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 Download: 0
대화식 책 읽기를 통한 탈문맥적 부모 교육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어머니의 언어 사용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itle
- 대화식 책 읽기를 통한 탈문맥적 부모 교육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어머니의 언어 사용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Intervention Effect of Decontexualized Language Use through Dialogic Book Reading Delivered by Mothers: Maternal and Child’Language Us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kills
- Authors
- 이지혜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Keywords
- 대화식 책 읽기, 부모 교육, 탈문맥적 언어, 언어발달지연 아동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임동선
- Abstract
- 취학전 아동의 언어능력은 인지발달의 중요한 수단이며, 이 시기 언어발달의 가장 큰 특징은 아동의 이해 수준이 향상되는 것이다. 초기 아동의 언어 사용은 직관적인 상황인 ‘현재-여기 (here-and-now)’에 한정되어 있고, 30개월 정도가 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사건이나 사물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때-거기 (there-and-then)’ 언어, 즉 탈문맥적 언어 사용에 중점을 두기 시작한다 (Uccelli et al., 2018). 탈문맥적 언어는 과거나 미래에 대한 이야기, 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 사건,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아동은 직관적인 문맥보다는 개념에 의존하여 성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추론과정을 통해 언어를 습득한다 (Rowe, 2012; Uccelli et al., 2018). 탈문맥적 언어는 책 읽기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상당부분 습득된다고 밝혀졌다 (Curenton & Justice, 2004). 대화식 책 읽기는 부모와 아동이 함께 하는 책 읽기 방식으로 성인의 일방적인 읽어주기가 아닌 아동이 능동적인 주체자가 되어 부모와 상호작용을 하는 쌍방향 책 읽기 방식이다 (Whitehurst, 1998). 이러한 책 읽기 상호작용을 통해 부모와 아동은 책에 나와있는 직관적인 내용 뿐만 아니라 책의 이야기 내용에서 벗어난 탈문맥적인 주제에 대해 이야기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대화식 책 읽기를 통한 탈문맥적 언어 사용 교육은 부모와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향상을 위한 유망한 중재 방법이다. 본 연구는 대화식 책 읽기를 통한 부모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이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아동의 상호작용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에 거주하는 만 3;10~6;6세의 일반 아동과 어머니 7쌍,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어머니 9쌍으로, 사전평가에서 어머니-아동간 책 읽기와 역할놀이를 통해 자발화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어머니와 아동의 문맥적, 탈문맥적 언어 사용, 아동의 평균낱말길이(MLU-w), 아동의 반응 및 개시, 어머니-아동 대화차례 주고받기 횟수에 대한 기초선 측정하였다. 사전평가 이후 어머니와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 증진 및 상호작용적 측면의 긍정적 변화를 목적으로 총 4주 동안 4회의 시청각 부모 교육을 실시하고, 총 9회기에 걸쳐 어머니-아동 책 읽기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강의 내용은 상호작용적 책 읽기 기술과 대화식 책 읽기의 PEER 전략을 사용한 세 가지 유형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으로 구성되었다. 매주 첫 회기에 시청하는 시청각 부모 교육 강의는 탈문맥적 언어 유형에 대해 소개하고, 연구자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 시연 및 어머니와 아동이 책 읽기를 하는 동안 탈문맥적 언어를 사용하는 시연 영상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 대상 어머니는 강의 전략을 활용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이야기 책을 가정에서 주 3회 반복적으로 읽고, 매주 마지막 3회차 책 읽기 영상을 연구자에게 보내 언어 사용 및 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9회의 어머니-아동 책읽기가 종료된 후 1주~2주 내에 사전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부모 교육 전-후의 집단 내 중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아동과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 어머니들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에 변화가 있었으며,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 비율도 향상되었다. 언어발달지연 집단 내에서 아동의 문맥적 평균낱말길이, 탈문맥적 평균낱말길이,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에 대한 반응, 탈문맥적 대화 상황에서 대화차례 주고받기 비율에 변화가 있었다. 집단 간에는 부모 교육 전에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유형인 해석 유형 사용과 탈문맥적 언어 평균낱말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부모 교육 후에는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책 읽기 부모 교육이 탈문맥적 언어가 활발히 사용되는 역할놀이 상황에도 전이가 되는지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 아동 집단의 어머니의 총 발화 수가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변수들 사이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첫째, 탈문적 언어 자극을 삽입한 이야기 책 읽기는 어머니와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을 증진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의 문맥적, 탈문맥적 언어 평균낱말길이도 향상되었다. 셋째, 부모 교육 후 어머니와 아동의 책 읽기 상호작용 행동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화식 책 읽기를 통한 부모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 교육이 어머니와 아동의 탈문맥적 언어 사용 및 탈문맥적 언어의 평균낱말길이를 향상시키고, 어머니-아동의 상호작용 증진에 도움이 된 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탈문맥적 언어 사용 증진을 위한 부모 교육은 가정 내 문해 환경과 아동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을 증명하였다.;Decontextualized language (DL) develops during the age of three and is used to reflect past or future events, provide explantions, or draw inferences from abstract concepts (Rowe, 2012; Seven et al., 2020).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move from contexualized language (CL) that focuses on ‘here-and- now’ to DL that talks about ‘there-and-then’. DL predicts children’s later vocabulary and narrative skills that are necesserary for academic language (Uccelli et al., 2018). Several studies have found that children’s use of DL at 30 months was an indicator of their academic language skills at age 12 (Uccelli et al., 2018). Children with language dealy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r using DL (Gilliam et al., 2009, 2012). Yet, parents can be taught the use of DL through parent training, and research has shown that parental use of DL is related to child’s DL development(Uccelli et al.,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on DL use during dialogic book reading and its transfer effect on role playing. The subjects consisted of a 16 mother-child dyad, seven children with normal langauge development and nin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heir age ranged from 3;3 to 6;6. For pre-test,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wo tasks, shared book readig and role playing. During the tasks, mothers and childrens’ spontaneous speech were collected to analyse DL and CL language pattern, mothers’ total utterance, child’s MLU-w,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kills. After the pre-test, parental training was implemented for 4 sessions, one session per week, and mother-child book reading intervention were condcted for 9 sessions during three weeks. Video of parenal traning was sent each week by topic. After watchig the video, mother and child had shared reading with a story book embedding DL prompts. Shared book reading was three times a week, and it was implemented through dialogic book reading strategies. Parental training and book reading were conducted for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post-test was carried the same as pre-tes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ilcoxon's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and Mann-Whiteny U-tests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nd children in language delayed group have shown to increase the use of DL. Second, children in delayed group have increased MLU-w on both DL and CL. Third, some variabl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skills in language dealyed group have enhanced, which child’s response on DL and conversatinonal turns on DL have increased. Fourth, time consumed for book reading also increased in language dealyed group.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use of DL types and MLU-w on DL before parent training;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on any variables following the training. These results show that parental training on shared book reading with embedding DL propmpts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matenal use of DL. As maternal use of DL has increased, chilren’s use of DL also has improved. These changes in DL use also enhanced mot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DL use through dialogic book reading is feasible for increasing maternal and children’s use of DL.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