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희-
dc.creator박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2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0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29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시간이 크게 늘고, 불과 몇 년 전부터 시작된 아바타 이용도 이제는 일반화되었다. 아바타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늘어나면서 마케팅이나 컴퓨터 기술, 신문 방송이나 경영학 분야뿐만 아니라 심리학 분야에서도 아바타 이용과 자아개념, 자아표현과의 관련성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결과를 현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상의 가상공간에서 신체적 자아를 대표하는 아바타의 외형적 이미지와 현실 세계에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 이 둘의 상관관계를 살피어 실제 외면적인 자아와 가상세계에서 표출되는 외적자아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초등학생들의 아바타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항과 아바타 이미지 유형, 신체만족도를 측정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응답한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아바타 이미지 유형과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x²검증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생들의 아바타 이미지 유형은 청소년들이나 성인들 보다 세분화되지 않았다. 요인분석 결과 아바타 이미지 유형이 이상적 이미지, 실제적 이미지, 환상적 이미지로 나뉘기는 하지만, 군집분석 결과 어느 유형에도 속하지 않는 비유형 이미지집단이 발견되었다. 2. 아바타 이용특성 중 아바타 이용동기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 유형의 차이를 보였다. 각 아바타 이미지집단의 학생들이 모두 ‘재미있으니까’라는 응답을 제일 많이 하였고 특히 비유형 이미지집단에서의 응답자가 다른 집단에서의 응답자 보다 많았다. ‘나를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학생들 중 51.9%가 실제적 이미지를 이용하는 학생들이었고,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라고 응답한 학생들 중 52.4%가 환상적 이미지를 이용하는 학생들이었다. 3. 아바타 이미지집단 간의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제적 이미지집단의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비유형 이미지 집단, 환상적 이미지집단 순으로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초등학생들의 학년이나 성별, 신체만족 정도 그리고 인터넷 이용시간 의 특성에 따라 아바타 이미지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 비유형 이미지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실제적 이미지, 환상적 이미지 순이었다. 4학년 학생들의 신체만족도가 6학년 학생들의 신체만족도 보다 높고, 남학생들의 신체만족도가 여학생들의 신체만족도 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비유형 이미지 또는 환상적인 이미지를 이용하는 6학년 학생들의 비율이나 여학생들의 비율은 높지 않았다. 신체만족 정도에 따른 아바타 이미지 유형의 차이를 성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신체만족 정도가 높은 여학생들의 경우에만 비유형 이미지 보다 실제적 이미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테넷 이용시간에 따른 아바타 이미지 유형의 차이에서 하루 인터넷 이용시간이 4시간 이상인 경우에만 환상적 이미지를 이용하는 학생들이 비유형 이미지나 실제적 이미지를 이용하는 학생들 보다 많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mages and body cathex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th-grade and sixth-grade students at two schools in Goyang, Kyunggi.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about types of avatar images and body cathexe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a one way ANOVA and a scheffe test.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atar image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factor score analysis, the avatar images were classified into ideal image type, real image type and fantastic image type, but the avatar user groups were classified into none-type image group, real type image group and fantastic type image group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 motivations for using the avatars were not to show their individual characters or conscientiousness around others but to enjoy their own entertainments or interests. 2.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avatars according to the types of avatar im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avatar images according to the motivations for using the avatars. 3. Differences of body cathexes between the avatar image groups. I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avatar images through one-way ANOVA, the real image group was the highest group in the body cathexes. The next groups were the none-type image group and the fantastic image group. 4.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mages and body cathexe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mages and body cathexes through a chi-square tes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children's use of different types of avatar images between grade and gender. The number of none-type avatar image users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real image or fantastic image users, and there were more real image avatar users than fantastic image us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아바타 = 4 1. 아바타의 개념 = 4 2. 아바타의 특성 = 6 3. 아바타의 유형 = 7 4. 아바타 이용자들의 특성 = 8 B. 신체만족도 = 10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대상 = 14 B. 연구도구 = 14 1. 아바타 이용특성에 관한 기초자료 설문지 = 14 2. 추구하는 아바타 이미지 유형에 관한 설문지 = 14 3. 신체만족도에 관한 설문지 = 16 C. 연구절차 = 17 D. 자료분석 = 17 Ⅳ. 연구결과 = 18 A. 초등학생들의 아바타 이용특성 = 18 1. 학년별 아바타 이용특성 = 18 2. 성별 아바타 이용특성 = 20 B. 아바타 이미지 분석 = 23 1. 추구하는 아바타 이미지 요인분석 = 23 2. 추구하는 아바타 이미지에 따른 아바타 이용자 분류 = 25 C. 신체만족도 분석 = 26 1. 학년, 성별 신체만족도 분석 = 26 2. 아바타 이미지집단 간의 신체만족도 차이 = 27 D. 특성별 아바타 이미지 유형 분석 = 28 1. 아바타 이용특성에 따른 아바타 이미지 유형 분석 = 28 2. 특성별 아바타 이미지 유형 분석 = 30 Ⅴ. 논의 = 34 Ⅵ. 참고문헌 = 38 부록 = 42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55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들의 아바타 이미지 유형과 신체만족도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avatar images and the body cathex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Park, Yeong-Hee-
dc.format.pagev, 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