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 Download: 0
A Study on Kim Jong Un’s Theater State
- Title
- A Study on Kim Jong Un’s Theater State
- Authors
- Cockerton-Airy, Charlotte Kenya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북한학과
- Keywords
- 극장국가, 과시의 정치, 그리움의 정치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박원곤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ether there has been a trend of continuity or discontinuity in the theater state under Kim Jong Un as compared to the theater state under Kim Jong Il. Furthermore, it aims to analyze what factors in the backdrop of the Kim Jong Un era are causing discontinuity. The theater state has been studied by previous scholars mainly in reference to Kim Jong Il’s era, therefore,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Kim Jong Un era whilst using the Kim Jong Il era as a point of comparison. This research uses Geertz’ theater state, which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transfer of power to the third-generation successor Kim Jong Un and upheld his authority despite a very differen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to that of the Kim Jong Il regime. The core concepts of the theater state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display of power’ and the ‘politics of longing’. The ‘display of power’ refers to public rituals and spectacles which hold symbolic meaning and reminds of the leader’s authority. The ‘politics of longing’ refers to the leader’s demonstration of proximity to the eternal leader Kim Il Sung through dramatic displays of commemoration. With the framework of the theater state, this study chose three video sources, including two documentary films and one news report which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propaganda from the Kim Jong Un era. In this research, the content and symbols in the documentary films and news report was broken down to show the role of the theater state in propaganda, then compared to comparable sources from the Kim Jong Il era. The sources used to represent the Kim Jong Il era are a documentary film, a TV broadcast of on-the-spot guidance, and a rocket launch news report. Comparing the Kim Jong Un era data to this sub-data revealed there has been a trend of discontinuity in the theater state under Kim Jong Un as there were many points of disparity. The main evidence for this conclusion is as follows. Kim Jong Un’s propaganda showcases a dramatic improvement in cinematic technology and editing techniques as compared to Kim Jong Il’s. The camera angles and post-production editing are in stark contrast to the less dynamic propaganda of the Kim Jong Il era, and often give Kim Jong Un’s propaganda a dramatic Hollywood-esque feel. In terms of theater state symbols, whilst employing many of the same symbols of the old theater state, Kim Jong Un displays them much more dramatically and on a grander scale than Kim Jong Il. Similarly, Kim Jong Un’s modern attire and stylization also marks a departure from the communist stylization of his father’s era. In terms of the backdrop that has necessitated these changes in the theater state,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following factors. Firstly, marketization under Kim Jong Un has proliferated at a much higher rate than under Kim Jong Il, presenting social issues for the regime such as discontentment with the regime, an altered social hierarchy due to the emergence of the ‘donju’, and profit motives which contradict socialist principles. As such, the regime must respond with attractive theater state propaganda to counteract these issues. Secondly, the rise of the jandmadang generation which has grown up with access to South Korean and global media mean that this large social group is disillusioned with the traditional propaganda and does not feel a personal connection to Kim Il Sung or communism. This provides a driving point for the theater state to make high quality products which can compete with the outside media that the jangmadang generation consumes. Thirdly, Kim Jong Un himself has been a factor in the discontinuation of his father’s theater state due to his global upbringing and knowledge of the outside media the jangmadang generation consumes. Kim Jong Un’s image is of a significantly more modern leader than his father who has projected Western influences into both his personal life and the theater state. Finally,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seen between Kim Jong Il’s era and now has both challenged and facilitated the theater state in terms of both providing citizens with means to view international media and allowing the theater state to produce higher quality conten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the static propaganda of the Kim Jong Il era to produce Kim Jong Un’s theater state propaganda, despite continuing the main symbols of North Korean ‘power as display’ and ‘politics of longing’. Based on this result of discontinuity, this research shows the reasons for said discontinuity to be in th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have occurred through Kim Jong Un’s reign, and Kim Jong Un himself. ;본 연구의 목적은 김정일 시대의 극장국가와 김정은 시대의 극장국가에서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경향이 있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나아가 김정은 시대를 배경으로 어떤 요인들이 불연속성을 야기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극장국가는 그동안 선행학자들이 김정일 시대를 중심으로 연구해 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김정일 시대를 비교 대상으로 삼으면서 김정은 시대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정일 정권과 매우 다른 사회적, 경제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3대 후계자 김정은에게 권력을 이양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기어츠의 극장국가를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극장국가의 핵심개념은 '과시의 정치' 와 '그리움의 정치' 이다. 과시의 정치란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지도자의 권위를 상기시키는 공개적인 의례와 볼거리를 말한다. 그리움의 정치는 영원한 수령 김일성과의 친밀성을 극적인 추모행사를 통해 과시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장국가라는 틀을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의 대표적인 선전물로 평가되는 다큐멘터리 영화 2편, 보도자료 1편 등 영상 소스 3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전에서 극장국가의 역할을 보여주기 위해 다큐멘터리 영화와 뉴스보도의 내용과 상징을 분석한 다음, 김정일 시대의 유사한 자료와 비교했다. 김정일 시대를 대표하는 자료로는 다큐멘터리 영화, TV 현지지도 보도, 로켓발사 보도 등이 있다. 김정은 시대 데이터와 이 하위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김정은 시대 극장국가는 괴리점이 많아 불연속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결론에 대한 주요 증거는 다음과 같다. 김정은의 선전은 김정일에 비해 영화기술과 편집기법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카메라 앵글과 후반 편집은 김정일 시대의 덜 역동적인 선전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종종 김정은의 선전은 드라마틱한 헐리우드 같은 느낌을 준다. 극장국가 상징의 경우, 김정은은 옛 극장국가의 상징을 많이 사용하면서도 김정일에 비해 훨씬 더 극적이고 웅장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김정은의 현대적인 복장과 양식화 역시 아버지 시대의 공산주의 양식화와는 거리가 멀다. 이러한 극장국가의 변화를 촉발한 배경을 살펴보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인을 확인하였다. 첫째, 김정은 시대의 시장화는 김정일 시대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정권에 대한 불만, '돈주' 출현에 따른 사회 위계구조 변화, 이윤 추구 등 체제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는 사회주의 원칙과 모순된다. 따라서 정권은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매력적인 극장 국가 선전으로 대응해야 한다. 둘째, 한국과 세계 언론을 접하면서 성장한 장마당 세대의 부상은 이 대규모 사회 집단이 전통적인 선전에 환멸을 느끼고 김일성이나 공산주의에 대한 개인적 유대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극장국가가 장마당 세대가 소비하는 외부 미디어와 경쟁할 수 있는 고품질의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셋째, 김정은 자신은 장마당 세대가 소비하는 외부 미디어에 대한 지식과 글로벌한 교육으로 인해 아버지의 극장국가를 중단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김정은의 이미지는 개인 생활과 연극계 모두에 서구의 영향을 투영한 아버지보다 훨씬 더 현대적인 지도자의 이미지다. 마지막으로, 김정일 시대와 현재 사이에 나타난 기술 발전은 시민들에게 국제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극장국가가 더 높은 품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극장국가에 도전이자 촉진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북한의 ‘과시의 정치’ 와 ‘그리움의 정치’라는 주요 상징을 이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일 시대의 정태적 선전에서 벗어나 김정은 극장국가 선전을 제작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연속의 결과를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와 김정은 정권을 통해 일어난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서 이러한 불연속의 원인을 밝히고 있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