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영미 | - |
dc.contributor.author | 윤해나 | - |
dc.creator | 윤해나 | - |
dc.date.accessioned | 2024-08-19T16:31:07Z | - |
dc.date.available | 2024-08-19T16:31:07Z | - |
dc.date.issued | 2024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232055 | - |
dc.identifier.uri | 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232055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8668 | - |
dc.description.abstract | 언어는 대화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며(Hoff, 2006), 아동은 부모와 가장 많이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Topping, Dekhinet, & Zeedyk, 2013), 대화 내에서 부모가 제공하는 언어 입력은 아동의 언어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Cartmill et al., 2013; Huttenlocher et al., 1991). 부모의 언어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할 수 있다. 부모의 언어 입력의 양(quantity)과 질(quality) 모두 아동의 언어발달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나 연구자에 따라서 양과 질로 구분하는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Anderson et al., 2021), 이분법적으로 양과 질 중 어느 하나를 강조하는 입장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부모의 언어 입력은 의미, 구문, 화용(담화)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도 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의미, 구문, 담화라는 언어의 체계가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점에서(Salinas, 2001), 보다 다면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청각재활이 어려운 난청 대상자에게는 인공와우이식을 실시하는데(Lee & Kim, 2011), 아동기 초기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을 경우 언어지연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게 된다(Miyamoto et al.,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은 여전히 건청 아동에 비해 지체될 수 있다(Rinaldi et al., 2013; Välimaa et al., 2018). 건청 부모 또한 난청 아동의 주의를 끌기 위해 자신의 의사소통 방식을 새롭게 조정해야 하는데(Curtin et al., 2021), 이러한 요인들이 건청 부모-난청 아동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부모와 아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한다(Chapman, 2000; Cox & van Dijk, 2013). 따라서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에 따라 부모의 언어 입력 또한 조정될 수 있다. 건청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과 정상수준미달 집단 부모의 언어 입력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Paul & Elwood, 1991; Vigil, Hodges, & Klee, 2005).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에 따른 부모의 언어 입력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이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Bavin et al., 2021),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에 따라 부모의 언어 입력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어떠한 언어 입력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한다면, 임상 현장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 내에서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과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 부모의 언어 입력을 의미, 구문, 담화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변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평가 방법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한정된 공간에서 진행하는 20분 자유놀이 형식을 채택하였다. 부모의 언어 입력은 의미적 언어 입력(전체낱말수, 다른낱말수), 구문적 언어 입력(평균낱말길이, 발화당 절 수), 담화적 언어 입력(평균대화차례길이, 적정반응비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부모의 의미적 언어 입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체낱말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다른낱말수는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이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둘째, 집단 간 부모의 구문적 언어 입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균낱말길이는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이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그러나 발화당 절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집단 간 부모의 담화적 언어 입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균대화차례길이는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이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적정반응비율은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이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아동발화 즉각반응 비율은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이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부모발화 후 기다림 비율은 언어발달 정상수준도달 집단이 언어발달 정상수준미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부모발화 후 정교화 비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인공와우이식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부모의 언어 입력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인공와우 사용기간, 다른낱말수, 발화당 절 수, 평균대화차례길이, 적정반응비율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공와우이식 연령과 인공와우 사용기간, 그리고 부모의 언어 입력을 독립변수로 하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정반응비율과 다른낱말수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다소 간과되었던 부모의 담화적 언어 입력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연스러운 담화 맥락을 조성하려는 부모의 노력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 및 코칭에서도 인공와우이식 아동 부모가 담화를 이끌어가는 능력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Language is naturally acquired within conversational contexts(Hoff, 2006), and considering that children interact most frequently with their parents(Topping, Dekhinet, & Zeedyk, 2013), the linguistic input provided by parents in convers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s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Cartmill et al., 2013; Huttenlocher et al., 1991). Parental linguistic input can be analyzed in various ways.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arental linguistic input are reported to be related to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quantity and quality differ among researchers(Anderson et al., 2021), making it undesirable to emphasize one over the other dichotomously. Parental linguistic input can also be examined in terms of semantics, syntax, and pragmatics(discourse). This multifaceted analysis is more comprehensive, as the linguistic systems of semantics, syntax, and discourse are closely interconnected(Salinas, 2001).