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 Download: 0

신경계 중환자실에서 회진 참여 전후 전담 약사의 중재 효과 분석

Title
신경계 중환자실에서 회진 참여 전후 전담 약사의 중재 효과 분석
Other Titles
Effect of dedicated pharmacist’s intervention in neurocritical care unit :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multidisciplinary rounds
Authors
사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연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중환자실 약사의 활동은 예방 가능한 약물유해사건 및 처방오류 감소를 통해 재원기간, 재입원율을 줄여 임상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 중환자실 약사 활동을 다룬 연구들에서는 아직 그 근거가 충분하지 않으며 신경계 중환자실 환경에서 수행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중환자실 전담 약사의 활동 전후 기간을 비교하여 신경계 중환자 약료서비스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신경계 중환자실 전담 약사 활동 이전(2016년 5월 1일부터 12월 31일, 비 활동군) 및 이후(2017년 5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 활동군)의 성인 신경계 중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중환자 전담 약사의 활동이 중환자실 재원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결과로 분석하였다. 또한 중환자실 사망, 임상적으로 유의한 중재의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약사 중재 건수, 총 처방대비 중재율, patient-days당 중재 발생률, 중재의 임상적 유의성 수준에 따른 중재 반영률, 중재 사유 및 유형, 중재 약물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담 약사 활동 이전 676명을 비 활동군, 전담약사 활동 이후 769명을 활동군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중환자 전담 약사의 활동은 중환자실 재원 기간을 감소시켰으며(B=-0.077[-0.148 to -0.006], p=0.033), 사망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OR, 0.7[0.3-1.7], p=0.436). 총 처방대비 중재는 활동군에서 더 많이 수행되었으며(0.5% vs. 0.3%, p=0.008), 1,000 patient-days 당 중재 발생률 또한 활동군에서 더 높았다(110.8건 vs. 72.3건, p<0.001). 활동군에서 1,000 patient-days 당 임상적으로 유의한 중재의 발생률이 더 높았다(50.8건 vs 22.5건, p<0.001). 매우 유의한(very significant) 중재는 활동군에서 88.0%, 비 활동군에서 100.0%의 반영률을 보였고(p=0.211), 유의한(significant) 중재는 활동군 80.6%, 비 활동군에서 85.4%의 반영률을 보였다(p=0.496). 중환자 전담 약사의 활동은 임상적으로 유의한 중재를 증가시켰다(OR, 2.2[1.5-3.1], p=<0.001). 활동군에서는 모든 중재 사유 및 유형 분류에서 중재가 수행되었으나, 비 활동군에서는 중재 사유 기준 10가지 분류, 중재 유형 기준 5가지 분류에 대한 중재가 수행되지 않았다. 비 활동군에서는 27개, 활동군에서는 43개 약물군을 대상으로 중재가 수행되었다. 활동군 기준으로 상위 10가지 약물군 중, 비 활동군에서는 6개 약물군에 대한 중재가 수행되지 않았다. 결론: 신경계 중환자실 전담 약사의 처방 검토 및 회진 참여 활동은 독립적으로 중환자실 재원 기간 단축에 기여하였다. 전담 약사의 활동으로 인해 중재 건수, 총처방 대비 중재율 및 patient-days당 중재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질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중재가 더 많이 수행되었다. 중재 사유 및 유형은 다양화되고 중재 대상 약물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중환자실 전담 약사의 긍정적 효과 및 중환자실 약료서비스의 필요성을 입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Background and Objective: Few studies have assessed the activities of a designated neurocritical care pharmacist (NCP) by reducing preventable adverse drug event and medication error.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harmaceutical service by dedicated NCP.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re-designated NCP period (from May 1, 2016 through December 31, 2016) and post-designated NCP (from May 1, 2017 through December 31, 2017). Total number of interventions, intervention rates per prescriptions and acceptance rate of NCP intervention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he types of interventions and relevant medication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 was 676 during the pre-NCP period and 769 during post-NCP period. The presence of NCP pharmacist decreased ICU length of stay (B = -0.077 [-0.148 to-0.006], p = 0.033), increased the clinically significant interventions (OR, 2.2 [1.5-3.1], p = <0.001) and showed a tendency to reduce ICU mortality (OR, 0.7 [0.3-1.7], p = 0.436). The number of interventions per prescriptions (0.5% vs. 0.3%, p = 0.008), the intervention rate per 1,000 patient-days (110.8 vs. 72.3, p <0.001) and incidences of clinically significant interventions (50.8 vs 22.5, p <0.001) were higher in the post-NCP group, respectively. Among the top 10 frequently intervened medications in post-NCP period, no intervention during pre-NCP period were documented in 6 medication type. Conclusions: The presence of designated NCP pharmacist was positive impact to the patients care in neurocritical care units. It also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reduced ICU length of st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