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 Download: 0

과제 유형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Title
과제 유형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
Other Titles
Narrative A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ccording to Task Type
Authors
구은지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인공와우이식, 이야기, 미시구조, 거시구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미
Abstract
A narrative is a type of discourse, where events related causally are spoken or recounted in chronological order. Narrative abilities demonstrate how a child integrates various skills such as language comprehension, production, syntax, vocabulary, and social cognition. Narratives also predict academic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may find it difficult to comprehend narratives and may produce simpler and shorter narrative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the advancement of cochlear implantations, many hearing-impaired children have gained access to useful auditory input. Consequently,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have been able to develop age-appropriate vocabulary skills. However, research indicates that their syntactic abilities are often delayed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narrative abilitie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re appears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arrative macrostructure between them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This is at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that narrative macrostructure relies not only on language abilities but also on the child's age and maturity. However, microstructure aspects such as narrative length, vocabulary diversity, Mean Length of Unit (MLU), and the number of dependent clauses, which depend solely on language abilities, have been shown in various studies to exhibit significantly lowe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ost hearing-impaired children receive education in integrated environments such as regular kindergartens or schools. Narrative abilities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educational environments like schools typically demand language skills at the level of integrated vocabulary and sentence discour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for cochlear implant children to adapt to school life and achieve academic succes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the ability to comprehend and process auditory information at the level of narrative discourse.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asks vary depending on the task type. In this study, two tasks were used to assess the narrative abilities of cochlear implant children: story recall, which involves recalling and retelling stories based on comprehension, and story generation, which requires directly creating and structuring stories.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rrative production abilities of cochlear implant children with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wo types of narrative tasks, recall and generation, were presented. The narratives produced by the children were analyzed in terms of narrative macrostructure (story grammar) scores, number of C-unit, number of different words, total number of word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chlear implant children aged 5-8 yea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f the same age. The children were given the story generation and recall tasks with pictures. In the story generation task, children created stories while looking at pictures, whereas in the recall task, they listened to a story prepared by the researcher and then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nd recalled and retold the story without the aid of pictur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comprehension scor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question type in story recall task, the main effect for group was significant. The understanding scores between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cochlear implant group scoring notably lower than the typical hearing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question type; scores on realistic comprehension ques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inferential comprehension ques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question type. Second, comparing the narrative macrostructure scores according to the task type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groups. The narrative macrostructure scores of the cochlear imp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typical hearing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task type. In other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rrative macrostructure scores between story generation and recall tasks.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ask type. Third,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C-unit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groups was observed. The cochlear implant group had significantly fewer C-units compared to the typical hearing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task type. The number of C-units produced in story gen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tory recal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ask type. Fourth,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groups was observed. The cochlear implant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NDWs compared to the typical hearing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task type. Children produced more NDWs in story generation than in story recal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ask type and group. Fifth, when comparing the total number of words (NTW)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groups was observed. The cochlear implant group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NTWs compared to the typical hearing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task type. Children produced more NTWs in story generation than in story recal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ask type and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evident tha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tories compared to typically hearing children. This appears to be due to underdeveloped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resulting in a lack of ability to integrate and comprehend stories comprehensively. Furthermo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narrative macrostructure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have fewer opportunities to develop narrative organization skills compared to typically hearing children. In the narrative microstructur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c-units, NDW, and NTW compared to typically hearing children. It appears that the vocabulary, syntactic ability, and working memory