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이혜진-
dc.creator이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3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읽기, 쓰기 교육을 담당하는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현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방안을 생각해봄으로써 올바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을 위한 방향 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실태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최종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81명과 공립초등학교 1학년 담임 교사 205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와 관련문헌을 참고하고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자가 유치원 교사용과 초등학교 교사용 2가지로 제작한 질문지였다. 이 도구는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실태에 대한 인식 10문항,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 36문항,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8문항으로 총 5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유치원의 읽기, 쓰기 교육의 전반적 사항들과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데에는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의 읽기, 쓰기 교육의 실태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은 읽기, 쓰기 교육의 요구자, 실시 여부와 실시 이유, 읽기, 쓰기 교육의 시기 및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이 누구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유, 초등 1학년 교사 모두 학부모의 요구라는 의견에 높은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유치원에서 읽기, 쓰기 교육을 체계적으로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교사는 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에서 읽기, 쓰기 교육을 실시한 이유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는 유아들이 문자에 관심을 많이 나타냈기 때문을, 초등학교 교사는 학부모의 요구 때문을 가장 큰 이유로 인식하였다.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는 유아가 관심을 가질 때부터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1학년 교사는 초등학교 진학 직전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적절한 읽기, 쓰기 교육의 수준 역시 유치원 교사보다 초등학교 교사가 더 높은 수준까지 읽기, 쓰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는 유치원 교육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현실이 분명하게 드러나므로 유, 초 연계 교육을 통해서 유아기에 적절한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은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아기에 바람직한 읽기, 쓰기 교육 활동과 자료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는 총체적 언어 관점에 근거한 비지시적, 비형식적 활동과 자료들에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에 비해 초등학교 1학년 교사는 전통적 관점의 부호 중심 접근법에 근거한 지시적, 형식적 활동과 자료들에 높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어생활 내용은 물론 유치원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내용을 포함한 초등학교 1학년의 국어 교육과정이 기본적으로는 총체적 언어 접근에 근거한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하도록 강조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에 준거해서 볼 때, 초등학교 교사들은 총체적 언어 신념으로의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어려움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유아들간의 큰 개인차라는 항목에 높은 반응을 나타냈으나 초등학교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았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간의 상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계성에 대한 인식, 연계 필요성은 초등학교 교사가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 초 읽기 쓰기 교육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유치원 교사는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서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초등학교 교사는 읽기, 쓰기 교육의 체계성을 위해서가 높게 나타나 인식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연계된 읽기, 쓰기 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유, 초 교사 모두 수준별 프로그램 개발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유, 초 교사의 연계성을 위한 공동 연수에 높은 반응을 나타내어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about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t is also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to improv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y identifying flaws in the education and thinking of remedies for those flaw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perceive the present state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2. How do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perceive the teaching method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3. How do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perceive flaws i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remedies for those flaws?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method. It used a sample of 181 kindergarten teachers and 205 first grade teacher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The instrument used for the collection of date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by me through examination of preceding studi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0 questions asking their perceptions of the present state 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36 questions asking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ing method of the education, and 8 questions asking their perception of flaws in the education and of remedies for those flaws.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content validity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test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significant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about whom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s demanded by, whether the education is took effect, why the education should took effect, when the education should be begun, and what the level of the education is. Second, the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in the perception of the teaching methodsof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Finally, the study indicates that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flaws i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remedies for those flaws. More importantly, the research lays groundwork for further empirical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기 읽기, 쓰기의 중요성과 발달단계 = 5 B.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의 읽기, 쓰기 교육 = 12 C.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관점과 교사의 역할 = 18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도구 = 29 C. 연구절차 = 31 D. 자료분석 = 32 Ⅳ. 연구 결과 = 33 A.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실태에 대한 인식 = 33 B.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방법에 대한 인식 = 41 C. 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0 Ⅴ. 논의 및 결론 = 56 A. 논의 = 56 B. 결론 및 제언 = 61 참고문헌 = 64 부록 = 68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30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기 읽기, 쓰기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ers about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c.creator.othernameLee, Hye Jin-
dc.format.pageⅹ,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