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원-
dc.creator이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1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clinations of thesises on middle-school singing education through a preliminary study on the relevant literatures focusing on the singing education which takes an important position now in music lessons.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whether the previous thesises conducted till now had logical and systematic approach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dividual thesises are consistent with desirable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d future in connection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economics, cultures and overall academic circles. As a part of this attempt, the researcher prepared a list on the descriptions and methods of thesises aiming at evenly developing music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and summarized statistically the analyses of their external for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balanced music education with examining closely the presence of excessively predominant or poor areas in music. In this study, first, a preliminary study was examined which integrates and summarizes the Master's theses in each area of music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n overview of such theses covering middle-school singing education was prepared which were submitted between 2000 - the next year after the 7th curriculum was officially announced - and 2005. The collected theses were divided into ‘Thesises on textbook analysis’, ‘Thesises on singing guidance’ and ‘Thesises on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inging guidance’, which are subdivided again, and analysis of external form and summarization were performed regarding the individuals. Thesises on textbook analysis were 17 including 13 ones on analysis of textbook descriptions and 4 ones on analysis of curriculum. Commonly, the 13 thesises all point out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textbook and the new textbook publish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hat the types of performance, compositions, rhythms, the origins of musical pieces and so on suggested by the current textbook have a bias towards a constant pattern, and that many different inscriptions in the individual textbooks may lead to confusion among the students. Thesises on singing guidance were 19 including 5 ones on general instructions of singing, 6 ones on singing guidance for age of the change of voice, and 8 ones on suggesting a plan for singing instruction. The thesises on general instructions of singing argue the importance of general singing and the introduction of new teaching approaches, and cover primarily the definition or significance of singing and the posture for singing, rather than notices for real singing. The thesises on singing guidance for age of the change of voice show the students at age of the change of voice a desirable direction for singing guidance with easier compass, in order to enable more efficient singing guidance. For the thesises on suggesting a plan for singing instruction, some prepare substantial plans for singing instruction on the basis of Kodaly Method and Ausubel's theory introducing new teaching approaches; the most others suggest actual plans for singing instruction by means of singing pieces with easier compass. Thesise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inging guidance were 4, which point 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singing education through multidirectional questionnair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which is apt to be subjective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teachers, on the basis of fact-finding surveys in the educational fields. As a result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escriptions of the thesises mention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Thesises on textbook analysis’ contain the similar types of descriptions and the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necessity of them was impaired. Also, the ‘Thesises on singing guidance’ have a bias towards literature summary, rather than are helpful to the actual lessons, and became thesises just for thesises themselves. Similarly, the ‘Thesise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inging guidance’ were considered that they are required to analyze the textbooks from a new viewpoint. In conclusion, if deciding a subject of study to be investigated in the similar manner regarding singing in future, new subjects available of applying to the current musical instructions and their fields are required.;이 연구의 목적은 시대와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교육의 중점분야도 변화되듯이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음악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가창교육을 연구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음악교육에서의 가창에 관련된 교육의 현시점을 정확하게 알고 적절한 지도방법과 올바른 교육과정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의 물결 속에서 21세기의 학생들이 시대의 변화에 부합되게 진보되어야함을 인식하고 미래의 가창교육에 대한 지도방향과 음악교육에서의 중복ㆍ누락이 없는 균형적인 학문의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현재의 음악수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가창교육을 중심으로 연구된 관련문헌에 대한 선행연구물 중에서 중학교 가창관련 논문들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 음악교과가 균형 있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어떤 논문이 어떻게 쓰였는지에 관한 일관성 있는 목록을 작성하고 분석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정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창교육을 연구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편중된 연구가 있는지 미흡한 영역이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교육학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먼저 가창교육을 연구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므로 일반적인 가창의 중요성과 가창학습의 기본요소와 변성기에 관한 내용을 문헌정리 하였고 전국 교육대학원의 현황을 알아보고 음악에 관련된 석ㆍ박사 학위논문을 연구한 논문들을 자료정리 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논문이 제출된 2000년부터 2005년 현재까지 제출된 논문 중에서 중학교 가창교육과 관련된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렇게 수집한 논문 40편을 ‘교과서 내용분석에 관한 논문’, ‘일반적인 가창 지도법에 관한 논문’, ‘변성기의 가창 지도법에 관한 논문’, ‘가창지도 수업 지도안 제시에 관한 논문’, ‘가창지도 실태조사에 관한 논문’, ‘기타’로 분류하고 이를 세분화하여 내용정리를 하였다. 먼저 ‘교과서 내용분석을 한 논문’은 13편으로 조사되었다. ‘교과서 내용분석을 한 논문’이 언급하는 내용은 개정된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의 가창 교재곡과 제 6차 교육과정까지 사용하고 있던 가창 교재곡의 차이가 없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중학교 9종 음악교과서 별로 연주형태, 조성, 박자, 악곡의 지역 등에 대한 형식과 내용이 교과서 별로 다르게 표기된 내용이 많아서 학생들의 혼란이 야기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가창 지도법에 관한 논문’은 5편, ‘변성기의 가창 지도법에 관한 논문’은 6편, ‘가창지도 수업 지도안 제시에 관한 논문’은 8편, ‘가창지도 실태조사에 관한 논문’은 4편으로 조사되었다. 이 논문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내용은 일반적인 가창의 중요성과 변성기를 겪는 학생들의 음역을 고려한 가창지도에 관한 설명과 학생들의 성역을 배려한 새로운 수업지도안 제시, 그리고 현 중학생들의 가창실태와 수업환경의 실태를 조사하여 더 나은 가창지도를 위한 새로운 교수방법과 수업환경 등을 설명하였다. 그 외에 ‘기타’논문은 4편으로 이 논문들은 위의 여러 가지 분류의 틀에 포함되지 않은 교육과정이나 교육적 유용성, 교과서의 체재 등을 설명, 분석하였다. 중학교 가창교육을 연구한 석사학위 논문들의 경향정리를 통하여 앞으로 모든 가창관련 논문의 주제설정 시 중복되어 연구되는 논제보다는 다루어지지 않은 논제를 주제로 선정하여 연구하여야 한다. 그리고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학교에서의 음악학습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응용 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논제를 토대로 한 석사논문이 많이 제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 음악학습과 수업현장에서 응용 될 수 있는 균형 잡힌 음악교육학의 토대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창의 중요성과 기본요소 = 5 B. 변성기 = 18 Ⅲ.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가창교육 관련 논문분석 = 25 A. 교육대학원의 현황 = 25 B. 음악에 관련된 석ㆍ박사 학위논문을 연구한 선행자료 = 28 C. 중학교 가창교육 관련논문의 분석 = 32 Ⅳ.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2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8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가창교육을 연구한 논문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Thesises (2000 to 2005) on Music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ncerning Middle-School Singing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Hye won-
dc.format.pageⅵ,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