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 Download: 0

17세기 후반 관요 백자 연구

Title
17세기 후반 관요 백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hite Porcelain of the Royal Kiln in the Late 17th Centuries, Joseon Dynasty
Authors
김세연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17세기 관요 백자, 17세기 관요, 관요 백자, 신대리 관요, 신대리 관요 백자, 官窯, 官窯 白磁, 17世紀 官窯 白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late 17th century Gwanyo(官窯, Royal Kilns) and the representative Shindae-ri Gwanyo(1664~1676)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white porcelain produced in late 17th century Gwanyo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has not been identified in the study of Gwanyo in Joseon so far.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on Gwanyo in the 17th century are based on literature records or on collections, and the latest research on artifacts excavated from Gwanyo is still insufficient. And at the same time, in local white porcelain research the ordinary porcelains were studied in detail, while research on public porcelains in Gwanyo white porcelain has been focused only on the inscriptions and operating period. Finally, there was a limit to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Gwanyo in the late 17th century by group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to a single perio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research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paper will classify and analyze the white porcelain of the late 17th century by period with data from a number of recent Gwanyo excavations conducted in the late 17th century. In particular, a number of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on Sindae-ri Gwanyo(1664-1676), which was oper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lower quality-white porcelains and the development of iron painting patterns, which were previously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the 17th century,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periods and appear clearly in Shindae-ri Gwanyo. First, this study focused on changes in deformities and patterns by point. Changes in deformities were examined by model after dividing the ordinary porcelains and the special porcelains The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making the ordinary porcelains of Bal, cups, and plates, and the best white porcelain baked one by one in Gapbal was divided into "Type 가" and "Type 가′" baked one by one in a kiln. And White porcelain baked in layer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er quality-white porcelains, is divided into 'Type 나', and white porcelain baked in layers, which has lower quality-white porcelains, is divided into 'Type 나’'. And again, it was classified into A (A, A', A ″), B (B, B', B ″), and C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white porcelain. This is because it was considered that simply classifying into quality or classifying based on one or two characteristics in reports or studies did not properly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deformities. By applying the newly established standards, it was confirmed that characteristics such as white porcelain shape, white porcelain heel shape, and how to bake porcelain were clear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produc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rend of the late 17th century by reclassifying and examining it by period.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deformities were the most diverse and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mixed during the Sindae-ri period. In the case of the special porcelains, deformities and types were classified for each model, an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indae-ri period was confirmed. Next, in terms of patterns, this study looked at the most confirmed and characteristic Chohwamun(草花紋), Unryongmun(雲龍文), Jukmun(竹紋), and Gihomun(記號紋) in the late 17th century. After examining each pattern by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17th century were identified. Chohwamun, Unryongmun, and Jukmun confirmed that the patterns used since the previous period changed in the late 17th century, especially during the Sindae-ri perio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Unryongmun is a pattern in which a large number of new excavated artifact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cent excavation research.