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6 Download: 0

신무용의 무대 의상에 관한 연구

Title
신무용의 무대 의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the Korean New Dance
Authors
허지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신무용 무대의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신무용의 무대 의상의 변천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신무용이란 발레, 모던댄스 등 외국 무용에 자극을 받아 전통무용을 무대 예술로 새롭게 창조한 한국 무용이다. 신무용의 무대 의상의 변천을 살펴보기 위하여 신무용의 흐름을 주도한 대표적 무용가인 배구자, 최승희, 조택원, 김백봉, 송범의 무대 의상을 문헌, 사진, 영상, 면접 등의 자료를 통하여 의상 유형별, 무용가별, 디자인 요소별로 분석하고 신무용 무대 의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신무용의 무대 의상은 초기에는 전통 의상의 이미지만을 표현하는 형식이었으나 점차 다양한 전통 의상의 아름다운 형태와 서구적인 장식 요소를 함께 결합하여 화려하고 활동적인 의상으로 창조하는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신무용의 무대 의상은 전통 의상의 이미지를 살리면서 동작의 아름다운 선과 실루엣을 표현하기 위하여 의상의 부피를 줄이고 활동성을 높였다. 다양한 직물을 사용하고 독창적인 표현을 위하여 의상에 염색도 하였으며, 전통적인 금박이나 자수 이외에도 비즈나 스팽글 등의 다양한 장식 요소들을 의상에 적용하여 창조적이고 화려한 무대 의상으로 발전하였다. 신무용의 무대 의상은 서구적인 기교의 영향으로 동작의 선을 강조하기 위한 의상의 개조나 속옷의 간소화가 있었음에도 그 의상의 기본 형태는 한국 복식이었으므로 실루엣에서 한국적인 형태미가 유지되었다. 소재의 선택은 전통적인 빳빳하고 움직임이 불편한 소재보다는 선을 표현하고 실루엣이 아름답게 나타나도록 드레이프성이 좋고 적당한 무게감을 가진 소재가 사용되었다. 비용적인 측면이나 소재 확보의 어려움에 따른 대안적인 용도로 합성섬유도 많이 사용되었으며, 의상의 색채는 개인의 취향에 따른 색상, 서양의 색채 이미지, 한국적인 색채 감정 등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신무용 의상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특징은 무용가의 창작의도에 의하여 의상에 변화가 나타나는 점이다. 의상에서 새로움과 혁신, 창조를 추구하였고, 다양한 직물의 사용과 염색을 시도하고 비즈, 스팽글 등의 새로운 장식 부착물도 사용하였다. 이는 서구 무용 의상의 영향, 현대무용 사상에서의 자유로운 표현의 추구, 기술과 경제의 발달 혹은 한계, 유행을 비롯한 사회 문화적 영향 등에서 기인하였다. 신무용의 독무 형식에서 군무나 무용극으로의 변화는 무용 의상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시각적인 화려한 요소가 강조되던 초기의 무대 의상에 비하여 후기에는 의상의 기능성과 조화를 추구하고 작품의 내용, 의도, 분위기 등을 전달하는 역할도 하게 되었다. 전후(戰後)의 신무용가들은 레퍼토리를 공유하거나 전수하였는데 안무자가 달라지더라도 원작의 의상 형식을 지속적으로 고수함으로써 신무용의 무대 의상이 한국무용 의상의 새로운 전통이 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도록 하였다. 이는 <부채춤>, <장구춤>, <화관무> 등에서 나타난다. 신무용의 초창기에는 주로 버선을 신었다. 1960년대 이후에는 한국무용 슈즈인 ‘코-슈즈’가 발명되어 군무와 독무에 관계없이 널리 사용되었다. 신무용 무대 의상의 제작은 초기에는 무용가 본인이나 주변인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무용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군무나 무용극이 발전함에 따라 전문적인 무용 의상 제작자나 디자이너에 의한 제작이 늘어나게 되었다. 신무용의 무대 의상은 초기에는 짧은 소품 형식이므로 단시간에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아 감동을 전해야 하였으므로 의상은 시각적인 화려함과 동작에서의 기능성을 추구하였다. 신무용이 군무와 무용극으로서 새롭게 발전하고 사회 문화와 기술적 요건이 변화하면서 무대 의상은 기능성과 미적가치의 추구 이외에도 총체적인 조화를 추가적으로 고려하게 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costume for the Korean New Dance. The Korean New Dance(신무용; 新舞踊) is a sort of the Korean dance newly created for stage arts, having been stimulated such foreign dances as ballet and modern dance, and motivated by Korean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analyze overall changes of the stage costume for the Korean New Dance, the researcher reviewed such data as literature, photos, moving images and interviews about the Korean New Dance leaders including Bae Gu-ja(배구자; 裵龜子), Choi Seung-hee(최승희; 崔承喜), Jo Taek-won(조택원; 趙澤元), Kim Baek-bong(김백봉; 金白峰) and Song Beom(송범; 宋范).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New Dance is that the stage costume has varied according to dancers' creative intentions. Structurally, they pursued new trend, innovation and creation in the stage costume, and in terms of details, they attempted to use diverse fabrics and dye stuffs, while applying such new decorative trimmings as beads, spangles and chains. Such phenomena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Korean New Dance had the generic characteristics as stage dance and that it was influenced by foreign dances including ballet and modern dance. The fusion of foreign and Korean elements was a phenomenon shown across the Korean New Dance, which also dictated the stage costume. The change of the solo form in the Korean New Dance towards group dance or dance drama brought about new changes in stage costume. Initially, the luxurious visual elements were highlighted, but later, the stage costume pursued functionality and harmony, while playing a role of delivering contents, intention and atmosphere of the work. After the Korean War, the Korean dancers began to share repertoires or hand down them to their disciples, which would result in a phenomenon of 'tradition' that the same stage costumes for certain works were used by different dancers, particularly in such works as "Fan Dances(부채춤)", "Drum Dances(장구춤)" and "Hwa-Gwan Dances(화관무)". The stage costume for the Korean New Dance appeared as the Korean costume basically, because the Korean New Dance was rooted in the Korean dance. Having been affected by ballet and modern dance techniques, the stage costume was remodelled to emphasize the lines or the underwears were simplified, but the traditional silhouettes of 'A' and 'H' lines prevailed, being influenced by the unique forms of the hanbok(한복; traditional Korean costume). The trends of hanbok fashion were also reflected partially in the stage costume, which was attributable to economic reasons or technical development. In particular, fabrics, gold-leaf patterns, and embroidery of hanbok influenced the stage costume. The color tones of the stage costume for the Korean New Dance were affected by foreign color images as well as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senses rather than the Yin Yang colors. Since 60's, primary colors or pastel color tones began to appear, having been affected by fashion trend of hanbok, dyeing technology and lighting interferences.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New Dance, dancers wore beosun(버선; korean socks) primarily, and sometimes, they drew lines on beosun to render it as if it were footwear. In 1960's, the Korean dance shoes or 'ko-shoes' were invented to be popular. Initially, the stage costume for the Korean New Dance was tailored by dancers themselves or their associates. However, as the dancer population increased gradually with development of group dances or dance dramas, it began to be tailored by professional stage costume tailors or designers. Since the stage costume for the Korean New Dance was like a short piece initially, it should be designed to attract and move the audience within a short time, and thus, it pursued visual luxury and functionality for motion. As the Korean New Dance developed into group dance and dance drama with the technical conditions for the stage environment changed, the stage costume would take into additional consideration for total harmony beside functionality and aesthetic val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