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명-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reator김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66-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으로 인터넷이 대중화 되면서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전 교과에 걸쳐 인터넷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같이하여 양적으로 팽창한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들이 실제 학습에 활용될 때 얼마나 큰 교육적인 가치와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검증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과학교육에서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학습자들의 과학적 지식과 태도 함양에 있지만 실제로 모든 사이트들이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적으로 증가한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들에 대해 질적인 평가 준거를 만들어 교수-학습 측면에서 우수한 양질의 사이트를 선별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교육용 사이트 중에서도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 하여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사이트를 판별한 후 양질의 사이트가 교수-학습에 활용되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의 설계 및 개발, 수정 및 업그레이드 시에 필요한 준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여 예비 평가준거를 개발하였고, 전문가 6명(과학교육전문가 4명, 교육공학 전문가 2명)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3개 영역, 8개 준거, 총 40개의 문항의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예비 평가준거를 구성하였다.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법을 적용해 고유값(Eigen value)이 1.0 이상인 요인을 추출하였고, varimax 회전방식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적일치성 신뢰도의 하나인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준거의 타당도는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평가준거가 측정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구인을 어느 정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인타당도로 검증하였으며, 이에 따라 40개 문항을 대상으로 1차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여기서 31문항을 추출, 6개의 요인으로 다시 추출하여 2차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준거의 평가 영역은 5개 요인 즉, ‘구조적 영역’, ‘기술적 영역’, ‘교육환경 영역’, ‘과학적 내용 영역’, ‘학습자 고려 영역’ 등의 다섯 가지 영역이며 총 30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따라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양질의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영역, 기술적 영역, 교육환경 영역, 과학적 내용 영역, 학습자 관리 영역에서 사이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개발된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의 평가준거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 .8237로서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의 신뢰도는 만족할 만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는 중학교과학교과에서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사이트를 선정하는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사이트의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의 설계 및 개발, 수정 및 업그레이드 시 그 준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As the number of educational internet site increases, teachers and students have required a criteria for evaluating the educational internet site quality in connection with education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for instructors.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as follows : 1. What i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1-1. What is the evaluation item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distinctive? 1-2. I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construct validity? 1-3. I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reliable? The research process was as follows : First, the evaluation areas and items were analyzed out preceding studies and then initially 3 areas 9 standards 47 items were created. Second, 6 educational specialists verified content validity and then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preliminary evaluation criteria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These preliminary evaluation criteria are consisted of 3 areas, 9 standards, 40 items. Third, to analyz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the researcher utilized SPSS 10.0 for window program and a factor analysis and a Cronbach'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researcher performed a factor analysis on the items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using varimax rotation applied by 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he researcher finally derived 5 significan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indicated structural areas, and technological areas, educational environment areas, scientific contents areas, supporting areas for learners. The 5 areas have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useful criteria to evaluate middle school science internet site quality. Second, all items had a Cronbach's α of .8237, which indicated that they are reliable. Third, These evaluation criteria are distinctive from other general evaluation criteria because those are emphasized in particular the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Fourth, These evaluation criteria of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al internet site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rnet site value as a mediator of teaching-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과 인터넷 = 4 1. 인터넷의 교육적 의의 = 4 2.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학습의 특징 = 5 가.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교육 방법 = 5 나. 인터넷 사이트 활용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 = 6 다.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한점 = 6 라. 인터넷을 활용한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역할 = 7 B. 과학교육과 인터넷 = 11 1. 인터넷을 통한 과학교육 = 11 2. 인터넷을통한과학교수-학습모형 = 12 가. 정보탐색형인터넷학습 = 12 나. 토론형인터넷학습 = 13 다. 문제해결형 인터넷 학습 = 13 라. 탐구활동형 인터넷 학습 = 14 C. 인터넷 사이트 분석의 필요성 = 14 D.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준거 = 16 1. 에뉴넷의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기준 = 16 2. Kotlas 의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체크리스트 = 17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기준 = 18 4. NWREL의 MicroSIFT의 평가준거 = 19 5. BECTa 교육용 인터넷사이트 평가준거 = 20 6. 김미량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 = 23 E.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 절차 = 26 1. 예비 평가 준거의 구성 = 26 2. 내용타당도 검증 및 재구성 과정 = 28 3.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 타당화 과정 = 31 4. 개발된 평가준거로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 32 5. 자료 처리 및 분석 = 3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4 A. 연구대상교사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 분석 = 34 B. 평가준거의 영역 및 문항 = 35 C.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의 타당도 = 38 D.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의 신뢰도 = 47 E. 개발된 평가준거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 평가 = 48 1. 구조적 영역 = 49 2. 기술적 영역 = 51 3. 교육환경 영역 = 52 4. 과학적 내용 영역 = 53 5. 학습자 고려 영역 = 56 Ⅴ. 결론 및 제언 = 59 A. 결론 = 59 B. 제언 = 60 참고 문헌 = 62 부록 1 김미량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 = 66 부록 2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3)의 원격 교육 연수원 컨텐츠 평가지침 = 70 부록 3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 준거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 = 73 부록 4 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설문지 = 79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327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과학용 인터넷 사이트 평가준거의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et Sit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Eun-Kyoung-
dc.format.pageix,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