impairment have influenced the narrative microstructur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children in this study with cochlear impla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formal language tests compared to typically hearing children, indicating delays in syntactic development and difficulties in sto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emporarily, which seem to hinder narrative production. Furthermore, it is apparent that not only delays in vocabulary skills but also a lack of ability to select vocabulary diversely have impacted narrative microstructure production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Number of C-unit, NDW, and NTW were higher in generation task than in recall task. This is because the recall task was influenced by the model story used. The stories used in the recall task of this study consisted of only eight sentences, each composed at a vocabulary level equivalent to that of 5-6-year-olds' short texts. Therefore, the length of the retold stories was short, with fewer vocabulary items, likely due to the relatively low difficulty and complexity of the model st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exhibit significant delays compared to typically hearing children in referential comprehension questions, narrative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higher microstructure scores are obtained in generation task than in recall task. Analyzing the narrative abiliti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may provide valuable clinical insights into their narrative development.;이야기(narrative)란 담화(discourse)의 한 유형으로, 인과적으로 관련된 사건을 구어로 말하거나 시간의 순서대로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야기 능력은 아동이 언어 이해, 산출, 구문, 어휘, 사회적 사고와 같은 여러 능력을 통합적으로 이용하는지 보여준다. 이야기는 읽기, 쓰기와 같은 학업 능력을 예측해주기도 한다. 언어 장애 아동은 이야기를 이해하기 어려워하기도 하며 일반 발달 아동에 비해 단순하고 짧은 이야기를 산출하기도 한다. 인공와우이식으로 많은 고도 이상의 난청 아동들에게 유용한 청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연령에 맞는 어휘 능력을 발달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 구문 능력은 정상 청력 아동에 비해 지연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능력에 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은 이야기 거시구조에서는 정상 청력 아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이야기 거시구조는 언어 능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아동의 연령과 성숙으로도 많은 부분이 설명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야기 길이, 어휘 다양도, MLU(Mean Length of Unit)길이, 종속절의 수와 같은 미시구조는 언어 능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상 청력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발달을 보여준다고 여러 연구에서 나타났다. 대부분의 난청 아동들은 일반 유치원이나 학교의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이야기 능력은 성공적인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인데, 학교와 같은 교육 환경은 대부분 어휘나 문장이 통합된 수준의 담화 수준의 언어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 성취를 위해 이야기 수준의 청각적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야기는 과제 유형에 따라 그 특성이 상이한데,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이해를 바탕으로 기억하여 다시 말하는 이야기 회상하기와 이야기를 직접 만들고 구성해야 하는 생성하기라는 두 가지 과제를 사용하여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을 위한 이야기 산출 능력을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 청력 아동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이야기 과제 유형은 회상하기와 생성하기가 제시되었다. 아동이 산출한 이야기에서 이야기 거시구조(이야기 문법) 점수, C-unit수, 서로 다른 낱말 수(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총 낱말 수(total number of words; NTW)를 분석하여 두 집단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8세의 인공와우이식 아동, 그리고 이와 생활연령을 일치한 정상 청력 아동으로 하였다. 아동들에게는 그림과 함께 이야기 생성하기 과제, 회상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생성하기는 아동이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꾸며내는 방식이고 회상하기는 연구자가 미리 준비한 이야기를 들려준 뒤, 그림 없이 이야기 이해 질문에 대답하고 이야기를 기억해서 말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회상하기에서 질문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이해 점수를 비교한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이야기 이해 점수는 정상 청력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질문 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유의하였다. 사실적 이해 질문의 점수가 참조적 이해 질문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집단과 질문 유형 간에 이차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이야기 과제 유형에 따른 거시구조 점수를 집단 간에 비교한 결과, 집단에 대한 주 효과가 유의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거시구조 점수는 정상 청력 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과제 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이야기 생성하기와 회상하기 간에는 거시구조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집단과 과제 유형 간에 이차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이야기 과제 유형에 따른 c-unit 수를 집단 간에 비교한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c-unit 수는 정상 청력 집단의 수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과제 유형에 대한 주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야기 생성하기에서 산출된 c-unit 수가 회상하기에서 산출된 수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집단과 과제 유형 간의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이야기 과제 유형에 따른 NDW를 집단 간에 비교한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집단은 정상 청력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NDW를 산출했다. 또한, 과제 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유의하였다. 아동들은 이야기 생성하기에서 회상하기보다 더 많은 NDW를 산출했다. 그러나 과제 유형과 집단 간의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이야기 과제 유형에 따른 NTW를 집단 간 비교한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집단은 정상 청력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NTW를 산출했다. 또한, 과제 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아동들은 이야기 생성하기에서 회상하기보다 많은 NTW를 산출했다. 그러나 과제 유형과 집단 간의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정상 청력 아동에 비해 이야기 이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마음이론이 적절히 발달하지 못하여 이야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이야기 거시구조에서의 집단 간 차이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조직화 능력 발달 기회가 정상 청력 아동에 비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 미시구조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이 정상 청력 아동보다 유의하게 적은 c-unit 수, NDW, NTW를 산출하였다. 이는 이야기를 적절하고 길게 산출하는 어휘능력, 구문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의 저하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미시구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공식화된 언어 검사에서 정상 청력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구문 발달의 지연과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작업기억 능력의 저하로 이야기 산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어휘 능력의 지연 자체 뿐 아니라 어휘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말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도 이야기 미시구조 산출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C-unit수, NDW, NTW는 이야기 생성하기에서 회상하기보다 더 높게 산출되었는데, 이것은 회상하기가 모델이 된 이야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회상하기 과제의 이야기는 어휘 수준 만 5-6세의 단문으로만 구성된 여덟 개 문장이다. 따라서 모델이 된 이야기의 난이도나 복잡성이 높지 않아 회상하기에서 재산출된 이야기의 길이가 짧고 적은 어휘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이 정상 청력 아동에 비해 이야기 이해질문, 이야기 거시구조, 미시구조에서 유의한 지연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야기 회상하기보다 생성하기에서 더 높은 미시구조 점수가 산출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이야기 발달에 유용한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