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인영-
dc.contributor.author고혜경-
dc.creator고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39-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초두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은 한창 역사를 가지고 씨름 중이다.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놓고, 영유권 문제를 두고 대립과 갈등을 겪고 있다. 이것은 과거의 갈등이 아니라 현실의 갈등이다. 이러한 갈등은 동아시아 역사교육의 실태에 대해 관심을 갖게 했다. 동아시아는 근대에 비슷한 경험을 가졌고 제국주의 국가의 먹이가 되느냐 마느냐의 기로에 서 있었다. 하지만 결론은 달랐다. 청·일전쟁, 러·일전쟁과 같은 국가간의 전쟁을 통해 동아시아 3국의 운명은 갈라졌다. 바로 이 운명의 갈림길이었던 러일전쟁을 동아시아 3국의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역사교과서의 서술상의 차이가 현재의 국가간 갈등과 관련이 있다면 동아시아 3국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해 역사교육의 실천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기에 그러한 일환으로 러일전쟁에 관한 새로운 서술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과 중국,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비교 분석하기로 하였다. 러일전쟁에 관한 각 교과서의 서술을 외형분석과 내용분석으로 나누어, 국가별로 나타나는 특징과 상호 연관 관계 속에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비교 분석 작업을 통해 드러난 특징들은 어디에서 온 것인지 그 서술 배경을 역시 일본, 한국, 중국의 순으로 비교하여 보았다. 이는 각국의 교과서 서술의 기준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택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국사교과서는 러일전쟁을 매우 소략하게 다루고 있으며 단독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이라는 구도 속에서 서술하고 있었다.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더욱 적은 분량으로 러일전쟁의 결과가 러시아와 일본에 미친 영향만을 언급하고 있었다.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일본이 근대 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의 매우 중요한 계기로 서술하고 있으나 일본 내의 사실에 국한하여 서술하고 있다. 중국의 교과서는 러일전쟁을 서술하지 않고 있었고 반면에 홍콩의 교과서는 세계사의 차원에서 중국과 일본에 미친 영향을 대비하며 자세히 다루고 있었다. 둘째, 러일전쟁의 내용을 전쟁의 성격, 원인, 전개과정과 종결,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한·중·일 모두 자국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었고 서술내용에 큰 차이가 있었다. 3국 모두 근대에서 현대로 전환하는 의미로서의 러일전쟁에 대한 고찰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서술은 없었고 러일전쟁에 대한 세계열강의 개입을 보여주는 서술도 미흡했다. 오히려 홍콩의 교과서가 비교적 객관적인 서술을 하고 있어 대안을 모색하는 데 참고가 되었다. 셋째, 이러한 자국 중심의 서술이 나온 데에는 국가가 제시하는 서술 기준이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국가간 갈등의 원인이 이러한 국가 기준에 있을 것이므로 이를 뛰어 넘는 새로운-동아시아 공동의 역사인식하의- 서술 모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 출판된 한·중·일 공동역사 부교재 『미래를 여는 역사』의 분석을 통해 러일전쟁에 대한 새로운 서술을 위한 내용선정과 내용조직,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역량의 한계로 새로운 서술을 위한 제언은 그 기본적인 요소만을 짚어 보는데서 그칠 수밖에 없었다. 본 논문이 교육현장에서 노력하고 계시는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조그마한 보탬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In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namely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puting one another over interrelated history. These three countries are experiencing confrontation and conflict about the issue of territorial possession rights surrounding Japanese history textbooks. All this is a conflict in the present time, not the past. Due to such a conflict, we became interested in history education in East Asia. East Asian countries had similar experiences in the past and stood at the crossroads of whether to be the prey of imperialist countries. However, the destinies of the three countries were divided through the wars between countries, such as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 this paper, how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three countries describe the Russo-Japanese War is to be identified. If the differences in description by the history textbooks are related to the current conflict among those countries, a new description with regard to the Russo-Japanese War has been searched for in this study, because a practical alternative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future in which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can peacefully co-exist is required. To do so, the history textbooks of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the features in the mutual correlations in terms of the external form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each textbook's description of the Russo-Japanese War. The description backgrounds of the characteristic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have been also compared in order of Japan, Korea and China. And these were examined by adopting standards of descriptions in each country's textbooks. The results acquir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Korea deal with the Russo-Japanese War very carelessly the textbooks do not handle the war independently but in the context of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Japanese robbing of our national sovereignty. The world history textbooks in Korea just mention the results of the Russo-Japanese War on Russia and Japan very briefly. The Japanese textbooks describe the war as an important occasion in the process of Japan's growth as a modern nation, but these textbooks describe the Russo-Japanese War limited to the facts within Japan. The Chinese textbooks do not describe the Russo-Japanese War at all, while the textbooks of Hong Kong handle the war in detail, contrasting the influences of China and Japan on the dimension of world history. Secon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nto the details of the Russo-Japanese War, by classifying the details of the character, causes, process of progress, conclusion, and influences of the war, the three countries all focus on their own countries big differences in description are found. No descriptions of the Russo-Japanese War as a meaning to switch from the modern times to the contemporary times are found in the three countries' textbooks. The descriptions showing the interventions of the world powers in the Russo-Japanese War are insufficient. The textbooks of Hong Kong, because of their objective description, have become a reference used when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Thirdly, the description standards provided by each country have a huge influence on their own country-focused descriptions. Since the cause of the conflict among those countries lies presumably in the standards provided by each country, a conclusion that a pursuit of a new description beyond those standards is needed has been arrived at. Hence, a review of the content selec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curriculum for a new description on the Russo-Japanese War has been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History that Opens the Future』, a common history auxiliary material that was recently published. Due to limitations in the competence of the author of this paper, the author had no choice but to examine only the basic factors. Hopefully, this paper will be of some help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make great efforts in the front lines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국문초록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대상과 방법 = 2 C. 선행 연구 분석 = 4 D. 연구의 제한점 = 12 Ⅱ. 러일전쟁 서술에 대한 동아시아 각국 교과서 비교 분석 = 13 A. 외형분석 = 13 1. 서술 분량 및 비중 = 13 2. 서술 체제 = 17 B. 내용분석 = 23 1. 러일전쟁의 성격에 대한 교과서 비교 분석 = 23 2. 러일전쟁의 원인에 대한 교과서 비교 분석 = 28 3. 러일전쟁의 전개과정과 종결에 대한 교과서 비교 분석 = 33 4. 러일전쟁의 영향에 대한 교과서 비교 분석 = 39 Ⅲ. 각국의 러일전쟁 서술 배경 비교 분석 = 47 A. 일본 교과서의 러일전쟁 서술 배경 -「學習指導要領」 = 47 B. 한국 교과서의 러일전쟁 서술 배경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과 「준거안」 = 49 C. 중국 교과서의 러일전쟁 서술 배경 -「愛國主義敎育實施綱要」 = 50 Ⅳ. 러일전쟁의 새로운 교과서 서술 모색 = 53 A. 한·중·일 3국의 러일전쟁 서술에 대한 새로운 논의들 = 53 B. 러일전쟁의 새로운 서술의 필요성과 가능성 = 57 C. 러일전쟁의 새로운 서술 제언 = 59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3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0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러일전쟁에 대한 韓·中·日 歷史敎科書 比較 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s of Korea, China and Japan on the Russo-Japanese War - Focusing on Searching for Common Historical Perception in East Asia --
dc.creator.othernameKoh, Hae-kyung-
dc.format.pageⅷ,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