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품성계발집단상담 집단구성 형태에 따른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 비교

Title
품성계발집단상담 집단구성 형태에 따른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 비교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group cohesion and the session evaluation by the difference of the grope types in the Character-developing group counseling program
Authors
홍순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는 학교에서의 상담활동을 확대시키고자 몇몇 상담프로그램을 개발 · 보급하고 있다. 그 중 초등학생용 집단상담프로그램인 품성계발프로그램 “멋진 우리”는 2001년에 개발되어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품성계발지도자가 품성계발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구성하는 집단의 유형은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담임교사가 자신이 맡은 학급의 학생들을 모아놓고 집단상담을 실시하는 동학급 집단이고, 다른 하나는 담임이 아닌 교사가 각기 다른 학급으로부터 모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는 타학급 집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품성계발집단상담을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할 때, 동학급 집단과 타학급 집단이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에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상담과정(초기 · 중기 · 후기)에 따라 집단원들의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 점수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동학급 집단과 타학급 집단간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 점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 점수에서 집단상담과정과 집단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상담과정을 초기(1~3회기), 중기(4~6회기), 후기(7~9회기)로 구분하고, 집단유형을 동학급 집단과 타학급 집단으로 구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과정(초기 · 중기 · 후기)이 진행됨에 따라 집단응집력 점수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반면, 상담회기평가의 경우는 전체점수, 하위요인별 점수 모두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유형(동학급 집단 · 타학급 집단)에 따라 집단응집력 점수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중기와 후기에 동학급 집단이 타학급 집단보다 의미있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상담회기평가의 경우는 전체점수, 하위요인별 점수 모두에서 두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응집력의 하위요인인 집단관여는 집단유형과 집단상담과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초기에서 중기, 중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두 집단간의 점수차가 의미있게 벌어졌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품성계발프로그램을 동학급 집단에 실시할 때와 타학급 집단에 실시할 때, 두 집단간에 집단응집력에는 차이가 있지만 상담회기평가에는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동학급 집단의 집단원들이 타학급 집단의 집단원들보다 품성계발집단상담에 더 매력을 느끼고 더 잘 참여하지만, 상담의 즉각적인 효과에서는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론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상담회기평가에서 두 집단에 차이가 없으므로 상담자 변인이나 내담자 변인이 상담회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가 프로그램을 실시하느냐, 누가 참여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집단응집력에서는 동학급 집단이 더 우세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았을 때 본 연구가 시사할 수 있는 점은 앞으로 품성계발프로그램을 실시하려는 교사들이 집단형태를 선택할 때 동학급 집단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Recently KYCI(Korean Youth Counseling Institute) is developing and spreading out some counseling programs to promote counseling in schools. Among them, "Fabulous us" , an elementary Character-develop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in 2001 is being popularized in elementary schools. There can be two types of grouping for a Character-developing leader to execute the Character-developing group counseling. One is the homeroom teacher gathering students from his or her own class and the other is gathering students from different classes. This research is about the difference of the cohesiveness and the session evaluation of the two groups, the same-class-member group and the different- class-member group, as applying the Character-developing group counseling in elementary schools.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First, what is the aspect of the change of the scores of the cohesiveness and the sessio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group counseling process(the early period, the middle period, and the last period)? Secondly, how does the difference of the group members, the same-class-members and the difference-class members, affect the cohesiveness and the session evaluation? Thirdly, is th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ing process and the group types? In order to approach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the early period(session1-3), the middle period(session4-6), and the last period(session7-9). In addition, the group types are divided into two, the same-class-member group and the different-class-member group.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s the group process progressed, the score of cohesiveness increased meaningful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ssion evaluation, the scores of both total and the subordinate causes didn't show meaningful change. Secondly, the score of cohesiveness had meaningful change by the difference of the group types.(the same-class-member group, and the different-class-member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ssion evaluation, the scores of both total and subordinate causes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Thirdly, the group participation, which is one of the subordinate causes, showed interaction effect, and this means that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middle and from the middle to the last, the gap between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have meaningfully increased. In conclusion, applying the Character-developing program to the same-class-member group and the different-class-member group,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hesiveness of the two groups. This means that the members of the same-class-member group is more interested in the Character-developing group counseling, therefore they participate well.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stant effect, it mean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wo groups. This infers that the difference of the leader nor the client have no effect on the session evaluation. Therefore it is not important whether who executes the program nor whom participates in 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hesiveness, since the score of the same-class-member group increases more significant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more profitable for the teacher to apply the same-classroom-member group in carrying out the Character-developing group counseling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