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8 Download: 0

의약품 부작용 보고 시스템 database를 활용한 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국내 이상사례 현황 분석 및 실마리정보 탐색

Title
의약품 부작용 보고 시스템 database를 활용한 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국내 이상사례 현황 분석 및 실마리정보 탐색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and signal detection of cephalosporin antibiotics using the 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database
Authors
최정윤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연
Abstract
서론: 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광범위 항생제로써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이지만, 이상사례에 대해 분석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사용한 후 발생한 국내 이상사례 현황을 파악하고 실마리정보를 탐색하여 안전성 정보 및 약물 부작용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연구 약물군으로 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수집한 의약품부작용보고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이상사례 보고 특성과 다빈도 이상사례 및 신체기관별 정보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carbapenem계 항생제와 연구 약물군을 제외한 전신작용항생제를 비교 약물군으로 설정하여 실마리정보를 탐색하였다. 보고분율비(proportional reporting ratio, PRR), 보고오즈비(reporting odds ratio, ROR), 정보성분(information component, IC)의 3가지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3가지 지표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를 실마리정보로, 실마리정보 중 한국, 미국, 일본 의약품 허가사항과 비교하여 허가사항에 반영되지 않은 실마리정보는 새로운 실마리정보로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관분류(system organ class, SOC) code와 우선용어(preferred term, PT) code를 기준으로 확인하고, 새로운 실마리정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이상사례 보고는 110,965건이었으며, 성별 분포는 여성(55.74%)에서 높게 나타났고 51세 이상의 연령군(48.95%)에서 보고되는 경우가 많았다. 간호사에 의한 보고(48.50%)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지역의약품안전센터(83.97%)에서, 자발보고(75.50%)로 이루어졌다. 중대한 이상사례가 차지하는 비율은 6.76%였으며 입원 혹은 입원기간의 연장의 사례(48.71%)가 가장 많았다. 의약품과 이상사례 조합은 163,800건이었으며, PT code를 기준으로 오심(12.44%), 발진(11.99%), 가려움증(9.25%) 순으로 보고 빈도가 높았고, SOC code를 기준으로 신체 기관별 분류를 확인하였을 때, 피부와 부속기관의 장애(33.16%), 위장관계 장애(30.53%), 전신적 질환(9.35%),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5.84%), 호흡기계 질환(4.86%) 순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의약품안전센터 또는 병·의원에서 의사에 의해 인과성 평가결과 ‘가능성 있음’ 이상에 해당하는 중대한 이상사례는 3,439건이었으며 다빈도 이상사례는 아나필락시스 반응(12.74%), 발진(10.47%), 호흡곤란(9.10%)순이었다. 한국, 미국, 일본 허가사항에 반영되지 않은 새로운 실마리정보는 SOC code를 기준으로 전신적 질환, 호흡기계 질환,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순으로 다수 탐색 되었으며, PT code를 기준으로 가슴통증, 인두염, 비염, 상기도감염, 기관지염, 부비동염, 감각이상, 혼미, 뇌병증, 피로, 졸음, 다리통증 등이 해당했다. 실마리정보 중 가슴통증, 혼미, 뇌병증 등은 지역의약품안전센터 또는 병·의원에서 의사에 의해 인과성 평가결과 ‘가능성 있음’ 이상에 해당하는 중대한 이상사례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국내 이상사례 현황에 대한 분석과 실마리정보 탐색을 통해 부작용 기초정보 및 안전성 평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지만, 전신적 질환, 호흡기계 질환,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등 아직 알려지지 않은 중대한 안전성 정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사용 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추가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Purpose/Background: cephalosporins are currently one of the most used antibiotics in clinical practic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cephalosporins -induced adverse events in Korea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afety information by signal detection. Method: This study used KIDS-KD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Korea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Database) of cephalosporins reported from 2009 to 2018. First, by utilizing KIDS-KD, we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dverse events and analyzed the frequency of adverse events by preferred term (PT) code and system organ class (SOC) code. For signal detection on the adverse events of cephalosporins, 3 data-mining techniques, proportional reporting ratio (PRR), reporting odds ratio (ROR), and information component (IC), were applied and the list of signals on the drug labels were compared with those between Korea and other two contiries (US and Japan). Results: The Number of cephalosporins-induced adverse events (AE) reports was 110,965. Women are higher (55.74%) in the sex distribution, and the age group over 51 years were 48.95%. Most of the cephalosporins -induced AE were spontaneous reports (75.50%), by nurses (48.50%), from the regional drug safety center (83.97%). The proportion of serious AEs was 6.76%. and most of them are “Hospitalization/Prolonged” (48.71%). The total number of Drug–AE pairs are 163,800. According to the WHO-ART PT level, the frequent AEs were Nausea (12.44%), Rash (11.99%), Pruritus (9.25%). According to the SOC, ‘Skin and appendages disorders’ (33.16%) were the most frequent. Next came ‘Gastro-intestinal system disorders’ (30.53%),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9.35%), ‘Central & peripheral nervous system disorders’ (5.84%), and ‘Respiratory system disorders’ (4.86%). There were 3,439 serious AE reports which were assessed the causality as more than ‘possible’ by a doctor in the medical center, and the frequent AEs were anaphylactic reaction (12.74%), rash (10.47%), dyspnoea(9.10%). Only the cases satisfying all the criteria of 3 indices of PRR, ROR, and IC were defined as signals, then, we compared signals to the drug labels in Korea, the USA, and Japan. According to the SOC, detected signals unlisted in 3 countries were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Respiratory system disorders’, ‘Skin and appendages disorders’ in order of precedence. According to the PT, there are chest pain, pharyngitis, rhinitis,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bronchitis, sinusitis, paraesthesia, stupor, encephalopath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provided basic safety information on AE and evaluation data th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and signal detection. cephalosporins are widely known to be relatively safe medication, but there may be serious safety information that is not yet detected, such as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Respiratory system disorders’, ‘Central & peripheral nervous system disorders’.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