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 Download: 0
직장 내 성희롱에서 비롯되는 성별화된 수행 노동
- Title
- 직장 내 성희롱에서 비롯되는 성별화된 수행 노동
- Other Titles
- Gendered performative labor resulting from workplace sexual harassment
- Authors
- 이지원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여성학과
- Keywords
- 직장 내 성희롱, 카페, 여성 노동, 감정노동, 성별화된 수행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이은아
- Abstract
- 본 논문은 미투 운동 이후 교착 상태에 놓인 여성 안전을 새롭게 사유하기 위해, 미투 운동에서조차 소외되었던 카페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에 주목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카페를 직장 내 성희롱의 사각지대로 지목하고, 카페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직장 내 성희롱을 제어하기 위해 성별화된 수행 노동을 일상적으로 감수하게 되는 맥락을 언어화한다.
여성들은 카페 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핵심 집단이다. 하지만 이 여성들은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한 카페 산업에서 체계적으로 고립되어 왔기에 이는 성평등 노동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카페 산업의 노동환경과 직장 내 성희롱 실태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피해가 만들어지는 구조에 초 점을 두었다. 무엇보다 카페 산업은 대개 상시근로자 10인 미만의 사업장으로 구획되어 있기에, 본 논문은 노동 특성, 조직 문화, 위험 관리 체계, 사용자 및 관리자와의 관계 등이 사업장 규모와 맞물려 카페 산업 내에서 직장 내 성희롱을 만연하게 만드는 맥락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마땅한 구제수단이 없는 업무 환경에서 여성 종사자들은 성희롱에 대한 감정 관리도 카페 노동의 일부라고 간주한다. 기본적으로 카페 노동이 수행되는 맥락의 대전제는 감정노동에서 출발한다. 이때의 감정노동은 성별화된 노동의 한 양태가 된다. 과거 전통적인 성 역할 고정관념은 여성에게 부드러운 어조, 수용적인 태도, 항시적 미소, 공격적이지 않은 외양 등을 요구하였다. 이것이 현대의 감정노동의 틀 아래 고객 응대를 위한 업무 표준으로 변용되었다. 이로 인해 카페 산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은 고객으로부터 원치 않는 성적 접촉을 경험하였을 때조차 조직이 지시한 표현 규범대로 ‘인위적인 온화함’을 연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감정 체계의 변형을 내재화하는 카페 여성 종사자들은 그들이 구사해야 하는 ‘인위적인 온화함’을 이질적으로 경험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카페 여성 종사자들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혹실드의 ‘감정 체계의 의도적 변형’개념을 변주하여 ‘감정노동의 성별화된 기획’ 개념을 새롭게 제안한다. ‘감정노동의 성별화된 기획’에는 (1) 성희롱을 능력껏 감내할 것 (2) 성희롱에 무력해질 것이라는 양가적인 명령 코드가 깔려 있다. 혹실드가 고안한 감정노동개념을 확장적으로 사유할 때, (1) 성희롱을 능력껏 감내해낼 것 (2) 성희롱에 무력해질 것을 수반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요구되는 감정노동에는 여성의 몸에 대한 통제가내포되어 있다. 그래서 감정노동을 앞세우는 카페 산업의 성별화된 기획 아래 여성종사자들은 이 두 가지 명령 코드 안에 자신을 억지로 끼워 맞춘다. 본 논문의 연구참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체념적 태도는 바로 이러한 감정노동의 성별화된 기획에 따른 증상이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가 교차하는 구조에서 서비스 산업의 ‘친절하게 대하기’는 철저히 성별화된 방식으로 기획된다. 그래서 카페 업계 내의 여성 노동자들이 이렇듯 직장 내 성희롱에 임의적으로 대응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도, 노동에 대한 충분한 보상 체계를 갖추지 않는 카페 업계는 감정노동의 수행이 성별화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는다. 애초에 업계의 책임 소관이 아니므로 보상의 범위에서도 고려할만한 의미값이 없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카페 산업이 여성 종사자들로 하여금 직장 내 성희롱을 사건화하지 않도록 훈련시키는 감정관리의 성별화된 배분체계 기저에는 카페 산업의 여성 종사자에 대한 멸시와 비하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카페 산업은 직장 내 성희롱을 비롯한 작업 환경의 성별화된 위험을 제어하기 위해 노력하는 대신, 여성 종사자들에게 성희롱을 능력껏 감내하거나 성희롱에 무력해질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양가적 언설과 더불어 카페 업계에서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의 고립은 만성화되어 있기에 여성들은 더욱 개인적인 차원에서 성희롱을 능력껏 감내해야 한다는 압박을 경험한다. 동시에 카페 산업에서 종사하는 여성들은 직장
내 성희롱을 개인화된 책임으로 간주하고,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자신의 ‘일’을 잘 해내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체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카페 산업의 여성 종사자들은 직장 내 성희롱에 대처하기 위해 일련의 행위들을 구사하며, 이러한 과정은 비공식적이지만 일상적인 업무의 한 형태로 양식화된다.
이는 여성 종사자들에게만 암묵적으로 부과되는 성별 규범이기에 남성 종사자들과 달리 여성 종사자들은 직장 내 성희롱에도 불구하고 고용 지속을 위한 부가적인 시간을 별도로 지출하게 된다. 여성 종사자들이 이러한 간극을 감수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것은 카페 산업의 만성적인 성차별 관행에 해당한다. 그러나 카페 산업의 여성 종사자가 이토록 부당한 시간을 혼자 감당하는 동안 업계 내부에서는 해당 사안에 대한 신중한 고려와 예방책 설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렇기에 더더욱 이들은 스스로를 통제함으로써 안전 공백을 메우려고 하거나 비자발적 퇴사를 결정함으로써 양질의 경력 형성을 포기한다. 이러한 결말은 여성들이 카페 산업에 진입하면서부터 매몰 비용으로 투자했던 성별화된 시간 사용의 맥락과 필요를 업계 내부에서 소거되도록 한다.
