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유아의 신체활동이 유아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의 신체활동이 유아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elf-confidence and pro-social behaviors.
Authors
이고훈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유아의 신체활동이 유아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1-1. 신체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신체활동이 유아의 정서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신체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신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2-1. 신체활동이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신체활동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J유치원과 G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으로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로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와 친사회적 행동 검사가 사용되었다. 자아개념 검사는 Bently와 Yeatts가 공동 제작한 'I feel.... Me feel'을 임춘금(1995)이 번역, 수정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친사회적 행동 검사는 McGinnis와 Goldstein(1990)이 제작한 'Skill Situation Measure'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번역, 수정한 친사회적 행동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는 실험처치가 시작되기 전에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에 5주동안 매주 3회씩 총 15회씩의 신체활동을 실시되었고, 통제집단에는 일상적인 실외놀이가 실시되었다. 신체활동 실험처치 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개념 점수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신체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개념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자아개념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인지적 자아개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신체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 중 개인정서 조절, 대인관계 형성, 유치원 적응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of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elf-confidence and their pro-social behaviors. The study problem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elf-confidence? 1-1.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ognitive self-confidence? 1-2.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confidence? 1-3.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ocial self-confidence? 1-4.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self-confidence? 2.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2-1.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ontrol of personal emotion? 2-2.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human relations? 2-3. Is there any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The experimental group is composed of 25 young children aged 5 in J kindergarten in Seoul,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25 young children aged 5 in G kindergarten in the same area. The survey tools are the following a test from for self-confidence invented by Bently and Yeatts(1974) and adapted by Im Chun Gun(1995), and a test from for pro-social behaviors are based on the Skill Situation Measure developed by McGinnis and Goldstein(1990) and adapted by Lee Won Young(1993). The study i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reliminary test, pre-test, experimentation, post-test. Pre-test covers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In the experimental stage, physical activities are employed 15 times with the experiment group for five weeks while outdoor plays are employ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to obtain the result of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elf-confidence for the experiment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5). In addition, the scores of the sub-items in self-confidence such as emotional self-confidence, social self-confidence, physical self-confidenc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5). But cognitive self-confidence is not significant. Secondly, the score of pro-social behaviors for the experiment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1). In addition the score of the sub-items in pro-social behaviors such as control of personal emotion, human relations,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