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 Download: 0
김일성 시기 북한 '조선반도 비핵' 담론의 형성과 변화
- Title
- 김일성 시기 북한 '조선반도 비핵' 담론의 형성과 변화
- Other Titles
- A study of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North Korea’s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under Kim Il-sung
- Authors
- 강다연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북한학과
- Keywords
- 비핵, 비핵지대, 비핵화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박원곤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일성 시기 발현된 북한의 ‘조선반도 비핵’ 담론의 구성 체계와 그 변화 양상 및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시기는 한반도에 대한 북한의 비핵 담론이 처음 형성되었다는 점, 현재 북한의 비핵 정책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충분한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조선반도 비핵’ 담론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왜 발생했는지 파악하기 위해 『로동신문』에 게재된 ‘조선반도 비핵’ 관련 기사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및 내용 분석, 그리고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담론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사 게재 빈도수 분석 및 텍스트 클러스터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사 게재 빈도수 분석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사 게재 수의 증감으로 북한 당국의 중요도 인식이 변화했음을 파악하였다. 텍스트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담론 내용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1981~1985년(1기), 1986~1988년(2-1기), 1989~1991년(2-2기), 1992~1994년(3기)로 시기가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담론 내용상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텍스트 클러스터링 결과를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시기별 담론 체계를 살펴보았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단어 빈도수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활용하여 담론 체계를 구성하는 핵심 단어 및 핵심 주제를 분석하였다. 시기별 핵심 단어는 50개씩 추출하여 표와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여 살펴보았다. 핵심 단어를 이루는 최빈출 단어 및 주변 단어들의 구성과 빈도 순위가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핵심 주제의 수는 주제별 내용이 명확히 구분되는 4개로 설정하여 시기별 핵심 주제를 4개씩 도출하였다. 담론이 태동하던 1기 ‘조선반도 비핵지대’ 창설 논리를 강변하고 남한의 핵기지화를 폭로했다면, 2-1기에 들어서는 ‘평화’를 중심으로 자신의 평화 노력을 과시하는 가운데 세계인민에 연대투쟁을 호소하고, 한반도 핵문제를 국제문제화하는 등 공세적으로 담론을 전개하였다. 2-2기 핵개발 의혹을 부인하는 등 수세적 국면에서 3기에는 IAEA로부터 피사찰 사실을 선전하고 비핵화 공동선언을 임의 해석하여 한미를 공격하는 등 담론 체계를 구성하는 중심 주제를 파악하고 시기별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앞의 분석 결과에서 포착한 담론 체계의 변화가 왜 나타났는가에 대해서는 기사 내용 분석을 통해 배경적 요인을 탐구하였다. 세계, 한반도, 북한 내부 차원에서 담론 체계를 형성하고 변화시킨 상황과 사건들에 주목하였다. 기사 내용에 직접적으로 언급된 주변 상황 및 담론의 맥락상 유추할 수 있는 북한 당국의 의도와, 시기별 ‘조선반도 비핵’ 개념과 담론 체계 사이의 연결점을 찾고 인용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조선반도 비핵’은 대외 담론인 만큼 국제 정세의 변화가 즉시 반영되고, 한반도 내 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북한 내부의 통일전략 및 경제 상황 등도 담론 체계의 변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파악한 사실은 첫째, ‘주한미군 핵무기 철수’는 ‘조선반도 비핵’ 담론의 핵심 개념으로 일관되게 주장되었다. 둘째, 대외환경의 유불리에 따라 담론 전개 양상이 공세적 또는 수세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조선반도 비핵’ 담론은 북한이 핵개발을 본격화하며 그것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했다. 담론에 드러난 핵심 주제와 그 배경적 요인들을 면밀히 살펴볼 때 북한 주장의 모순 속에서 ‘조선반도 비핵’ 주장에 핵개발 정당화 의도가 담겼음을 읽어낼 수 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동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양적 분석 및 질적 분석을 병행하여 ‘조선반도 비핵’ 담론 체계를 파악하였다. 둘째,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정책의 기원인 김일성 시기 ‘조선반도 비핵’ 담론을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북핵협상 전략 수립 시 참고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 셋째, 세계·한반도·북한 내부 등 다차원적 배경 요인 탐구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주장의 의도와 관련한 기존 학계의 해석에 보충이 될 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North Korea’s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during the Kim Il-sung era, as well as its changing patterns and factors. This period is worthy of further observation and analysis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North Korea’s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was formed and the beginning of North Korea’s current non-nuclear policy.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was formed, what changes occurred over time, and why, a text mining analysis, content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of articles on ‘Korean Peninsula Non-nuclear’ published in Rodong Sinmun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low of discourse, this study conducted article frequency analysis and text clustering analysis. The articl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changed over time to reflect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text clustering analysis categorized the periods as 1981~1985 (period 1), 1986~1988 (period 2-1), 1989~1991 (period 2-2), and 1992~1994 (period 3) based on the similarity of discourse content.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system of each period based on the text clustering results to analyze the changes in discourse content. Among the text mining techniques, 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keywords and key topics that make up the discourse system. The keywords for each period were extracted in groups of 50 and visualized in tables and word clouds. The composition and the frequency ranking of the most frequent and peripheral words that make up the core word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eriod. Meanwhile, this study set the number of key topics at four, with clearly separated thematic content, and four key topics were identified for each period. If period 1 of the discourse emphasized the logic of creating a ‘Nuclear-Weapons-Free Zon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xposed that South Korea had become the US nuclear bases, period 2-1 of the discourse centered on “peace” and displayed North Korea’s peace efforts, called on the people of the world to fight in solidarity, and aggressively developed the discourse by making the nuclear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an international issue. The study identified the key topics that constituted the discourse system, such as denying the suspicion of nuclear development in period 2-2, touting the fact of IAEA inspection and attacking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rough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on Denuclearization in period 3.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changes in the key topics over time. Background factors were explored through article content analysis to understand why the discourse shifts captured in the previous analysis took place. The analysis focused on situations and events that shaped and changed discourse systems in the worl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side North Korea. The connecti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system over time and the intention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an be inferred from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directly mentioned in the articles,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quotations. As ‘Korean Peninsula Non-nuclear’ is an external discourse, it is immediately reflected in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e discourse is sensitive to changes in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seen that the unification strategy and economic situation inside North Korea have also played a role in changing the discourse system.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withdrawal of U.S. military nuclear weap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was consistently asserted as a key concept in the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Second, the discourse has shifted from offensive to defensive,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Third, the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iscourse served as a means of legitimizing the fact that North Korea had seriously embarked on nuclear development. A close examination of the key topics of the discourse and the factors behind them reveals that the contradictions in North Korea’s claims suggest that the ‘Korean Peninsula Non-nuclear’ was intended to justify its nuclear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discourse system of ‘Korean Peninsula Non-nuclear’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Rodong Sinmun articles. Second, by analyzing the discourse of ‘Korean Peninsula Non-nuclear’ during the Kim Il-sung era, which is the origin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policy, this study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nuclear negotiation strategy against North Korea. Third, by exploring multidimensional background factors such as the world, the Korean Peninsula, and inside North Korea, this study provides concrete arguments to complement the existing scholarly interpretations of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claim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