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윤미영-
dc.creator윤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45-
dc.description.abstractAs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ducators are paying attention to learners’ native language. With growing interest in learners’ native language, researchers are studying errors made by learners. In the course of learning a second language, learners cannot help making errors. Study on learners’ errors in association with their native language will provide important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learners’ development process and evaluate their progress as well a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second language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Although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Korean-language learners but few researches have been made i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s.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errors found in writings by Korean-language learning Thai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explain Korean-language learning Thais’ linguistic development process and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This study collected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writings, 20 pieces for each, from students who were studying Korean language at Songcla University in Thailand and analyzed errors in the writings. As for the scope of research, frequently used and easily mistakable particles ‘eun/neun (은/는), yi/ga (이/가), eul/leul (을/를), e (에) and eseo (에서)’ were selected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Error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its causes were analyzed. Types of errors were largely divided into misformation, omission and addition, and the patterns of errors in the whole learners and by level were examined. The causes of errors were grouped into ‘interlingual transfer’ and ‘intralingual transfer’ and ‘intralingual transfer’ was again subdivided into incomplete rule application, overgeneralization and excessive application. As for the patterns of errors in the whole learners, particle ‘eun/neun’ was used and mistaken most frequently, and error rate was highest in ‘yi/ga’. Errors in ‘eseo’ showed the lowest frequencies in use and error but a high error rate. As for the frequency of use and error rate by learners’ level of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and error rate were similar among ‘eun/neun,’ ‘yi/ga’ and ‘eul/leul,’ and the frequency and error rates in ‘e’ and ‘eseo’ showed different patterns from those in ‘eun/neun,’ ‘yi/ga’ and ‘eul/leul.’ First, the frequency of ‘eun/neun,’ ‘yi/ga’ and ‘eul/leul’ increased in proportion to learners’ level of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of ‘e’ was higher in advanced learners than in elementary ones, but the frequency of ‘eseo’ was lower in advanced learners than in elementary ones. In all of three particles ‘eun/neun,’ ‘yi/ga’ and ‘eul/leul,’ their error rates were highest in intermediate learners. This suggests U-shaped course of development in second language learners. The error rate of ‘e’ decreased in proportion to learners’ level, but the error rate of ‘eseo’ was lowest in intermediate learners but quite high in advanced learners. The error rates of ‘e’ and ‘eseo’ were not U-shaped because the intermediate level defined did not coincide with the second period of the U-shaped development curve. With regard to the type of errors by particle, errors of misformation were most frequent in all particles except ‘eul/leul.’ ‘Eun/neun’ was mostly replaced with ‘yi/ga,’ and ‘yi/ga’ was mostly with ‘eun/neun.’ These errors were mainly caused by confusion in the usages of subjective particle ‘yi/ga’ and supplementary suffix ‘eun/neun’ and, as a result, the rules of target words were applied improperly. Particle ‘e’ was mostly replaced with ‘eseo,’ and ‘eseo’ was mostly with ‘e.’ This type of errors occurred mainly when the particles followed a noun indicating a place probably because of the intervention of the learners’ mother tongue. Errors related to ‘eul/leul’ were mostly omission. This is understood as excessive application of omission of this particle in Korean language. As presented above, the patterns of errors in particles made by Korean-language learning Thai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most of researches o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have been focused on Japanese-speaking learners and some of them on English-speaking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learners speaking a language other than Japanese and English.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course of Thais in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suggest directions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learning Korean language. Third,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teach by comparing the grammatical system, vocabulary and meanings of learners’ native language with those of Korean language in response to specific types of errors in particles such as ‘e’ and ‘eseo.’;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습자의 언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자 언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를 연구하게 되었다. 