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배지영-
dc.creator배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3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19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9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한국어 호칭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혀내고 한국어 교육에서 호칭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어떤 호칭을 사용하는지 설문지를 통해서 알아보았고,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냄으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호칭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했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호칭에 대한 연구를 국어학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한국어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호칭의 정의와 호칭의 유형, 호칭선택의 변수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Ⅲ장에서는 실험도구와 자료 분석 방법을 서술하였고, 예비실험과 그 결과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본실험의 실험기간과 실험방법, 실험대상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한국어 호칭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정(Chi-Square)으로 검증하였다. 이 검정에서는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다. 연구대상은 한국어 모어 화자 100명과 한국어 학습자 50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설문 문항은 아는 사이인가의 여부, 성, 연령, 친밀도, 지위 등 호칭 선택의 변수에 따라 문항을 선정했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본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고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호칭선택의 변수에 따라 분석할 수 있었다. 먼저 크게 아는 사이인가 모르는 사이인가에 따라 나누고 아는 사이일 경우에는 친밀감의 유무에 따라 다시 나눌 수 있었다. 친밀감이 있는 사이에서는 호칭을 선택할 때 직위보다는 나이를 더 고려했고, 친밀감이 없는 사이에서는 호칭을 선택할 때 나이보다는 직위를 더 고려했다. 그리고 모르는 사이인 경우에는 주로 처소형 호칭이 많이 사용되었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호칭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어떤 상황과 청자가 누구냐에 따라 한국어 모어 화자가 고려하는 호칭선택의 변수가 교육되어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호칭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다양한 한국어 호칭 유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특정한 호칭 유형이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에 존재하는 다양한 한국어 호칭에 대해서 접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한국어 호칭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하겠다. 셋째는 한국어 호칭이 상황과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청자가 동일인물이라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호칭이 선택될 수 있음이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호칭은 차이가 있다. 한국어에 존재하는 다양한 호칭의 유형과 호칭을 선택할 때 고려되는 변수들과 호칭이 사용되는 상황이 한국어 교육에서 제시될 때 그 차이를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 중의 하나가 한국어의 다양한 호칭을 학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호칭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한국어 호칭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This paper aims to bring it to light the perspective of teaching method of korean terms of address people by comparing native Korean speakers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usage of addre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study how the two groups address respectively and it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terms of address. The construc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PartⅠ. explain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summarizes previous researches on address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respectively. Part Ⅱ. examines the concept of address, patterns of address and variability of addressing, on all of which this paper is grounded. Part Ⅲ. explains test module, method of material analysis, pre-test and its results, together with test period, test method and introduction of examinees. In order to know the way of addressing people by the two groups, questionnaires were planned and SPSS statistic program was utilized and results were verified by χ² (Chi-Square). In the research, verification takes place when consideration standard P<.05. Studying objects selected to the program are composed of 100 native Korean speakers and 50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Questions on the questionnaires take in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sex, age, familarity, position that affect designation. The results drawn from the study are discussed. Part Ⅳ. examines the plausibility of applying the research outcome that comes from this experiment to Korean language teaching. Research results can be analyzed by the choice of address. Firstly, they were divided by whether they knew each other or not, then how well they knew each other. It shows that when familarity is concerned, age is considered more than position, while no familarity is concerned, vice verse. Moreover, between unknown people, fixed ways of addressing is often used. Part Ⅴ. Based on this result, I would propose three ways of teaching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to address. First,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 and listeners, it should be taught to non-native Korean speakers that what native Korean speakers consider and choose to address, so they will not feel it difficult to choose a form of address. Secondly, various different Korean forms of address should be taught to non-native speakers. As it can be learned from the questionnaire filled out by non-native speakers, they prefer a certain form of address. This only shows that they were not exposed to different situations when many other forms can be used. So we should teach non-native speakers as many forms as possible of address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to achieve better communication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Thirdly, forms of address vary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It should be brought to mind to the non-native speakers that even if talking to the same person, when situation changes, forms of address change accordingly. Part Ⅵ. is a summary of this research. It is apparent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when they address people. When enlightening non-native Korean speakers of the differences, i.e. teaching them all the extant forms of address, factors that matter in addressing and variabilities by situation, it will surely help to improve their Korean. For non-native Korean speakers, to master different forms of address is one of the difficult parts in learning Korean.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bring attention to Korean educators the importance of teaching address in their Korean classes, and if continual effort in the direction that this research lies in is put,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호칭의 정의 = 6 B. 호칭선택의 변수 = 8 C. 호칭의 유형 = 9 Ⅲ. 연구방법 = 15 A. 실험도구 = 15 B. 자료 분석 방법 = 16 C. 예비실험 = 16 1. 실험기간과 실험방법 = 16 2. 실험대상 = 17 3. 실험결과 = 18 D. 본실험 = 22 1. 실험기간과 실험방법 = 22 2. 실험대상 = 23 Ⅳ. 결과분석 = 25 A. 아는 사이일 때 = 25 1. 친밀감과 연령이 다른 상황 = 26 가. 연상의 친한 선배를 부를 때 = 26 나. 연하의 친한 선배를 부를 때 = 29 다. 연상의 별로 친하지 않은 선배를 부를 때 = 31 라. 연하의 별로 친하지 않은 선배를 부를 때 = 33 2. 친밀감과 직위가 다른 상황 = 35 가. 연상의 친한 선배를 부를 때 = 35 나. 연상의 별로 친하지 않은 선배를 부를 때 = 36 다. 연상의 친한 후배를 부를 때 = 37 라. 연상의 별로 친하지 않은 후배를 부를 때 = 39 3. 직위와 연령이 다른 상황 = 41 가. 연하의 선배를 부를 때 = 41 나. 동갑인 선배를 부를 때 = 42 다. 연상의 후배를 부를 때 = 45 B. 모르는 사이일 때 = 47 1. 길거리에서 모르는 사람을 부르는 상황 = 49 2. 음식점에서 종업원을 부르는 상황 = 54 3. 가게에서 주인을 부르는 상황 = 58 Ⅴ. 한국어 호칭 교육의 방향 = 63 A. 호칭 선택의 변수 교육 = 63 B. 한국어 호칭의 유형 교육 = 65 C. 상황제시에 따른 호칭 교육 = 68 Ⅵ. 결론 = 72 참고문헌 = 76 부록 = 78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80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호칭사용양상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ng Native Korean Speakers and Non-Native Korean Speakers' Usage of Korean Terms of Address-
dc.creator.othernameBae, Ji Young-
dc.format.pagev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