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Unryongmun was reviewed in this stud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subordinate pattern was painted by following the pattern composition of Yongjun made of blue painting patterns, but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deformity of the round jar emerged, so it could be divided into Type I with the subordinate pattern drawn on the round jar and Type II with only Unryongmun painted. Among them, in Type II, it was confirmed that the style, which was previously considered a local style, was also excavated from the Guanyo White Porcelain excavated in Sindae-ri in a recent excavation survey. Therefore, in the late 17th century, Unryongmun was reviewed by period of Gwanyo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Unryongmun white porcelain produced in Gwanyo was attempted agai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Unryongmun of the main point of Hapan-ri, Gapyeong, which was produced around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 Unryongmun of Sindae-ri Gwanyo was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eonghwa Unryongmun of the previous period, and again influenced Gapyeong Hapan-ri. In this way, through the deformities and patterns of excavated artifacts, changes of Gwanyo in the late 17th century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character and significance of Shindae-ri Gwanyo in the late 17th century were further expanded. First, the collection was confirmed based on the iron painting pattern excavated from Shindae-ri Gwany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painting pattern of the Shindae-ri period were reaffirmed. In particular, "Baekja Iron Painting Unryongmun" which was owned by the Boston Museum of Art is certain to be dated(1670), and became a standard for grasping the Unryongmun from the Shindae-ri period along with the excavated relics. By reviewing Gukhwamun, Unryongmun, and Jukmun again, the collection, which was previously estimated to be in the 17th or late 17th century, was narrowed down to Shindae-ri Gwanyo, and the pattern of Shindae-ri excavation was also estimated through the collection and relics with a certain production yea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formity of the ordinary porcelains of Gwanyo and the local style porcelains was identified in the pattern of the iron painting. Shindae-ri Gwanyo White Porcelain has a similarity to local White Porcelain in its deformity or pattern, which is judged to be a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local white porcelain masters were enlisted due to the lack of white porcelain masters in Gwanyo. Finally, in the trend of a society in which postwar chaos is restored, Gwanyo also showed changes, and in particular, Shindae-ri Gwanyo showed a representative aspect. During the Shindae-ri period, the number of kilns increased by two to three times compared to other 17th-century Gwanyo, o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Gapbal used. This is all du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society, and supports that the Shindae-ri period is the time when many changes take place. In addition, even a small amount of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excav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indicating that the late 17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stabilization of the Gwanyo was seen as a result.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focused only o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by reflecting the latest excavation research in previous studies and revealed that Shindae-ri Gwanyo was a central period of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17th century Gwanyo.