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 Download: 0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부모 대상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의 유용성 탐색 연구
- Title
-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부모 대상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의 유용성 탐색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Exploring the Utility of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in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ir Parents.
- Authors
- 박소연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Keywords
- 원격평가, 부모-아동 상호작용, 인공와우이식 아동, 청각언어재활,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이영미
- Abstract
-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various disruptions occurr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therapy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suspension of operations at speech and speech-language therapy facilities due to social distancing policies, requests for service discontinuation due to concerns about infection, and the diagnosis or quarantine of practitioners or clients (Lee, 2021).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void in speech-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at crucial developmental stages, leaving many children in unstable rehabilitation environments without the support they needed at the appropriate time. In such a pandemic situation, telepractice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face-to-face treatment, garnering increased attention. Telepractice has been recognized for its potential benefits such as overcoming geographical barriers between clinicians and clients and facilitating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s in other fields (Houn & Trottier, 2006; Mashima & Doarn, 2008).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also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across various age groups and disability types (Boisvert, 2010; Grogan-Johnson et al., 2011; Lam et al., 2021; Steele, 2014). Clients who experienced telepractice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ervice and ease of access. Furthermore, parents participating in telepractice found it as comfortable as face-to-face treatment in counseling sessions, with satisfactory levels of interaction and reported that rapport formation between clinicians and children was comparable to face-to-face therapy (Regina Molini-Avejonas et al., 2015). Considering these points, telepractice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ans of service delivery, increasing client satisfaction while leveraging the advantages of remote delivery. Alongside the growing interest in telepractice, there is also increasing interest in tele-assessment, which is conducted remotely through non-face-to-face methods (ASHA, n.d.; Kim, 2023).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results supporting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ele-assessment (Campbell et al., 2024; Eriks-Brophy et al., 2008; Sutherland et al., 2017; Hodge et al., 2019; Waite et al., 2010). From the perspective of client satisfaction, there have been reports of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face-to-face assessments (Corona et al., 2020; Dekhtyar et al., 2020), and in some cases, even greater satisfaction with tele-assessment than face-to-face assessment (Ciccia et al., 2011).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ele-assessment, like telepractice, is an effective and satisfactory service delivery method across various client popul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exploration of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targeting infants and parents in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can analyze indicators requiring visual examination and have reported no differences in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face-to-face methods (McElwain et al., 2022; Scott & Schulz, 2017; Segal & Moulson, 2021; Smith-Flores et al., 2022; Shin et al., 2021; Tran et al., 2017).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can be adequately applied in the field of auditory speech-language therapy, especially benefiti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who require early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auditory speech-language therapy, telepractice has long been considered a feasible way to provide rehabilitation services tailored to the need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heir families (Behl & Houston, 2012). Particularly, family-centered tele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based on parent coaching has been increasingly adopted in clinical practice and has been recognized for its effectiveness through previous studies (McCarthy et al., 2019; Houston & Stredler-Brown, 2012). With attention to these advantages, recent discussions have expanded to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 areas, including models of family-centered tele-assessment to closely examine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ir parents. Despite these positive discussions, attempts to apply tele-assessment system to speech-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have not been made in South Korea. This is likely due to the limited adoption of remote systems in domestic speech-language therapy clinical settings (Chun, 2019), particularly the more limited validation of tele-assessment compared to other rehabilitation field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Chun, 2019; Han et al., 2012), and the perception among parents that they prefer face-to-face therapy as their children's age decreases (Kim et al., 2021).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hearing loss participating in auditory speech-language therapy in South Korea have expressed various difficulties that can be effectively resolved by introducing remote rehabilitation,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travel and lack of experts on auditory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it is considered that considerable benefits can be derived from introducing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in clinical settings.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oundational data confirming the utility of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As a resul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utility of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targeting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under the age of 4 and their parents by conducting face-to-face and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s with 21 pairs of parents and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Face-to-face parent-child interac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parents and children visiting the on-campus clinical practice room, where they freely played with toys for 20 minutes in a structured independent space within the practice room.