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 Download: 0

ABCA1 유전자 다형성과 혈중 지질 농도와의 연관성

Title
ABCA1 유전자 다형성과 혈중 지질 농도와의 연관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ABCA1 gene polymorphisms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uthors
심선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혜선
Abstract
목적: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 A1 (ABCA1)은 콜레스테롤 유출에 관여하는 수송체로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혈중 지질 농도와 상관성을 보이지만 연구 결과가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ABCA1 69C>T, 825V>I, 그리고 230R>C 유전자 다형성이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PubMed, Web of Science, Embase 데이터베이스에서 2020년 10월까지 출간된 문헌들을 검색 및 수집하였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문헌을 선정하였다. ABCA1 69C>T, 825V>I, 그리고 230R>C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의 평균 차이(mean difference, MD)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s, CIs)을 이용하여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메타분석은 Review Manager (version 5.3)를 사용하였으며, 출판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R Studio software (version 3.6.0)를 사용하였다. 결과: ABCA1 69C>T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문헌 11편에서 14,843명, 825V>I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문헌 7편에서 4,807명, 그리고 230R>C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문헌 4편에서 4,834명의 자료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ABCA1 69C>T 유전자 다형성에서 변이형 T 대립유전자를 지닌 경우 CC 유전형보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혈중농도가 0.05 mmol/L (95% CI=-0.09~-0.01, p=0.02) 낮았다. ABCA1 825V>I 유전자 다형성에서는 II 유전형이 V 대립유전자를 지닌 경우보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혈중농도가 0.05 mmol/L (95% CI=-0.09~-0.00, p=0.03) 낮았다. ABCA1 230R>C 유전자 다형성에서는 C 대립유전자를 지닌 경우 RR 유전형보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혈중농도가 0.1 mmol/L (95% CI=-0.12~-0.07, p<0.00001) 낮았고, 총콜레스테롤의 혈중농도는 C 대립유전자를 지닌 경우 RR 유전형보다 0.2 mmol/L (95% CI=-0.30~-0.11, p<0.0001)만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본 메타분석에서는 ABCA1 69C>T, 825V>I, 그리고 230R>C 유전자 다형성이 혈중 지질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는 여러가지 질환과 관련이 있으므로 유전형에 따라 환자 개개인에 따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들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The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 A1 (ABCA1) is a transporter involved in cholesterol efflux. Although it correlates with blood lipid concentrations according to gene polymorphisms, the study results did not show a consistent trend.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ABCA1 69C>T, 825V>I, and 230R>C gene polymorphisms on blood lipid concentration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We searched and collected literature published up to October 2020 in PubMed, Web of Science, and Embase databases, and selected literature according to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mean difference (MD)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ence of ABCA1 69C>T, 825V>I, and 230R>C and blood lipid levels.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view Manager (version 5.3). Both the Begg test and the Egger regression test of the funnel plot were conducted using R Studio software (version 3.6.0) to identify publication bias. Results: We analyzed data from 14,843 persons in 11 studies on the ABCA1 69C>T gene polymorphisms, 4,807 persons in seven studies on the 825V>I polymorphisms, and 4,834 persons in four studies on the 230R>C gene polymorphisms. In the 69C>T gene polymorphisms, the mutant T allele had lower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concentrations than the CC genotype (MD=-0.05 mmol/L, 95% CI=-0.09~-0.01, p=0.02). In the 825V>I polymorphisms, the II genotype had lower serum HDL-C concentrations than the V allele (MD=-0.05 mmol/L, 95% CI=-0.09~-0.00, p=0.03). In the 230R>C polymorphisms, the C allele had lower serum HDL-C concentrations than the RR genotype (MD=-0.10 mmol/L, 95% CI=-0.12~-0.07, p<0.00001). And the serum total cholesterol (TC) concentrations in the C allel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R genotype (MD=-0.20 mmol/L, 95% CI=-0.30~-0.11, p<0.0001).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confirmed that ABCA1 69C>T, 825V>I, and 230R>C gene polymorphisms could affect blood lipid concentrations. Since blood lipid concentrations are related to various diseases, it will be necessary to manage each patient according to the genotype. However,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to support this resul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