엄격한 체계와 세부적인 매뉴얼로 가동되는 카페 산업에서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여성의 안전은 여성이 직접 매뉴얼을 구현해서라도 임의적으로 대처해나가야 하는 개인화된 위험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모순적이다. 카페 산업은 산업의 상당 부분을 여성 종사자에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자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성평등 노동의 관점에서 조직 문화를 점검하고 성별화된 수행 노동을 감수하도록 하는 카페 노동이 조직되는 방식을 성찰하는 일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만이 실효성 있는 카페 산업 내 성희롱 위험 관리 방침이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reconsider women's safety, which has been at a standstill in Korea since the MeToo movement in 2017, this research focuses on women working in the cafe industry who were marginalized even in the MeToo movement. Based on this, this research points out cafes as a blind spot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nd verbalizes the context in which women working in the cafe industry routinely undergo gendered performance labor to control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Women are a core group that makes up the majority of the cafe industry. However, these women have been systematically isolated from the cafe industry when it comes to workplace sexual harassment. Therefore, this needs to be critical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work.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tructure in which damage is cre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afe industry and the reality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bove all, the cafe industry is usually divided into businesses with less than 10 full-time workers. Therefore this research sought to explore the context in which labor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risk management system, and attitudes of employers and managers, etc., combined with the size of the workplace, make workplace sexual harassment prevalent within the cafe industry.
In terms of the work environment, cafes do not have appropriate remedies for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Based on this, female workers consider managing their emotions about sexual harassment as part of their labor in addition to their work. Basically, the premise of the context in which cafe labor is performed starts from emotional labor. At this time, emotional labor becomes a form of gendered labor. In the past, traditional gender role stereotypes required women to have a soft tone of voice, an accepting attitude, a constant smile, and a non-aggressive appearance. This has been transformed into a work standard for customer service under the framework of modern emotional labor.
As a result, women working in the cafe industry produce 'artificial gentlenes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norms dictated by the organization even when they experience unwanted sexual contact from customers. In this process, female cafe workers who internalize the transformation of their emotional system experience the ‘artificial gentleness’ they must use in a heterogeneous way.
In order to explain the experiences of these female cafe workers,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concept of ‘gendered planning of emotional labor’ by modifying Hochschild’s concept of ‘intentional transformation of the emotional system’. The ‘gendered project of emotional labor’ contains an ambivalent code of commands: (1) to endure sexual harassment to the best of one’s ability, and (2) to be powerless against sexual harassment. When thinking expansively about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designed by Hochschild, (1) enduring sexual harassment to the best of one's ability, (2) controlling a woman's body is the emotional labor required in the service industry, which involves being powerless against sexual harassment. is included. Therefore, under the gendered planning of the cafe industry that emphasizes emotional labor, female workers force themselves into these two command codes. The resigned attitude toward workplace sexual harassment commonly seen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is a symptom of this gendered planning of emotional labor.
In a structure where patriarchy and capitalism intersect, ‘being kind’ in the service industry is planned in a thoroughly gendered manner. As a result, even in situations where female workers in the cafe industry have to arbitrari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the cafe industry, which does not have a sufficient compensation system for labor, does not carefully consider that the performance of emotional labor operates in a gendered manner. This is because it is not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ustry in the first place and therefore has no meaningful value worth considering even within the scope of compensation. In this way, the gendered distribution system of emotional management in which the cafe industry trains female workers to avoid turning sexual harassment into an incident in the workplace reflects the contempt and degradation of female workers in the cafe industry.
Therefore, instead of making efforts to control gendered risks in the work environment, including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the cafe industry asks female workers to endure sexual harassment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or to be helpless against sexual harassment. In addition to these ambivalent remarks, the isolation of victims in the workplace has become chronic in the cafe industry, so women experience pressure to endure sexual harassment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on a more personal level. At the same time, women
working in the cafe industry view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s a personalized responsibility and embody a sense of guilt for not doing their ‘job’ well regarding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s a result, female workers in the cafe industry use a series of actions to deal with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nd this process is stylized as a form of informal but everyday work.
This is a gender norm implicitly imposed only on female workers. As a result, unlike male employees, female employees spend additional time to continue employment despite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Forcing female workers to endure this gap is part of the cafe industry's chronic gender discrimination practices. However, while female workers in the cafe industry endure such unfair hours alone, no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issue and prevention measures are designed within the industry. Therefore, they try to fill the security gap by controlling themselves or give up building a quality career by decidingto involuntarily leave the company. This ending causes the context and need for gendered time use, which women invested as sunk costs upon entering the cafe industry, to be erased from within the industry.
It is very contradictory that in the cafe industry, which operates under a strict system and detailed manuals, women's safety regarding workplace sexual harassment is positioned as an individualized risk that women must arbitrarily deal with, even by implementing the manual themselves. The cafe industry needs to reflect on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given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industry relies on female workers. To achieve this, it must be accompanied by someone who examin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equal labor and reflects on the way cafe labor is organized to ensure gendered performative labor. An effective sexual harassment risk management policy in the cafe industry can only be designed on only this basi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