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초등학교 음악전담교사의 음악전문적 자질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학교 음악전담교사의 음악전문적 자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ementary Music Teachers' Professional Traits
Authors
석선혜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usic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grade students because it is a starting point of formal music education.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is emphasized as much as is declared that mankind's future will depend on teachers. Despit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is emphasized as such, elementary students are responsible for classroom management, administrative works and other services in addition to the heavy load of teaching job, and as a result, students' right for quality education is impeded. The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whereby those teach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tise are in charge of certain subjects has been operated since 1992 in order to reduce teaching hours and give more time to teachers to study textbooks. Nevertheless, teachers' professionalism has been disputed because those specialist teachers' traits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efficiency of the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and elementary music teachers' professional traits. To this end,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discuss concept and background of the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its changes over time in Korea, its legal ground and operation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ts needs, characteristics, quality and func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content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of music education. Then, from the population of 143 elementary schools in Inchon and Buchon, the researcher sampled 129 schools with music special teachers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items about elementary music teachers' capacity, their musical traits and their music education professionalism.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 to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and subject to T-test and one-way ANOVA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eachers' trait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cheffe test was used to test detailed differences. All the differences analyzed were tested at the levels of significance p<.05, p<.01 and p<.001, while the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iterature about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and surveying the teachers for their traits, it was found that 70.6% of teachers opined that the system was required. 43.4% of them perceived that the system was more or less effective, 24% of them thought that it was effective or very effective and 32.6% of them answered that it was not effective. Accordingly, teachers' overall responses to the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were that it was required but the current system is not much effectiv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professional traits, evaluation of the music learning scored 4.49 points, which was relatively high, but mos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y should continue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for themselves, while being reeducated or retrained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music composition to be more professional. It is almost 13 years since the full-scale operation of the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So, it is required of the government to correctly establish the elementary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improve elementary music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elementary music education, reflecting on those transient trials and errors so far.;초등학교 음악교육은 공식적인 음악교육의 시작으로 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다. 인류의 장래는 교사 수중에 달려있다고 단언할 만큼 교사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은 과중한 수업 부담 이외에도 학급관리, 사무분장, 수업 외 업무부담 까지 안고 있어 질 높은 수업을 받을 학생의 권리를 해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왔다. 이에 따라 1992년부터 담임교사의 수업시수를 경감시키고, 교사에게 교재연구를 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주며, 특히 특정교과에 대해서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가진 교사가 담당하게 하여 지도하는 교과전담제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전담교사의 자질을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한 교사의 전문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전담제의 효율성과 초등학교 음악교과 전담교사들의 음악 전문적 자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하여 교과 전담제의 개념 및 배경, 우리나라 교과 전담제의 변천, 교과전담제 실시의 법적 근거 및 운영방안, 교과전담제의 장 · 단점, 교과전담제의 필요성, 초등교육의 특성 · 자질 · 역할,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내용, 음악교육 전문적 자질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교과전담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부천시와 인천광역시의 초등학교 143학교 중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있는 129개교의 음악 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사항과 초등 음악교과 교수능력, 음악적 자질, 음악교육 전문적 자질로 구분하였다. 응답결과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교사 자질 수준에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인 차임 검증을 위하여 Scheffe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전담제의 이론과 초등학교 교사의 자질 등의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교과전담제가 필요하다가 70.6%로 높게 나타났으나 현행 교과전담제의 효율성은 보통이다가 43.4%로 가장 높았고, 효율적이다 이상은 24%였고, 효율적이지 않다 이상은 32.6%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전담제가 필요하나 현행 교과전담제는 효율적이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전문적 자질 면에서는 음악학습 평가부분은 4.49로 높게 나타났으나 계속적인 자기발전과 국악교육, 작곡 부분은 교사의 재교육이나 연수 등을 실시해서 전문적 자질을 높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으로 실시된 지 이미 13년이나 된 교과전담제가 하루속히 과도기적인 시행착오를 벗어나 올바로 정착됨으로써 초등교육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실질적인 노력 즉, 교사의 연수, 교사의 자기개발 등의 재교육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