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 Download: 0

장애아동 재활지원 사회서비스 법제에 관한 연구

Title
장애아동 재활지원 사회서비스 법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Service Legislation for Supporting Rehabilita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김인혜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장애아동, 사회서비스, 행정입법, 사회보장수급권, 법률유보의 원칙, 포괄위임금지의 원칙, 발달재활서비스,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대인
Abstract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10년 이상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고, 그 결과 18세 미만의 아동 인구가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같은 연령을 기준으로 장애를 등록한 아동은 오히려 늘어났는데, 이는 태어난 아동 중에서 등록 장애아동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등록하지 않은 장애아동, 장애위험군 아동, 장애경계선 아동까지 포함한다면 발달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 짐작된다. 장애아동이 보다 나은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지속적으로 재활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재활을 통해 습득된 기술은 장애아동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부분인 데 반해 높은 비용 등으로 인해 충분할 정도로 재활을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재활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재활지원 사회서비스는 대상자를 선정할 때 장애유형, 가정의 중위소득에 따라 일부의 장애아동에게만 사회서비스수급권을 인정하고 있어 선별적 성격을 띠고 있다. 장애아동으로서 누리는 사회보장수급권은 장애아동이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 전제되는 헌법상의 권리이다. 그리고 장애아동이라는 사회보장의 대상, 재활이라는 사회보장의 내용, 사회서비스라는 사회보장 형식 모두 국가가 적극적으로 보호해야하는 가치이므로, 장애아동의 사회서비스수급권 역시 헌법상 도출되는 권리로 이해한다. 장애아동에게 제공되는 사회서비스수급권의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항인 대상자 선정 기준과 수급 내용,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권리를 제한하는 내용은 법률유보의 원칙에 따라 법률로 정해져야 하고, 구체적인 사항을 법규명령으로 위임할 때도 포괄위임금지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서비스수급권은 행정절차의 진행을 적절하게 보장받을 권리의 충실한 보장으로 실현될 수 있다. 대표적인 장애아동 재활지원 사회서비스에는 보건복지부의 발달재활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 교육부의 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서비스가 있다. 사회서비스마다 각각 다른 법률에 근거를 두고 있고, 수급 대상자 선정 기준과 지원 금액, 구체적인 제공 서비스 내용 등을 모두 다르게 정하고 있다. 이에 각각의 사회서비스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사회서비스수급권이 제한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였고, 재활이 필요함에도 사회서비스를 수급할 수 없는 장애아동이 존재하게 되었다. 장애아동 사회서비스수급권을 헌법상의 권리로 이해하는 데에 대한 실익은 이와 같이 현재의 장애아동 재활지원 사회서비스가 미처 보장하고 있지 않는 부분에 대한 보충적 논의를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발달재활서비스는 「장애아동 복지지원법」에 지원 근거를 두고 있다. 사회보장의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항인 대상자 선정과 지원 내용에 관한 결정은 법률에서 시행규칙으로 위임하고, 시행규칙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재위임하여 결국 지침으로 마련되었다. 지침에서 대상자 선정 기준으로 6개의 등록 장애유형과 가정의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을 충족하는 장애아동에게만 사회서비스수급권을 인정하고 있어 기준 외의 등록 장애유형을 가진 장애아동의 사회서비스수급권을 제한하게 되었다. 지역사회서비스는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를 두고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법규명령에서 위임과 재위임을 통해 지역사회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이 지침으로 모두 정해지게 되었고, 그 위임의 내용이 포괄적이어서 넓은 행정입법재량으로 지역사회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게 되었다.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와 아동ㆍ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는 장애위험군 아동을 대상으로 재활을 지원하는 중요한 사회서비스이나, 장애유형의 제한, 사회서비스 수급기간의 제한, 거주 지역, 기준 중위소득 기준 등에 따른 장애아동 사회서비스수급권 제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사회보장 영역에서의 행정입법재량에 관한 대법원 판례와 헌법재판소 결정을 검토하여 현재 재활지원 사회서비스에서 대상자 선정기준에서 ‘장애유형’을 제한하고 있는 것은 장애아동 사회서비스수급권과 평등권의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항에 대한 제한임을 확인하고, 거주 지역, 소득 기준, 중복 수급 제한도 장애아동 사회보장수급권의 본질적인 사항에 대한 제한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장애아동의 사회보장수급권의 제한을 장애아동간 평등권 침해의 논의로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장애아동의 사회보장수급권의 본질적인 내용과 제한을 행정규칙인 지침으로 정한다는 것은 그 과정에서 장애아동과 보호자의 의견이 제대로 수렴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권리를 제한하는 데 있어 민주적 정당성이 충분한 수준으로 확보되지 못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사회서비스의 법령 체계를 검토한 결과, 위임과 재위임을 통해 행정규칙 수준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정하면서 행정입법재량을 넓게 발휘할수록, 그리고 법률유보의 원칙과 포괄위임금지의 원칙을 완화해서 적용할수록 장애아동의 사회보장수급권과 평등권의 제한의 여지가 더 많이 존재하게 되었고, 이에 사회보장영역에서의 행정입법과정에서도 법률유보의 원칙과 포괄위임금지의 원칙을 보다 원칙적으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애아동의 재활지원에 관한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항에 대한 결정은 다양한 논의를 거친 후 법률로 정하고, 다른 장애아동 사회보장수급권의 구체적인 사항들도 입법절차가 보다 보장되어 있는 법규명령으로 정함으로써, 장애아동의 사회보장수급권이 보다 두텁게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The total fertility rate in South Korea has been declining for over a decade, resulting in a notable decline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However, the number of children under 18 with registered disabilit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dicating that th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registered disabilities is increasing. If we include unregister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ose at risk of disability and those on the borderline of disability, the number of children with significant difficulties in their developmental process is estimated to be considerable. It is important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tinue to receive rehabilitation at the right time to help them acquire better physical, mental and social skills. Although the skills acquired through rehabilitation are essentia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live a dignified life, the high cost of rehabilitation can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access it. Therefor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a range of social services to support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vertheless, social services for rehabilitation remain selective, as only some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y be eligible,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average income of the family.