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Title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uthors
정향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공,사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어느 정도이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어느 정도이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인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31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Clark(1980)이 개발하고, D'Arienzo(1981)가 수정한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MTOSFQ)를 권기태(1990)가 번안하고 장미아(1996)가 사용한 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5개 하위 영역,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별 점수는 1점~5점이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Jorde- Bloom(1989)이 제작한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 중에서 직무 만족도 구성 요인들을 송유진(1993)이 번역한 검사 도구에 송민재(2000)의 도구에서 ‘사회적 인정’ 요인을 추가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6개 하위 영역, 총 5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별 점수는 1점~5점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증, F 검증,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가장 많은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원아 활동, 경제 관련, 행정 지원, 대인 관련 요인 순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논의해보면 기관 유형, 연령, 경력, 학력, 원장 학력에 따라 전체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담당 유아 수, 원장 유아교육 전공여부에 따라서는 하위요인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관계 요인에서 가장 많은 직무 만족을 느끼고 있으며, 다음으로 원장과의 관계, 직무 자체, 보수와 승진기회, 근무환경, 사회적 인정 요인 순으로 만족하고 있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논의해보면 기관 유형, 연령, 경력, 학력, 원장 학력, 원장 유아교육 전공여부에 따라 전체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담당 유아 수에 따라서는 하위요인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인정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objective of this survey is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egree of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Kyeonggi-province & Incheon-city. Investigation topics are established as below according to the objective. 1. How much do kindergarten teachers build up occupational stress? Is there any difference of occupational stress due to kindergarten teachers' circumstances factors? 2. How much are kindergarten teachers satisfied with their duties? Is there any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due to kindergarten teachers' circumstances factors?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egree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urvey was 316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working in Kyeonggi-province & Incheon-city.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used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egree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tool to investigate occupational stress was developed by Clark(1980), and the questionnaire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was modified by D'Arienzo(1981). This was translated by Kwon Ki-Tae(1990) and modified by Jang Mi-Ah(1996). The tool is composed by 34 stipulations of 5 sub-fields and marks for each stipulation is from 1 to 5 degree. The survey tool of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degree translated by Song Yu-Jin(1993) from ECJS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developed by Jorde-Bloom(1989) was used to survey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degree and a 'socially recognized' sub-factor used by Song Min-Jae was added also. The tool is composed by total 54 stipulations of 6 sub-fields and marks for each stipulation is from 1 to 5 degre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F-verification, Pearson 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e survey is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biggest reason of kindergarte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is due to duty-related factors and kindergarten children activities, economy, administrative support, person relations follow the first reason.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generally at statistical level per institution type, age, career,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of a director if we discuss difference between occupational stress degree due to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factor. Significant difference at sub-factors is found per children number in charge and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director . Second, they feel the utmost satisfaction from relations with their colleague teachers and relations with director, duty itself, salary and promotion opportunity, social recognition are others.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generally at statistical level per institution type, age, career,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background and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director if we discuss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degree due to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factor. Significant difference at sub-factors is found per children number in charge. Third, negative correlation is found at all sub-factors without a socially recognized sub-factor as job satisfaction degree becomes lower if teachers have more stress when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egree is surveyed.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