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이정미-
dc.creator이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독교 정신을 기초로 운영되는 유아교육 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의 운영 실태가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1-1. 기독교 유아교육의 계획은 어떠한가? 1-2.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 및 방법은 어떠한가? 1-3.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 및 방법(교수학습방법, 신학적 내용 및 방법, 생활영역별 내용, 교수매체)은 어떠한가? 1-4. 기독교 유아교육의 평가는 어떠한가? 1-5. 기독교 유아교육 담당자는 어떠한가? 1-6.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교육은 어떠한가? 1-7.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기독교 연합회에 속한 57곳의 교회부설 유아교육기관, 그리고 45곳의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일반 유아교육기관으로 모두 102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관에 속한 교직원에게 각각 3부씩 총 306부의 질문지를 보내 교직원들의 기독교 교육 운영실태를 알아보았다. 배부된 질문지 중에서 교회부설 유아교육기관 47곳에서 총 141부, 일반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38곳에서 총 112부가 회수되어 교회부설 유아교육기관은 82.5%, 일반 유아교육기관은 84.4% 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무응답이 있거나 성실하지 않은 질문지 2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3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사들의 일반적 사항과 기독교 교육운영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기관유형, 교사경력, 최종학력, 신앙경력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육방법과 신학적 내용 소개 항목, 생활영역별 교육방법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PSS 10.0 통계팩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유아교육에 있어서 교육계획 시 목표와 교육활동이 연계되어서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 선정 방법에 있어서 일반유아교육과정에 기독교적 요소를 첨가하여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기독교 유아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영역과 일과 속에 통합해서 운영하기가 많았다. 셋째, 신학적 개념 소개에 있어서 하나님, 예수님,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비교적 자주 소개 되고 있었으며, 기도는 매일 실시하는 기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경력이 높을수록 하나님, 예수님, 성령, 성경, 기도, 찬송에 대해 소개하는 횟수가 많았으며, 성령, 예배, 헌금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교사가 신앙경력이 높을수록 모든 내용을 자주 소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독교 유아교육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 기도나 성경부분은 기관유형이나,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앙 경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찬송의 경우 기관유형, 교사의 신앙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영역별로 선정된 기독교 유아교육의 교육내용 및 방법의 실시는 기독교 기관에서 더 많이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독교 행사 실시는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추수감사절은 매해 실시하는 기관이 많았으나 여름성경학교는 실시하지 않는 기관도 많았다. 여섯째, 물리적 환경구성 시 기독교 기관이 일반유아교육기관보다 기독교적인 요소를 반영한 물리적 환경구성이 좀 더 이루어지고 있었고, 기독교 교육을 하기 위해서 활용한 활동은 노래, 이야기나누기, 동화 순으로 활동이 많이 활용되며, 이에 반해 동시, 역할놀이, 견학, 요리 등의 활동은 잘 다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수자료 및 교수매체는 그림책, 어린이 성경, 사진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비해, 표본, 모형, 디오라마, 그림극, 실물환등기는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료는 자료를 구입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관이 기독교 기관보다 제작해서 사용하는 빈도는 좀더 높게 나타났다. 구입물품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은 동화이며, 구입 장소는 기독교 서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기독교 유아교육평가는 구두로 하는 경우가 많아 비형식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독교 교육담당자는 교직원이 함께 담당하고 있으며, 기독교 교육계획 시 주로 원장이나 원감과 의논하며, 기독교 교육을 위해서 원장이 하는 일은 극히 제한적이며 대부분 예배를 주도하는 역할에 편중되어 있다. 아홉째,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은 기독교기관과 일반기관 모두 정기적으로 기독교 교육 연합단체에서 연수를 받는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운영실태에 있어서는 기독교기관에서는 주간교육계획안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이루어지며 일반기관은 실시하지 안는다가 높게 나와 부모교육에 대한 실시여부는 매우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by looking into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in kindergartens being managed under the spirit of Christianity.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program for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in Christian kindergartens? 1-1.What is the level of plan for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1-2.What is the level of content and method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1-3.What is the level of content and method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ological content and method, content by living area, and teaching media) 1-4.What is the level of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1-5.What is the level of persons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1-6.What is the level of teach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1-7.What is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member churches of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 and 45 general kindergarten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spirit of Christianity, and 253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tool.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on the collected data to investigate the general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ristian education. Also, ANCOVA was conducted to look into difference in the method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the item of introduction of theologic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methods by living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final experience and religious experience, and the results were processed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0.0.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answers that the objective and educational activity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were connected in educational planning. Second, there were many answers that Christian elements were added to general program for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in choosing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series and daily lessons. Third, there were many answers that the relation among God, Jesus and other people was frequently mentioned in introducing the theological concept, and prayers were offered every day. The more was the teacher's experience, the more was the number of introduction of God, Jesus, the Holy Spirit, the Bible, prayers and praise. Except for the contents of the Holy Spirit, worship and a collection, the more was the teacher's religious experience, the more was the introduction of all the contents. Fourth, concer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a prayer or the Bib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kindergarten and teacher's experience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religious experience. Pra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kindergarten and teacher's religious experience. Fifth, concer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as chosen by living area, they were mostly applied in Christian kindergartens. For Christian events, they held Christmas, Easter and Thanksgiving Day every year but they seldom held Summer Bible School. Sixth, Christian kindergartens implemented physical environmental composition reflecting Christian elements, compared to general early childhood Christian kindergartens. With regard to Christian activities, singing, conversation and fairy tales were applied in order. Seventh, for teaching material and media, picture book, Children's Bible and photos were most used. On the other hand, sample, model, Diorama, paper drama and slide projector of the actual size were seldom used. Teaching materials were mostly purchased for use, and more general kindergartens internally made and used them compared to Christian kindergartens. Most of the purchased teaching materials were fairy tale books, and they were mostly purchased in Christian bookstores. Eighth,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kindergartens was made orally that is, informal evaluation. The persons in charge of Christian education were the teaching staff, and they discussed with the president or supervising teacher in Christian education plann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of kindergarten was extremely limited for Christian education and mostly centered on leading worship. Ninth, there were many answers that teachers of Christian and general kindergartens received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Christian kindergartens in Christian education associations on a regular basis. For parent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kindergartens, it was conducted with weekly education plan in Christian kindergartens but it was not conducted in general kindergartens, which shows great difference in parental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기독교 유아교육의 개념 = 6 B. 기독교 유아교육의 목적 및 목표 = 9 C.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 및 방법 = 12 D. 기독교 유아교육의 평가 = 20 E. 기독교 유아교육 기관의 교사교육 = 21 F.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 23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30 D. 자료 분석 =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2 A. 기독교 유아교육의 계획 = 32 B.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육의 내용 및 방법 = 33 C.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 47 D. 기독교 유아교육 담당자 = 48 E. 기독교 교사교육 = 50 F.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 51 Ⅴ. 논의 및 결론 = 52 A. 논의 = 52 B. 결론 및 제언 = 55 참고 문헌 = 58 기독교 유아교육 실태조사를 위한 질문지 = 63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25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기독교 정신에 기초한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in Christian Kindergartens - Centered on the Seoul Area --
dc.creator.othernameLee, Jung Mi-
dc.format.pageⅹ,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