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화병-
dc.contributor.author이예경-
dc.creator이예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6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6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usical and professional traits required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in Korea, and thereby, analyze the curricula of teachers' colleges and music colleges of university both fostering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nd thereupon, suggest the reform measures for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set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importance of fostering teacher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teachers' traits, and thereupon, reviewed the teachers'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 as well as their major curriculum. In addition, the researcher reviewed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relevant preceding studies as well as secondary school music education and conditions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further reviewed '2002 Report about University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and '2003 Assessment of Teachers' Colleges' published by University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Assessment Group under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thereupon, sampled a total of 7 universities to analyze their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curricula and thereby, address the problems and suggest their solutions as follows; 1.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about music teachers' traits and their training programs, the researcher could confirm music teachers' musical and professional traits as follows: understanding of diverse elements of the Western music, ability to teach about vocal, instrumental and creative music as well as compose, arrange and appreciate music,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bility to teach about it, ability to conduct and accompany music, wide knowledge of music works and literature, knowledge of music engineering and skills, ability to assess music, understanding of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music education, etc. 2. There are not many music teachers that are armed with musical and professional traits required by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for the secondary school music education. Moreover, the current music teachers feel negative towards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specialty, professionalism, preparation for future information-intensive education and connectivity with the classrooms. They also felt it difficult to teach students in the classrooms due to short curriculum hours. 3. According to '2004 Teachers' Training Institutes' published by Division of Teachers' Training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re trained at teachers' colleges, department of education of universities, teachers' programs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eachers' colleges foster 245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nd universities bring up 261 teachers every year. In addition, since 1997 a new curriculum has been operated. Namely, universities have operated a minimum major credit system according to Regulations on Teachers' Qualification Test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Handbook, and thereby, have allowed students to apply for auxiliary majors or multiple majors, and thus, the credits for majors have been reduced.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curricula of 7 sample colleges based on music teachers' musical and professional traits determined by preceding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pedagogic subjects were few and different among colleges, and half the subjects were major optional. 5. In order to help reform teachers' training programs, the researcher developed a standard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ir musical and professional traits and the needs from the music classrooms. The standard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23 subjects for 70 credits. Since the subjects are essential for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it is deemed desirable to set them as compulsory majors or basic major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bout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musical and professional traits will be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econdary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s.;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등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 · 전문적 자질을 알아보고 중등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과 일반대학 교직이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중등 음악교사를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교사 양성 교육의 중요성과 학생성취와 교사의 자질을 고찰하고 법률적 내용을 근거로 우리나라 교사 자격제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전공 교육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음악교사의 자질과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등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 · 전문적 자질을 고찰하였으며 중등 음악교육과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교육 인적 자원부 일반대학 교직과정 평가단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2002 일반 대학 교직과정 평가 보고서」와 「2003년 사범대학 평가결과」를 근거로 총 7개교를 선정하여 추출된 우리나라 중등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 · 전문적 자질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교사의 자질과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 본 결과 우리나라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 · 전문적 자질은 서양음악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 가창 · 기악 · 창작, 작곡 및 편곡 · 감상에 대한 교수 능력, 국악 전반에 걸친 지식과 기술 및 교수능력, 지휘 · 반주 능력, 폭넓은 음악 작품과 문헌적 지식, 음악 공학적 지식과 기술, 평가 능력,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에 대한 이해와 기술 및 음악 교육에 대한 철학적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요구됨이 나타났다. 2. 현재 중등 음악교육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을 준수할 수 있는 음악적 · 전문적 자질을 갖춘 교사는 많지 않다. 또한 현직에 있는 음악교사들은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해 특수성과 전문성 · 미래의 정보화 동향 준비 · 현장 교육과의 연계성에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충분한 교육과정 이수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현장 수업 지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 교육 인적 자원부 교원양성연수과에서 조사하여 발표한 「2004학년도 교원 양성 기관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등 음악교사는 사범대학이나 일반대학 교육과, 일반대학의 교직과정, 교육대학원에서 양성되고 있으며 사범대학 245명, 일반 음악대학 교직 이수과정 261명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1997학년도부터 새로운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교원자격 검정령 시행규칙 및 자격검정 업무편람에 맞게 최소 전공 이수학점제를 도입하여 부전공 또는 복수전공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전공 교육과정의 학점 수는 예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 선행 연구를 통해 추출된 우리나라 음악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 · 전문적 자질을 바탕으로 표집 된 7개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고 분석 요소별로 개설 여부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제시된 과목 과반수 이상이 전공 선택과목으로 나타났다. 5.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음악교사의 음악적 · 전문적 자질과 음악교육현장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을 위한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표준 교육과정은 전체 23과목 70학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시된 과목들은 중등 음악 교사에게 꼭 필요한 최소한의 교과목이라 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과목을 전공필수나 전공 기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우리나라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음악적 · 전문적 자질과 개선 방안이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실태를 재검토하고 더 나아가 그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소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사의 자질과 학습자 학업 성취와의 관계 = 5 B. 교사 양성 교육의 중요성 = 6 C. 교사 자격 제도 = 7 D. 전공 교육과정 = 10 Ⅲ. 음악교사 자질과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 = 14 A. 음악교사의 자질 = 14 B. 바람직한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연구 = 20 C. 미국의 음악교사 규준 = 24 D.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중등 음악 교사에게 요구되는 음악적.전문적 자질 = 35 Ⅳ. 중등 음악교육의 실태와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의 실태 = 42 A. 중등 음악교육의 실태 = 42 B.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의 실태 = 45 Ⅴ. 중등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50 A. 선행 연구를 통한 교육과정 분석 = 51 B. 분석의 결과 및 논의 = 58 C. 개선 방안 = 59 Ⅵ.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6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39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Curriculum for the Secondary Music Teacher in College-
dc.creator.othernameLee, Ye-Kyung-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