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literature sources, and collections, it analyzed in detail the aspects of Gwanyo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proved that Shindae-ri Gwanyo were a representative period of Gwanyo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is a lack of clarification on whether such diverse changes occur only in the period of Shindae-ri among Gwanyo in the 17th century, but this will be supplemented in future studies.;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조선 관요 백자 연구에서 17세기에서 18세기로 넘어가는 시기가 규명되지 못했던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관요에서 제작된 17세기 후반 백자의 특징과 변천을 고찰하여 17세기 후반과 대표 관요인 신대리 관요의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 관요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문헌 기록에 의한 운영체제 연구나 전세 유물 연구로 진행되어 관요에서 출토된 유물에 관한 최신의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그리고 같은 시기 지방 백자 연구에서는 일상 기종도 자세히 연구됐지만 관요 백자에서 일상 기종의 연구는 명문이나 운영 시기에만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 왔다. 마지막으로 17~18세기를 한 시기로 묶어서 특징을 밝혀 17세기에서 18세기로 이어지는 17세기 후반 관요 출토 백자의 특징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의 연구 성과에 더하여 최근에 이루어진 다수의 17세기 후반 광주 관요 발굴 조사의 자료를 가지고 17세기 후반 관요 백자를 시기별로 분류하여 면밀하게 분석해 보겠다. 특히 17세기 후반에 운영된 신대리 관요(1664~1676)에 대한 발굴 조사가 최근 다수 진행되었기 때문에 조사 내용을 통해 기존에 17세기의 특징으로 여겨졌던 조질 백자의 확대, 철화문양의 발전 등의 특징이 다른 시기와 분명하게 구분되어 신대리 관요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본고에서는 관요별로 기형 변화, 문양의 변화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기형의 변화는 일상 기종과 특수 기종을 나눈 뒤 기종별로 살펴보았다. 일상 기종인 발, 잔, 접시는 제작 의도에 따라 유형을 새롭게 분류했다. 갑발에 넣어 하나씩 구운 최상품의 백자는 ‘가 유형’, 요상에 도침을 깔고 하나씩 구운 상품 백자는 ‘가′유형’, 기형에서 상품의 특징을 가지지만 포개 구운 백자는 ‘나 유형’, 조질의 특징을 가지는 포개 구운 백자는 ‘나′유형’으로 나눴다. 그리고 다시 구연과 기측선의 형태에 따라 A(A, A′, A″), B(B, B′, B″), C형식으로 나누었다. 이는 기존 보고서나 연구에서 단순히 양질과 조질로 구분하거나 한두 가지 특징만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 기형의 특징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새롭게 정립한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제작 의도에 따라 기측선, 굽의 형태, 받침법, 등의 특징이 명확하게 분류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시기별로 다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17세기 후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중 신대리 시기에서 기형의 변화가 가장 다양하고 여러 특징이 혼재되는 양상이 보임을 밝혔다. 특수 기종에서도 마찬가지로 각 기종별로 유형 및 형식 분류를 하였고 신대리 시기의 대표성을 밝혔다. 다음으로 문양에 있어서는 17세기 후반에 가장 많이 확인되고 특징적인 초화문, 운룡문, 죽문, 기호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각 문양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본 다음 17세기 후반의 특징을 확인했다. 초화문, 운룡문, 죽문은 이전 시기부터 사용되던 문양이 17세기 후반에 와서 변화를 보이고 특히 신대리 시기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하며 발전하는 양상을 확인했다. 특히 운룡문은 최근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 따라 새로운 유물이 다량 출토된 문양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운룡문의 분류를 재검토하였다. 17세기 전반기에는 청화로 제작된 용준의 문양 구성을 모방하여 종속 문양을 시문 하였지만 17세기 후반에 원호의 기형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원호에 종속 문양을 그린 Ⅰ유형, 운룡문만을 그린 Ⅱ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중 Ⅱ유형에서 기존에 지방 양식이라고 여겨졌던 양식이 최근 발굴 조사에서 신대리 관요 출토 관요 백자에서도 출토되었다. 따라서 17세기 후반 운룡문에 대해 관요 시기별로 재검토하고 관요에서 제작된 운룡문 백자의 형식 분류를 다시 시도했다. 그리고 유사한 시기에 제작되는 가평 하판리 가마의 운룡문 호를 분석하여 이전 시기의 청화운룡문호에서 영향을 받아 신대리 관요의 운룡문 호가 제작되었으며 이는 다시 가평 하판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했다. 이처럼 출토 유물의 기형과 문양을 통해 17세기 후반의 관요별 변화를 분석했고 이를 토대로 더욱 확장시켜 17세기 후반 신대리 관요의 성격과 의의를 밝혔다. 첫 번째로 신대리 관요에서 출토된 철화문양을 기준으로 전세 유물을 검토하며 신대리 시기 철화문양의 특징을 재확인했다. 특히 운룡문은 보스턴 미술관 소장의 <백자철화운룡문호>가 1670년으로 편년이 확실하여 출토 유물과 함께 신대리 시기의 운룡문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었다. 이 외에 국화문, 운룡문, 죽문을 다시 검토하며 기존에 17세기 혹은 17세기 후반으로 추정되었던 편년 유물을 신대리 관요로 시기를 좁혀서 추정해 보았고, 전세 유물을 통해 파편만 확인되는 신대리 관요 출토의 문양도 추정했다. 두 번째로 저변 확대되는 일상기종의 기형과 철화문양의 시문 양상에서 지방 양식과의 연관 관계를 파악했다. 신대리 관요 백자가 기형이나 문양에서 지방 백자와의 유사성이 돋보이는데 이는 사기장의 부족으로 인해 지방 사기장이 입역되었던 당시 상황에 따른 변화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전후 혼란이 회복되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관요에서도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며 특히 신대리 관요가 대표적인 양상이 보임을 밝혔다. 신대리 시기에는 다른 17세기의 관요에 비해 가마 수가 2~3배 늘어나거나, 사용하는 갑발의 종류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모두 관요의 안정화에 기인한 것으로 신대리 시기가 모종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임을 뒷받침한다. 또한 17세기 후반에 청화백자가 소량이나마 출토되어 17세기 후반이 관요의 안정화가 결과로 보여지는 시기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 최신의 발굴 조사 내용을 반영하여 17세기 후반만을 집중적으로 재검토하고 신대리 관요가 관요의 발전과 다양화 양상이 보이는 중심 시기임을 밝혔다.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문헌사료, 전세 유물을 분석하는 논증을 통해 17세기 후반 관요의 양상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신대리 관요가 17세기 후반 관요의 대표적인 시기임을 증명했다. 17세기 관요 중 신대리 시기에서만 이처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규명이 부족하지만 이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보충하도록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