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 Download: 0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적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Title
시선추적을 활용한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추론적 이해 및 오류 유형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inference comprehension and error types in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rough Eye-Tracking
Authors
손진경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Keywords
단순언어장애아동,시선추적연구,이야기추론적이해,추론오류유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학령전기에 발달을 보이기 시작하는 추론적 이해능력은 학령기에 읽기 이해를 예측하고 성공적인 학습 수행의 요인이 되는데, 이는 단순히 언어 수준으로만 살펴볼 수는 없다. 학령전기의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추론적 이해능력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추론 수행력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추론 과정은 언어발달뿐만 아니라 인지발달, 기억능력, 일반적인 지식 등의 통합이 이뤄져야하는 복잡한 처리 과정과 점진적인 발달을 보이기에 추론과정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효과적인 추론적 이해능력의 촉진을 위해 추론 실패 유형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의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처리 과정을 통해 추론적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보고 추론하는 과정에 있어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안구 움직임을 통해 인지적 처리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추론을 실패한 오류 문항을 분석하여 추론 오류 유형에서 집단 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더 나아가 이야기 추론적 이해 능력과 안구 움직임의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4-6세의 일반 아동 12명, 단순언어장애 아동 11명이 참여하였다. 참여 아동들의 부모로부터 연구 참여의 동의를 구하고 부모 보고 설문지를 통해 개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후 아동들을 대상으로 선별 검사는 비언어성 지능검사, 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 과제는 이야기 과제와 추론 이해 과제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과제 진행 중 시선고정 변수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이야기 추론 이해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추론 오류 유형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추론에 필요한 이야기 내용 및 질문에 대한 이해가 낮은 ‘이해실패’, ‘무응답/모른다’ 유형을 더 빈번하게 보였다. 일반 아동 집단은 이야기 내용과 질문을 이해하고 추론을 시도하였으나 내용이 미흡한 ‘미숙한 추론’, ‘틀린 추론’ 유형을 더 빈번하게 보였다. 반면에, 두 집단 모두 ‘표현 언어 부족’유형은 저빈도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지 않았다. 이야기 삽화 중 이야기 내용 및 추론 질문과 관련이 높은 영역(AOI)에 시선을 고정한 빈도를 나타내는 ‘시선고정횟수’는 이야기 상황과 추론 과정에서 일반 아동 집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OI에 시선을 고정한 시간을 나타내는 ‘시선고정시간’과 AOI를 1번 볼 때 평균적으로 응시한 시간인 ‘평균 시선고정시간’은 이야기 상황과 추론 과정에서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론적 이해 능력과 시선고정 변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이야기 상황에서의 AOI 시선고정횟수와 이야기 추론 과제 정반응률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추론 과정에서의 AOI 시선고정횟수, 시선고정시간은 이야기 추론 과제 정반응률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제한된 처리 용량으로 인하여 이야기 내용 및 추론 과정에 있어 요구되는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를 통합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충분히 겪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추론 과정에서 언어적 능력의 결함뿐만 아니라 이야기 내용에 주의집중하며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추론적 이해 능력 촉진 시 이야기 이해를 돕고 내용과 내용을 기억하고 연결하는 추론을 시작으로 인지적인 처리가 더 요구되는 배경지식과 내용을 통합 후 새로운 정보를 도출하는 추론의 단계를 따라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through their narrative processing.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we will investigate the real-time eye movements during the process of inferring from visual stimuli. Additionally, we seek to analyze the errors made during inference tasks to identify any differences between the SLI and TD groups in terms of error types. Furthermore, we aim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ye movements. A total of 23 children aged 4 to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11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personal information. Th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screening tests (1)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K-ABC), (2) Recepe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3)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And the participants collected eye-tracking data while watching the story, which is the project of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 after watching the 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LI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TD group in the story-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 In addition, SLI gorup showed high frequency of error types of 'failure of liturgical compression' and 'no response', and the TD group showed high frequency of error types of 'impression inference' and 'wrong inference'. On the other hand, in both groups, the error type of 'lack of expressive language' appeared at low frequency, and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story situation and the reasoning process situation, the AOI fixation count of the story illustr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D group than in the SLI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AOI fixation time and the AOI average fixation time. And in the story situ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OI fixation count and the ability to perform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s. In the context of the inference process, the AOI fixation count and AOI fixation time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perform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SLI group had difficulty in integrating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story comprehension and inference processing with limited processing capacity. This means that insufficient inferential compression of the SLI group can be caused by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by focusing on the story in addition to insufficient language ability.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 gradual approach to confirming story comprehension, integrating information and background knowledge, and inferring new information could help to facilitate differential comprehen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