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was conducted by explaining the guidelines for recording interaction videos at home to parents after face-to-face assessment and having parents record videos of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at home in a free play style within 1 month from the date of face-to-face assessment and submit them to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interaction assessment data collected through this process,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1) the data qua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 assessment(the proportion of analyzable video data, the proportion of analyzable utterances), 2) parental linguistic input (number of total utterances, number of total words, number of different words), 3) frequency of vocalization by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4) the proportion of overlapped utterances with child vocalizations within parent’s utterances between assessment methods. Additional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related indicators in face-to-face assessment and those in tele-assessment.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ata qua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 assess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analyzable video data depending on the assessment metho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analyzable utterances depending on the assessment method. This means that while the interaction assessment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did not show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visual dimension, they did show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auditory dimens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analyzable utterances in tele-assessment, based on the indicators revealed in this study, exceeds the sample size typically used in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quality of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is also sufficient for analysis.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data can be useful for analyzing parental utterances at the level of words requiring visual examination, such as joint attention. Second, number of total utterances and number of total wor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ce-to-face assessment compared to the tele-assess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different words used by parents depending on the assessment method. This indicates that while there was a quantitative difference in parental linguistic input between assessment methods, there was no qualitative difference. This suggests that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 is useful for examining the variety of vocabulary parents use with their children, and the results can also be deemed reliable. Additionally, the study findings imply that unlike qualitative linguistic input closely related to a child's language development level, quantitative linguistic input can vary due to factors such as assessment environment, necessitating caution in interpreting assessment results. Tele-assessments can be useful in examining the usual quantitative linguistic input patterns of parent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vocalizations by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depending on assessment methods. This indicate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quantity of utterances and vocalizations by children depending on assessment method. Furthermor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ele-assessments are useful for examining language development indicators of children whose speech development stage aligns with their vocalization level. It implies a potential likelihood that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tailed language development indicators based on the child's speech development stage between face-to-face and tele-assessments in future analyses. Fourth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overlapped utterances with child vocalizations within parent’s utterances depending on assessment method. This means that the conversational patter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consistent observed in both assess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le-assessments can also examine the conversational abilities of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results are reliable. Finally, there was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related indicators in face-to-face [Parental linguistic input (number of total utterances, number of total words, number of different words), frequency of vocalization by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nd the proportion of overlapped utterances with child vocalizations within parent’s utterances] and those in tele-assess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le-assessments can be useful even in interaction assessments based on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or visual inspection, and the high probability of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face-to-face assessments and tele-assessments also supports the reliability of tele-assessment results.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to introduce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s into clinical settings of auditory speech-language therapy comprehensively. Moreo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ultifaceted assessments comparable to face-to-face assessments conducted in clinics are feasible with parent-led tele-assessments, and assessment methods and guidelines adop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useful. Considering these aspects, tele-assessment for parent-child interaction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viable alternative to address various challenges faced by 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ir parents in clinical settings and to prepare for pandemic situations like COVID-19.;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로 인해 국내 언어재활 임상 현장에서는 ‘사회적 거리 두기’ 정책 실시에 따른 언어재활 기관의 운영 중지, 감염에 대한 우려로 인한 대상자의 서비스 중단 요청, 언어재활사나 대상자의 확진 혹은 격리 등 다양한 이유로 언어재활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했다(이민정, 2021). 이로 인해 언어발달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아동의 언어재활 공백이 상당했으며, 많은 아동이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불안정한 재활 환경에 놓여있게 되었다. 이러한 팬데믹 상황에서 원격치료(telepractice)는 전통적 방식인 대면치료의 대안으로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원격치료는 COVID-19 이전부터 치료사와 대상자의 거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다른 영역의 전문가와의 협업이 용이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그 잠재적 이점을 인정받아왔으며(Houn & Trottier 2006; Mashima & Doarn 2008), 다수의 선행 연구를 통해 다양한 연령 집단과 장애 유형에서 효과가 입증되기도 했다(Boisvert 2010; Grogan-Johnson et al., 2011; Lam et al., 2021; Steele, 2014). 