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who find auditory rehabilitation challenging despite wearing hearing aids, cochlear implantation is performed(Lee & Kim, 2011). Receiving cochlear implants at an early age can minimize the risk of language delay(Miyamoto et al., 2003). Nonetheless,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may still lag behind that of hearing children(Rinaldi et al., 2013; Välimaa et al., 2018). Hearing parents also need to adapt their communication methods to capture the attention of their hearing-impaired children(Curtin et al., 2021), which can complicate parent-child interactions. Parents and children interactively influence each other(Chapman, 2000; Cox & van Dijk, 2013). Thus, parental linguistic inpu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ild's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tudies with hearing children have reported that parental linguistic input differs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caught up to normal language development levels(Catch-up group) and those who have not(Non-catch-up group)(Paul & Elwood, 1991; Vigil, Hodges, & Klee, 2005). However, research on how parental linguistic input varies with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s limited. Since there is ongoing discussio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Bavin et al., 2021), examining how parental linguistic input differs according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se children and identifying which types of input facilitate language development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arental linguistic input in terms of semantics, syntax, and discourse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ho have reached normal language development levels(Catch-up group) and those who have not(Non-catch-up group). Additionally, variables predic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ere identifie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20-minute free-play session in a confined space to observe natural parent-child interactions. Parental linguistic input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semantic input(number of total words, number of different words), syntactic input(mean length of utterance in words, number of clauses per utterance), and discourse input(mean turn length, proportion of well-timed tu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mantic input of parents was examined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tal word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ch-up group compared to the Non-catch-up group. Second, the syntactic input of parents was examined between the groups.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in word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Catch-up group compared to the Non-catch-up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lauses per utterance between the groups. Third, the discourse input of parents was examined between the groups. The mean turn length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Catch-up group compared to the Non-catch-up group. The proportion of well-timed tur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ch-up group compared to the Non-catch-up group. Specifically, the proportion of immediate responses to the child's utteranc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ch-up group, while the proportion of waiting after the parent's utterance was significantly low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elaboration after the parent's utterance between the groups. Fourth, correlations between the age at cochlear implantation, duration of cochlear implant use, parental linguistic input, and the language ag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ere examin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duration of cochlear implant use, number of different words, number of clauses per utterance, mean turn length, and proportion of well-timed tur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anguage ag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Lastl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hild's age at cochlear implantation, duration of cochlear implant use, and parental linguistic inpu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well-timed turn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were predictors of the language ag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t impact of parental discourse input, which has been somewhat overlooked in clinical setting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t suggests that efforts by parents to create natural discourse contexts can foster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parent education and coaching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should emphasize the ability to facilitate discourse.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A. 부모의 언어 입력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10 B. 부모의 언어 입력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13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과제 20 C. 연구절차 21 D. 자료 분석 23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37 F. 신뢰도 38 Ⅳ. 연구결과 39 A. 집단에 따른 부모의 언어 입력 비교 39 B. 인공와우이식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부모의 언어 입력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 간의 상관관계 50 C.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51 Ⅴ. 결론 및 논의 52 A. 집단에 따른 부모의 언어 입력 비교 53 B. 인공와우이식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부모의 언어 입력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 간의 상관관계 61 C.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63 D. 종합적 논의 66 E.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8 참고문헌 69 부록 83 ABSTRACT 93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745656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난청, 상호작용, 언어발달 | - |
dc.subject.ddc | 000 | - |
dc.title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발달에 따른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subtitle | 부모의 의미, 구문, 담화를 중심으로 | - |
dc.title.translated | Characteristics of Parental Language Input between Language Catch-up and Non-catch-up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Focusing on Semantics, Syntax, and Discourse | - |
dc.creator.othername | Yun, Haena | - |
dc.format.page | viii, 96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 |
dc.date.awarded | 2024.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