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 Download: 0

미숙아의 3세부터 4세까지 말소리발달에 대한 후향적 관찰 연구

Title
미숙아의 3세부터 4세까지 말소리발달에 대한 후향적 관찰 연구
Other Title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Speech Sound Development in Premature Children Aged 3 to 4
Authors
홍새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미숙아, 말소리발달, 위험요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의학 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생존한 미숙아의 신경발달장애 유병률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유아기부터 학령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미숙아의 언어발달, 인지발달, 운동발달을 살펴본 선행연구에 의하면,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발달이 느리거나 발달 지연의 위험이 높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의 발달지체 또는 지연은 모두 말소리를 산출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미숙아의 말소리 산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적으며, 미숙아의 말소리 산출능력이 만삭아에 비해 저하되는지에 대해서도 결과가 상이하다. 또한 미숙아의 말소리 산출능력을 살펴본 연구의 대부분은 횡단 연구로 미숙아의 말소리발달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할 수 없었으며, 발달 과정에서 다양한 영역들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말소리장애는 이질적인 장애로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잠재된 원인을 파악하고 중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말소리장애의 하위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동질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말소리 산출능력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향적 관찰을 통해 미숙아의 3~4세 말소리발달과 다양한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태기간 37주 미만, 출생 시 체중이 2.5kg 미만에 해당하는 미숙아 80명을 대상으로 3세와 4세에 U-TAP을 통해 측정한 자음정확도를 말소리 산출능력의 지표로 사용하여 말소리발달을 네 가지 경로(normal, abnormal, catch-up, developmental plateau)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3세와 4세 모두 말소리 산출능력이 정상 범주에 해당하는 경로 I은 21명(26.2%), 3세와 4세에 말소리 산출능력이 비정상에 해당하는 경로 II는 41명(51.3%), 3세에는 말소리 산출능력이 비정상이었으나, 4세에는 정상 범주로 따라잡은 경로 III은 16명(20.0%), 3세에는 말소리 산출능력이 정상 범주에 해당하였으나, 4세에는 비정상에 해당한 경로 IV는 2명(2.5%)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해당 인원이 두 명인 경로 IV를 제외한 세 가지 말소리발달 경로 간 다양한 변인(성별, 재태기간, 출생 시 체중, 기관지폐 형성이상 병력, 뇌 손상 병력, 언어치료력, 2세 인지발달지수, 2세 운동발달지수, 3세 수용언어지수 및 표현언어지수, 4세 수용언어지수 및 표현언어지수)에 차이가 있는지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말소리발달 경로 간 성별, 언어치료력, 3세 표현언어지수, 4세 수용언어지수 및 표현언어지수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남아는 경로 I보다 경로 III에 더 많았고, 언어치료 경험이 있는 아동은 경로 I보다 경로 II에 더 많았다. 3세 표현언어지수, 4세 수용언어지수 및 표현언어지수는 모두 경로 II보다 경로 I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말소리 산출능력과 다양한 요인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태기간, 출생 시 체중, 인지발달지수, 운동발달지수는 자음정확도와 상관이 없었다. 자음정확도는 3세와 4세 모두 표현언어지수와 상관이 있었으며, 수용언어지수와는 연령에 따라 상관 유무가 달랐다. 3세에는 자음정확도와 수용언어지수 간 상관이 없었으나, 4세에는 자음정확도와 수용언어지수 간 상관이 있었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4세 말소리 산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3세 표현언어지수가 4세 자음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3세에 말소리 산출능력이 비정상에 해당한 57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4세에 말소리발달이 정상 범주로 따라잡을 가능성을 예측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숙아의 상당수가 3세에 이어 4세에도 여전히 말소리장애를 보이기 때문에 미숙아의 말소리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조기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미숙아의 말소리산출능력이 언어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말소리장애가 4세까지 지속될 경우에는 표현언어능력 외에도 수용언어능력이 말소리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미숙아의 4세 말소리 산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미숙아의 4세 말소리 문제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Despit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which have steadily improved the survival rates of premature children, the prevalence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n surviving premature children remains high.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language,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premature children across infancy and school age have shown that they are at greater risk of slower development or developmental delays than full-term children. Although delays in various developmental domains are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speech and sound production abilities, research in this field is limited. Existing studies on speech sound production in premature children yield conflicting results, with some suggesting reduced capabilities compared to their full-term peers. However, a key limitation is that most of these studies were cross-sectional, meaning they provided only a snapshot at a single point in time. Consequently, they failed to capture how speech–sound development evolves in premature children. Additionally, these studies did not explore the potential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developmental domains. Speech-sound disorders are a heterogeneous group of conditions with often unknown causes. Classifying the subtypes of speech sound disorders and characterizing their features are crucial for improving intervention efficiency and identifying potential causes. This requires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speech sound production. Therefore, this study employed a retrospective follow-up design to investigate how various factors are related to speech sound development in premature children aged 3–4 years old. Eighty premature children born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and weighing less than 2.5 kg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was used to measure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at both 3 and 4 years of age as an indicator of speech sound production. Based on PCC scores, speech sound development was categorized into four trajectories: normal, abnormal, catch-up, and developmental plateau). The findings revealed that 26 children (26.2%) belonged to Trajectory I (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both ages), 41 children (51.3%) belonged to Trajectory II (ab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both ages), 16 children (20.0%) belonged to Trajectory III (ab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age 3 but 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age 4), and 2 children (2.5%) belonged to Trajectory IV (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age 3 but ab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age 4).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various variables (sex, gestational age (GA), birth weight (BW), bronchopulmonary dysplasia, brain injury, history of speech therapy, mental developmental index (MDI) at age 2, psychomotor development index (PDI) at age 2, receptive language quotient (RLQ) and expressive language quotient (ELQ) at ages 3 and 4) across the three main speech sound development trajectories (excluding Trajectory IV due to the sample size of only two childre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rajectories of speech sound development in terms of sex, history of speech therapy, expressive language quotient at age 3,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quotients at age 4. Trajectory III had more boys than Trajectory I, while Trajectory II had a greater number of children with speech therapy experience compared to Trajectory I. The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ELQ at age 3 and both RLQ and ELQ at age 4 in Trajectory I than in Trajectory II. The correlations between speech sound production and various other factors were also analyzed. GA, BW, MDI, and PDI did not correlate with PCC. Interestingly, PCC was correlated with ELQ at both ages of 3 and 4 year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CC and RLQ scores differed according to age. No correlation was found at 3 years of age, but a correlation emerged at 4 years of ag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speech sound production at the age 4. Only ELQ at age 3 predicted PCC at age 4.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redicted that the 57 premature children with ab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age 3 would have normal speech sound production at age 4.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found.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s to prevent or minimize speech disorders in premature childre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se children exhibited persistent problems from 3 to 4 years of age.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a close association between speech sound production and language skills in premature children. This finding underscores the need to consider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kills when evaluating speech sound disorders, especially those that persist beyond the age of 4 years. Finally, the ability to predict speech sound problems at age four holds significant clinical val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