또한 원격치료를 경험한 대상자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큰 만족을 느꼈으며, 원격치료에 참여한 부모는 치료사와의 상담 시 대면 치료만큼 편안했고, 치료사와 자녀의 상호작용 및 라포 형성 수준도 대면 치료만큼 만족스러웠다고 보고하였다(Regina Molini-Avejonas et al., 2015).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원격치료는 대면 치료만큼 효과적인 동시에 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며, 원격 방식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 제공 방식인 것으로 보인다. 원격치료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비대면 방식으로 실시되는 원격평가(tele-assessment)에 대한 관심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다(김성진, 2023; ASHA, n.d.). 여러 선행 연구에서는 원격평가의 타당성 및 유용성을 뒷받침하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며(Campbell et al., 2024; Eriks-Brophy et al., 2008; Sutherland et al., 2017; Hodge et al., 2019; Waite et al., 2010), 대상자의 만족도 측면에서도 대면평가와 유의한 차이가 없거나(Corona et al., 2020; Dekhtyar et al., 2020), 오히려 대면 평가보다 더 만족스러웠다는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Ciccia et al., 2011).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격평가 역시 원격치료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대상자에게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재활 서비스 영역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COVID-19로 인해 대면 평가가 거의 불가능했던 시기를 경험하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영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원격 상호작용 평가의 유용성을 탐색해보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실제로 여러 선행 연구에서는 원격 상호작용 평가를 통해 시각적 검토가 필요한 지표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McElwain et al., 2022; Scott & Schulz, 2017; Segal & Moulson 2021; Smith-Flores et al., 2022; Shin et al., 2021; Tran et al., 2017), 분석 결과의 측면에서 대면 방식과 차이가 없었음을 보고하였다(Manning et al., 2020; McElwain et al., 2022). 이를 미루어 볼 때, 청각언어재활 임상 현장에서도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를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영유아 시기 조기 중재가 핵심인 난청 아동에게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각언어재활 분야에서 원격치료는 줄곧 청각장애 영유아와 그의 가족의 요구에 맞는 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현가능한 방식으로 여겨져 왔다(Behl & Houston, 2012). 특히 부모코칭을 기반으로 한 난청 아동을 위한 가족 중심(family-centered) 원격 조기 중재는 임상 현장에서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선행 연구를 통해 그 유용성을 인정받아 왔다(McCarthy et al., 2019; Houston & Stredler-Brown, 2012). 이러한 장점에 주목하여 최근에는 난청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양상을 면밀히 검토하기 위한 가족 중심 원격 평가 모델이 제시되는 등 다양한 재활 서비스 영역으로 그 논의가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논의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난청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언어재활에 원격평가 시스템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국내 언어재활 임상 현장에서 아직 원격 시스템이 잘 도입되지 않았고(천웅, 2019), 특히 그 중에서도 원격평가의 효과 검증은 국내 다른 재활 분야나 국외에 비해 더욱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점(천웅, 2019; 한승협 외, 2012), 그리고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원격방식의 치료를 선호하지 않는 부모의 인식(김화수 외, 2021)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그러나 청각언어재활에 참여하고 있는 대다수의 국내 난청 영유아 부모가 언어재활 참여 과정에서 이동의 불편, 청각언어중재 전문가 및 전문 기관 부족 등 원격 재활의 도입으로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여러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임상 현장에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를 도입하여 누릴 수 있는 이점은 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의 유용성이 입증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난청 아동과 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의 유용성을 탐색하기 위해 만 2세에서 4세 미만의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부모 21쌍을 대상으로 대면 및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면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는 부모와 아동이 직접 교내 임상실습실에 방문하여 20분 동안 실습실 내 구조화된 독립 공간에서 자유롭게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는 대면 평가 이후 연구자로부터 가정 내 상호작용 영상 촬영 가이드 라인에 대한 설명을 듣고, 대면 평가일로부터 1달 이내에 부모가 가정에서 아동과 자유놀이 방식으로 상호작용한 영상을 최소 20분 이상 촬영하여 연구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집된 상호작용 평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방식에 따라 1)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데이터 질(분석가능한 영상 비율, 분석가능한 발화 비율), 2) 부모의 언어적 입력(총 발화 수, 전체 낱말 수, 다른 낱말 수), 3)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발성 빈도, 4) 부모 발화 내 아동 발성 중첩률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면 평가에서의 상호작용 관련 지표와 원격 평가에서의 상호작용 관련 지표가 서로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데이터 질을 검토한 결과, 분석가능한 영상 비율은 평가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분석가능한 발화 비율은 평가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수집한 상호작용 평가 데이터가 시각적 차원에서는 질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음성적 차원에서는 질적인 차이를 보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지표를 토대로 원격 평가에서의 분석가능한 발화 수 평균을 산출한 결과, 일반적으로 자발화 분석에 사용되는 표본의 크기를 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점을 미루어 볼 때, 본 연구에서 수집한 원격 상호작용 평가 데이터 질 또한 충분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격 상호작용 평가 데이터가 공동주의와 같은 시각적 검토가 필요한 지표와 단어 수준에서 부모 발화를 분석하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부모의 언어적 입력 중 총 발화 수와 전체 낱말 수는 대면 평가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나, 다른 낱말 수는 평가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언어적 입력이 양적인 측면에서는 평가방식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는 부모가 아동에게 사용하는 어휘의 다양성을 살펴보기에 유용하며, 그 결과 또한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의 언어 발달 수준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질적 언어 입력과는 달리, 양적 언어 입력은 평가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평가 결과 해석에 유의해야 하며, 부모의 평소 양적 언어 입력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원격 평가가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발성 빈도는 평가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평가방식에 따라 아동의 발화 및 발성 양에 차이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원격 평가가 말소리 발달 단계가 발성 수준에 있는 아동의 언어 발달 지표를 살펴보기에 유용하며, 추후 아동의 말소리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 언어 발달 지표를 분석할 경우, 대면 평가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잠재적 가능성을 시사한다. 넷째, 부모 발화 내 아동 발성 중첩률은 평가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두 평가에서 부모와 아동의 대화 양상이 일관되게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원격 평가를 통해서도 부모와 아동의 대화 능력을 살펴볼 수 있으며, 그 결과 또한 신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대면 평가에서의 상호작용 관련 지표(부모의 총 발화 수, 전체 낱말 수, 다른 낱말 수,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발성 빈도, 부모 발화 내 아동 발성 중첩률)와 원격 평가에서의 상호작용 관련 지표는 모두 서로 중간 수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격 평가가 자발화 분석이나 시각적 검토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작용 평가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대면 평가의 결과와 원격 평가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을 확률이 높아 원격 평가의 결과 또한 신뢰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의 유용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청각언어재활 임상 현장에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를 도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부모가 주도하는 원격 평가로도 치료실에 방문하는 대면 평가에 준하는 다각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 채택한 평가 방법과 가이드 라인이 유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볼 때, 원격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는 임상 현장에서 난청 아동과 부모가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