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on Writing Skills of Korean Learners
Authors
조인순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With cognitive constructivism writing education applied, a recent Korean writing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aimed at learner-oriented writing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our writing education still remains result-oriented as formalism.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a focus should be placed on personal cognition process and additionally, writing education theory in terms of social constructivism should accepted, which is to emphasize social interaction just like Korean education. It is because Korean learners, poor writers, can solve several problems in writing more easily through cooperation activities, and obtain various opportunities to have communications as well as to use language skills such as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so that they can more quickly achieve the goal of Korean writing, which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e most appropriate way for it is the writing education for solving problems, because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reflects both cognitive 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for emphasizing personal cognition process and social 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for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ccordingly, in the study, Korean writing model and strategy for solving problems was achieved and the model and the strategy reflected both cognitive 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based on writing model and strategy for solving problems studied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up to now. In addition, it was tried to directly apply the model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the following study hypothesis was built. There will be meaningful difference in writing skill improvement between test group with writing education for solving problem and control group for the existing result-oriented formalism writing education. Towards this goal, test was conducted for 20 students in the 5th level,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at university in Seoul. People in the test group received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Korean writing model for problem solving, twice a well for 7 week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allowed to submit their assignments completed in a traditional way and receive feedback only. Also, both groups received preliminary test without notice, 30 minutes before the test and post test, 30 minutes after the test, to find out effects on improving writing skills. Analysis results are the following. It was found to be similarity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reliminary test, but according to post test(t-test), the test group showed improvements from the control group, with 4 points on average in contents, 4.45 points in structure, 2.75 points in accuracy, and 2.2 points in fluency. It was indicated to b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ddition, while the test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the parts of both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any part of two tests. There were also positive results in after-test-conducted reaction test on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That is, positive and favorable answers were overwhelmingly more in interest degree on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Also, some think that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helps to improve writing education in contents, structures, accuracy, and fluency. Accordingly, it is said that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can be a good model for future Korean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ch a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was applied to an actual Korean writing education, to verify the effec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only 20 students in a high level class were targeted and problem solving writing education twice a week for 7 weeks was selected as data. A long term post study should be therefore continued for more number of students, together with for students in both beginner level and intermediate level.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integrated study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should be needed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It is because formalism contents are also one important part of writings, although cognitive 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or social 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can not be ignored important.;최근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은 인지 구성주의 쓰기 교육 이론을 받아들여서 학습자 중심의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을 지향해 나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결과 중심의 형식주의적 쓰기 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도 개인의 인지 과정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국어 교육에서처럼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사회 구성주의 관점의 쓰기 교육 이론도 받아들여야 한다. 미숙한 필자들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협력 활동을 통해 글쓰기에서 부딪치게 되는 여러 문제들을 더 수월하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하기, 듣기, 쓰기 등의 언어 기술을 더 많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가지게 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한국어 글쓰기의 목표에 더욱 빠르게 도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가장 적당한 쓰기 교육 방법이 바로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이다.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은 개인의 인지 과정을 강조하는 인지 구성주의 쓰기 이론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사회 구성주의 쓰기 이론을 함께 반영하고 있는 쓰기 교육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 연구되어온 문제 해결 쓰기 모형과 전략들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구성주의 쓰기 이론과 사회 구성주의 쓰기 이론이 함께 반영된 한국어 문제 해결 글쓰기 모형과 전략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모형을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시켜 보기로 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을 실시한 실험 집단과 기존의 결과 중심의 형식주의적 쓰기 교육을 실시한 통제 집단 간의 쓰기 능력 향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 차이는 유의미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모 대학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5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7주간 1주일에 두 차례씩 한국어 문제 해결 글쓰기 모형에 따른 쓰기 교육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과제물로 쓰기를 제출하도록 하여서 오류 수정만을 해주었다. 그리고 실험 전에 30분간 예고없이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에도 30분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서 쓰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는데 사후 검사 t-test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내용 면에서 평균 4점, 구성 면에서 평균 4.45점, 정확성 면에서 평균 2.75점, 유창성 면에서 평균 2.2점 향상을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 집단 내 사전,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으나 통제 집단 내 사전,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후 검사가 마무리된 후에 실시한 문제 해결 쓰기 교육에 대한 반응 검사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즉 문제 해결 쓰기 교육에 대한 흥미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호의적인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또한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이 내용, 구성, 정확성, 유창성 모든 면에서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서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은 앞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이 지향해 나가야 할 쓰기 교육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 쓰기 교육을 실제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 적용시키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으나, 고급반 학생 20명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 2회씩 7주에 걸친 문제 해결 쓰기 교육 내용만을 자료로 하였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초급과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