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운식-
dc.contributor.author권선미-
dc.creator권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8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인간 사회와 환경’ 과목은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종합적으로 사회 현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간들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지리적 · 역사적 ·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계로 인하여 학제적 통합에도 불구하고 영역별 내용 중심으로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내용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보다는 ‘과정 및 방법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STS 교육은 과학 교육에서 시작된 움직임으로 과학, 기술,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주제 및 과정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 사회와 환경’ 교과서의 STS 내용과 교수-학습 활동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STS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한 뒤 전통적인 교수-학습 지도안과의 비교를 통하여 사회과 STS 교육의 도입의 가능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 사회와 환경’ 교과서에서 STS 관련 내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과서의 STS 관련 내용 분석과 교수-학습 활동 유형 분석을 하였다. STS 관련 내용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STS 주제들을 재구성하여 STS 관련 내용의 분량을 분석하였다. STS 관련 교수-학습 활동 유형의 분석은 영국의 과학교육 프로그램인 SATIS 프로그램을 사회과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기준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탐구 활동과 자료오리기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STS 교수-학습 지도안과 전통적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선정 단원은 ‘환경 친화적인 인간 사회’ 단원으로 STS 교수-학습 지도안은 자료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지는 개별 학습과 토론 및 토의가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을 동시에 포함하는 JigsawⅡ 모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서 STS 관련 내용의 비율과 STS 관련 교수-학습 활동 유형의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인간 사회와 환경’은 사회과와 현대 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진 과학 및 기술의 통합이 이루어지는 STS 교육의 적용이 가능하다. 둘째, 전통적인 교수-학습 지도안과 STS 교수-학습 지도안은 내용 및 주제, 교수-학습 기법,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 있어서 구성의 차이를 보인다. STS 교수-학습 과정은 주제 및 문제 중심의 접근, 통합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통한 사회 현상의 종합적 이해,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과 자료의 활용을 강조한다. 따라서 기존의 교수-학습 방법에 비하여 학생의 생활 경험과 지식의 상호작용을 통한 개인의 주변적 사고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STS 교수-학습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사회과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다양한 사회 현상의 종합적 이해와 합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추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논의된 방향으로 사회과 내용이 구성되고 수업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개발된 STS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한 효과와 학습 주제, 학습자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현장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는 교사의 노력과 의식의 변화를 강조한다.;“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course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has a complex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based on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of human environments. STS education began as a part of purpose to improve education of science course. It is the method which deals with interactions among many fields such as science, technology, society,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and emphasizes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a focus on "topic". The study attempt to analyze details of STS education and patterns of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textbook of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and, to design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STS teaching-learning process, to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one in order to examine if STS method can be applied to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he result may be summarized is follows. First, I think out that the percentage of STS 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 is high and so is that of activity patterns of STS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means that STS education can be applied to teaching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in that it links the course with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nfluences the society more and more. Secon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teaching-learn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STS in its content, topic, method,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by STS education puts greater importance on focusing on topics and problem-solving, overall understanding social phenomena by integrated methods, self-leading classes by learners, and using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STS education will help students able to comprehend and reasonably solve diverse social problem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eaching social studies and as a result makes learners qualified for leading democratic society. Finally, this thesis concluded to improve social studies education, two proposals need to be introduced. One is, most importantly, to examine relations, on the very actual spot of education, between effects of the teaching plan of STS teaching-learning and learning matters and learners' traits. The other is to be followed by teachers' efforts and new point of view to encourage students to lead classes actively just as STS education emphasiz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4 Ⅱ. STS 교육과 ‘인간 사회와 환경’ = 7 A. STS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 7 B. 사회과에서의 STS 교육 = 11 C. ‘인간 사회와 환경’과 STS 교육 = 17 Ⅲ. ‘인간 사회와 환경’의 STS 내용과 교수-학습 활동 분석 = 22 A. 분석 기준 = 22 B. 분석 결과 = 27 Ⅳ. ‘인간 사회와 환경’의 교수-학습 지도안 = 32 A. STS 교수-학습 지도안 = 32 B. 전통적 교수-학습 지도안과 STS 교수-학습 지도안의 비교 = 45 Ⅴ. 결론 및 제언 = 47 참고 문헌 = 49 부록 1-공통자료 = 53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29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인간 사회와 환경’의 STS의 내용 분석과 교수-학습 지도안 설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STS Teaching Models In Case of High School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Kwon, Sun-Mi-
dc.format.pageⅴ,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