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as a child with a disability is a constitutional right that is a prerequisite for a child with a disability to lead a dignified life. Similarl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beneficiaries of social security, rehabilitation as the content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services as the form of social security are all values that the state must actively protect. Thus, the righ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social services is also understood as a constitutional right.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aspects of the right to social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and the content of the services, as well as the restriction of the right to receive them , should be determined by law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This right to social services can be realised by faithfully guaranteeing the right to an adequate guarantee of the progress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main social services that support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 Programs(CSS) and Therapeutic Support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Each social service is based on different laws and has its own criteria for selecting beneficiaries, levels of support and specific services that are provided. This has led to blind spots, where the right to receive social services has been limited due to not meeting the selection criteria for each service. Consequently, it has happened that there a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not recognised as having a right to social services, even though they are in need of rehabilitation. The practical benefit of understanding the right to social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 constitutional right is to fill the gaps that are currently covered by social services for rehabilitatio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based on ‘Act on the Support of Welf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cisions on the selection of eligibility and the content of support,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aspects of social security, are delegated from the Act to the Implementing Regulations, which are in turn delegated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and finally to the guidelines. These guidelines limit the right to social service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meet only the criteria of six registered types of disability and the median family income, thereby limiting the right to social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utside the criteria.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 Programs(CSS) i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Act on the use of social services and the management of vouchers'. However, the specific content of CSS has been determined through delegation and re-delegation in the legislative Rules and the content of the delegation is broad, leaving the administration with wide legislative discretion to determine the specific content of CSS. Even though early Childhood Development Service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are important social services that support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y, the right to social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been restri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the duration of the social service, the region of residence and the median income standard, etc. The fact that the contents and limits of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determined by administrative rules, known as guidelines, means that the view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carers may not be adequately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cess, and that there is insufficient democratic legitimacy in restricting their rights.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law on administrative legislative discretion in the field of social security, confirming that the restriction of the type of disability is an important and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social services and of equalit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also points out that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can be restricted by residence, income and receiving multiple benefits, and makes concrete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is. In addition, a review of the legal framework of each social service shows that greater administrative and legislative discretion through blanket delegation leads to greater limitations on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and equal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also provides for the need to apply more strictly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and the doctrine of non-blanket delegation in the field of social security. It is to be hoped that the administrative legislative process in the field of social security will more fully apply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and the doctrine of non-blanket-delegation in determining the content of essential and important matters, and that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for rehabilitation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ll be more fully guarante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