능지수, 사전검사 결과를 고려하여 각각 11명씩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었다. 매 회기 40분씩 15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에게는 자기결정을 위한 단계에 맞게 선별된 일반 도덕과 교과내용의 글을 먼저 제시하고, 글의 내용 중 자기결정기술과 관련된 주제를 구조화시킨 질문지, 활동지 및 활동에 참여하는 자기결정기술 교수를 실시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게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도덕 교과내용의 글을 제시하고, 도덕 교과서에서 제시한 질문지만을 풀도록 하는 교수를 제공하였다. 교사의 관점에서 평가된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최종 선정된 22명의 학생들이 소속된 일반학급의 각 반 담임교사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이 시작되기 전과 실험이 끝난 후, 대상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능력에 대해 평정하도록 의뢰하였다.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인식 학생용 검사지와 교사용 검사지, 자기옹호 학생용 검사지와 교사용 검사지 4개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에 각각 학생과 교사에게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검사 평균값 차이의 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장애 학생은 자기인식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차를 보였다. 즉,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은 통제집단보다 자기결정기술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에서 더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관점에서 평가된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학습장애 학생은 자기옹호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차를 보였다. 즉,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옹호는 통제집단보다 자기결정기술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에서 더 높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관점에서 평가된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옹호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학습장애 학생의 관점에서 평가된 자기인식과 자기옹호는 자기결정기술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높게 평가된 반면, 교사의 관점에서 평가된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조화된 교수 학습을 통해 자기결정기술 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를 향상시키기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실제적으로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능력이 필요하고 요구되는 자연적인 일반학급 상황에서는 기능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던 것으로 유추되는 바, 진정한 의미에서 자기결정기술 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의 기초가 되고 다른 구성요소들을 통합시키는 자기인식과 자기옹호는 심리적인 역량이 강조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학생 자신이 평가한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에서의 향상은 곧 학생 자신의 자신감의 표현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자신감은 후에 지속적인 교수의 기회가 제공되어진다면 외부적으로 표현되고 기능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학습장애 학생에 의해 평가되어진 본 연구결과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자기결정 = 8 1. 자기결정의 정의 = 8 2. 자기결정의 구성요소 = 10 B.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 13 1.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의 정의 = 13 2.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 = 15 C. 자기결정기술 교수를 위한 프로그램 = 17 D. 자기결정기술 교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 20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실험 도구 = 28 C. 실험 절차 = 38 D. 자료 분석 = 41 Ⅳ. 연구 결과 = 42 Ⅴ. 논의 및 제언 = 46 A. 논의 = 46 B. 연구의 제한점 = 54 C. 제언 = 55 참고 문헌 = 57 부록 = 64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96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결정기술 교수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on Self-Awareness and Self-Advocacy in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Sohn, Hee Joung-
dc.format.pageⅷ,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