제2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자의 언어로서 오류를 연구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학습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수준을 판단하는 지표가 되며 학습자들이 겪는 난점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학습을 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학습자 언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의 분석을 통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 과정을 설명하고 한국어 학습 현장에 활용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의 쏭클라대학교 한국어과 학생들의 작문을 초급, 중급, 고급으로 수준을 나누어 각각 20편씩 수집하여 오류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예비 실험을 통해 조사 사용 빈도가 높고 오류율이 높은 ‘은/는, 이/가, 을/를, 에, 에서’로 설정하였다. 오류로 판정된 항목에 대해서는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오류의 유형은 대치, 누락, 첨가로 크게 나누어 전체 학습자의 조사 오류 양상과 수준별 조사 오류 양상을 구별하여 살펴보았다. 오류의 원인은 ‘언어간 전이’와 ‘언어내 전이’로 크게 나누고 ‘언어내 전이’는 불완전한 규칙의 적용, 과잉 일반화, 과잉 적용의 오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체적인 오류의 양상은 조사 사용 빈도와 오류 빈도가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다. 조사 사용 빈도는 ‘은/는’, ‘을/를’, ‘이/가’, ‘에’, ‘에서’의 순으로 ‘은/는’이 가장 높았고 오류 빈도도 ‘은/는’, ‘을/를’, ‘이/가’, ‘에’, ‘에서’의 순으로 ‘은/는’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조사의 오류율은 ‘이/가’, ‘을/를’의 순으로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은/는’과 ‘에서’ 마지막으로 ‘에’의 순이었다. 사용빈도와 오류 빈도가 가장 높았던 ‘은/는’과 사용 빈도와 오류 빈도가 가장 낮았던 ‘에서’는 오류율이 같았다. 이는 오류 빈도가 높아도 오류율은 높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별 조사의 사용 빈도 및 오류율은 ‘은/는’, ‘이/가’, ‘을/를’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에’와 ‘에서’는 ‘은/는’, ‘이/가’, ‘을/를’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먼저 ‘은/는’, ‘이/가’, ‘을/를’의 사용 빈도는 초급에서 중급, 고급으로 갈수록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 ‘에’는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사용 빈도가 높아졌으며 ‘에서’는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사용 빈도가 낮았다. 단계별 오류율은 ‘은/는’, ‘이/가’, ‘을/를’의 세 조사는 모두 중급에서 가장 높은 오류율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제2언어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른 습득의 U자형의 발달 곡선(U-shapped sourse of development)을 보여 준 것이다. ‘에’의 오류율은 초급에서 고급으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점차 낮아졌으며, ‘에서’는 중급의 오류율이 가장 낮고 고급의 오류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에’와 ‘에서’의 단계별 오류율은 U자형의 발달 곡선과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중급 수준과 U자형 발달 곡선의 두 번째 시기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사별 오류 유형의 양상은 ‘을/를’을 제외하고 모두 대치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은/는’의 대치 오류는 ‘이/가’로의 대치가 가장 많았고, ‘이/가’의 대치는 ‘은/는’으로의 대치가 가장 많았다. 이는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의 용법을 확실히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목표어의 규칙을 불완전하게 적용하는 경우로 보인다. ‘에’의 대치 오류는 ‘에서’로의 대치가, ‘에서’의 대치 오류는 ‘에’로의 대치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오류의 양상은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의 뒤에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것은 모국어의 간섭의 영향으로 보인다. ‘을/를’의 오류는 누락의 오류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에서 조사가 자주 생략되는 것을 과잉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태국인 학습자에 나타나는 조사 오류 양상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첫째,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일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외에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어권과 영어권 학습자를 제외한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증가하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교수하는 데 있어 학습자들의 학습 발달 단계를 짐작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한국어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에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양상 중 ‘에’와 ‘에서’는 다른 언어권 학습자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경우는 모국어와 한국어의 문법 체계 및 어휘의 의미 등을 비교해서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선행연구 = 3 Ⅱ. 이론적 배경 = 8 A. 오류 분석 = 8 B. 오류와 실수 = 12 C. 오류의 유형 = 14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7 A. 피험자 = 17 B. 자료 및 연구 범위 = 19 C. 자료 분석 방법 = 26 1. 오류의 판정 = 26 2. 오류의 유형 분류 = 27 Ⅳ. 조사 사용 빈도 및 오류 빈도 = 31 A. 조사별 전체 사용 빈도 및 오류 빈도 = 31 B. 단계별 조사 사용 빈도 및 오류 빈도 = 35 Ⅴ. 조사 사용 오류 분석 = 41 A. ‘은/는’의 오류 = 41 1. ‘은/는’의 ‘이/가’로의 대치 = 43 2. ‘은/는’의 ‘을/를’로의 대치 = 46 3. ‘은/는’의 누락 = 48 4. ‘은/는’의 첨가 = 50 5. ‘은/는’의 기타 오류 = 51 B. ‘이/가’의 오류 = 53 1. ‘이/가’의 ‘은/는’으로의 대치 = 54 2. ‘이/가’의 ‘을/를’로의 대치 = 56 3. ‘이/가’의 누락 = 58 4. ‘이/가’의 첨가 오류 = 59 5. ‘이/가’의 기타 오류 = 60 C. ‘을/를’의 오류 = 61 1. ‘을/를’의 ‘이/가’로의 대치 = 63 2. ‘을/를’의 ‘은/는’으로의 대치 = 65 3. ‘을/를’의 누락 = 67 4. ‘을/를’의 첨가 오류 = 69 5. ‘을/를’의 기타 오류 = 70 D. ‘에’의 오류 = 72 1. ‘에’의 ‘에서’로의 대치 = 73 2. ‘에’의 누락 = 75 3. ‘에’의 첨가 = 76 4. ‘에’의 기타 오류 = 76 E. ‘에서’의 오류 = 77 1. ‘에서’의 대치 = 79 2. ‘에서’의 누락 = 80 Ⅵ. 결론 = 82 참고문헌 = 86 부록 = 90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9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조사-
dc.subject오류 양상-
dc.subject사용 빈도-
dc.subject오류 빈도-
dc.subject오류율-
dc.subject대치-
dc.subject누락-
dc.subject첨가-
dc.title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양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attern of Errors in Using Particles Made by Thais Learning Korean Language-
dc.creator.othernameYUN, MI YOUNG-
dc.format.pagevi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