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 Download: 0

경기잡가의 소설 『춘향전』 음악화 양상

Title
경기잡가의 소설 『춘향전』 음악화 양상
Other Titles
『Chunhyangjeon』, a novel by Gyeonggi-Jobga, is a musicalization aspect: Focusing on the five songs of, , , ,, and <
Authors
천혜인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Keywords
경기잡가,춘향전,소춘향가,출인가,집장가,십장가,형장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효주
Abstract
본 논문은 경기잡가 <소춘향가>·<출인가>·<집장가>·<십장가>·<형장가>의 5곡을 대상으로 가집과 음반의 가창 양상을 검토하고, 사설 구성, 말붙임새, 형식 구성, 선율 분석 등의 음악 요소를 분석하여 소설 『춘향전』이 잡가로 음악화된 양상을 고찰하였다. 『춘향전』 과 관련된 경기잡가 5곡은 19세기 말 혹은 20세기 전기부터 꾸준히 잡가집에 수록되었으며, 20세기 전기에 최소 1종 이상의 음반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소춘향가>·<출인가>·<집장가>는 19세기 가집에 수록되었고,이 가운데 <소춘향가>는 20세기 전기에 5종의 음반으로 가장 많이 제작되었다. 반면 <십장가>와 <형장가>는 20세기 전기 가집부터 출현하며, 단 1회만 음반 제작이 이루어졌다. <소춘향가>·<출인가>·<집장가>의 노랫말은 큰 변화없이 전승되었으나, <십장가>와 <형장가>는 후반부 가사가 새롭게 삽입되면서 크게 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춘향전』 과 관련된 경기잡가 5곡의 사설 구성은 ①소설과 동일한 줄거리로 전개되는 유형, ②소설과 동일한 흐름이지만 중간에 이야기가 축약되는 유형, ③소설과는 관련 없는 내용을 섞어 구성하는 유형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①유형은 <집장가>와 <십장가>가 해당되며, 소설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지만 줄거리의 앞뒤가 이어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처음과 마지막 단락에서 상황 설명으로 시작하거나 비유적 표현으로 마무리하는 특징을보였다. ②유형은 <소춘향가>와 <형장가>가 해당되고, 전반부와 후반부에 화자가 달라지며 두 가지 이야기가 압축적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보였다. ③유형은 <출인가>가 해당되며, 소설의 줄거리와는 관련 없는 내용을 추가하여 소설과는 다른 주제의식을 보여주는 점이 특징이다. 셋째, 『춘향전』 과 관련된 경기잡가 5곡의 말붙임새는 도드리장단에서 3가지유형이 도출되었다. ① 4․4조 1장단, ② 4․4조 2장단, ③ 4․4조 3장단 형식이다. 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곡은 <십장가>, ②유형은 도드리장단을 사용하는 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붙임새이며, ③유형의 경우 <소춘향가>에서 단 1회만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빠른도드리장단에서 4․4조 1장단은 나타나지 않으며, ① 4․4조 2장단, ②4․4조 3장단, ③ 4․4조 4장단의 3가지 유형이 나타난다. ①유형은 <집장가>와<형장가>에 사용되나 비교적 적게 사용하며, ②유형은 <집장가>에서만 나타난다. ③유형은 <집장가>와 <형장가>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춘향전』 과 관련된 경기잡가 5곡의 악곡 형식은 변절 유절형식과 유절형식으로 나눠진다. <소춘향가>·<출인가>·<집장가>·<십장가>은 변절 유절형식, <형장가>는 유절형식으로 구분되며 <출인가>만 3부분으로 나누어 마루로 세분하고, 나머지 네곡은 마루로만 세분하는 구조이다. 다섯째, 『춘향전』 과 관련된 경기잡가 5곡의 선율 구성은 3가지 음계를 사용한다. 각 ‘레음계‘, ’솔음계‘, ’미음계‘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레음계‘이며 <소춘향가>·<출인가>·<십장가>·<형장가> 총 4곡을 이루고 있다. ‘솔음계’와 ‘미음계’는각 한번씩 사용되는데 ‘솔음계’는 <출인가>에 후렴구에서만 사용하고, ‘미음계’는 <집장가>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이상과 같이 경기잡가 <소춘향가>·<출인가>·<집장가>·<십장가>·<형장가> 5곡을 대상으로 소설 춘향전이 잡가로 음악화된 양상을 살펴본 결과 소설의 일부내용을 수용하여 한 악곡안에서 이야기가 종결되는 공통적인 구조를 발견하였다. 또한, 계속해서 대목이 연결되는 판소리와 다르게 경기잡가는 앞뒤로 이어지는 곡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단독적인 곡의 형태로 연행되었다는 점을 대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연구의 시작 단계에서 소설 문학과 경기잡가의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한 결과 다른 음악분석 자료에 비하여 부족했다. 또한, 경기잡가의 발생에 대한이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것에 대한 의문도 갖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경기잡가의 시작점이 새로운 영역의 연구 대상이 되길 바라며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reviewed the singing patterns of the collection and album for five songs of Gyeonggi-Jobga , , , and , analyzed musical elements such as editorial composition, ending, form composition, and melody analysi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novel 『Chunhyangjeon』 being made into a work song.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five Gyeonggi-Jobga related to the 『Chunhyangjeon』 were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Jobg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or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at at least one album was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Release Song", and were included in the 19th century, and among them, was the most produced of five types of album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On the other hand, and appeared in the provisional period of the 20th century, and the album was produced only once. The lyrics were handed down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cont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and changed significantly as the lyrics were newly inserted in the second half. Second, the editorial composition of the five Gyeonggi-Jobga related to the 『Chunhyangje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① a type that develops with the same plot as the novel, ② a type that has the same flow as the novel but is abbreviated in the middle, and ③ a type that is composed by mixing contents not related to the novel. The types ① include , and , and although they follow the flow of the novel, they are not structured in which the plot continues, so in the first and last paragraphs, they start with an explanation of the situation or finished with a figurative expression. The types ② correspond to and , and the two stories were compressed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The type ③ corresponds to , and it was characterized by showing a different sense of the subject from the novel by adding content not related to the plot of the novel. Third, three types of words were derived from Dodri-Jangdan as the types of five Gyeonggi-Jobga related to 『Chunhyangjeon』. ①It is in the form of one Jangdan 4 and 4, two Jangdan 4 and 3, and three Jangdan 4 and 4. ①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songs in the number type are , and Type 2 is the most used adjoining song, and in the case of Number 3, it was analyzed as a type that was only seen once in, The first type 4 and 4 do not appear in the first chapter of the fast Dodri-Jangdan. and there are three types: two Jangdan 4 and 4, three Jangdan 4 and 4, four Jangdan 4 and 4. ①The number is used in and , but is relatively rarely used, and ② is a type that appears only in . In the case of number 3, it is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ly used type in and . Fourth, the form of five Gyeonggi-Jobga related to the 『Chunhyangjeon』 is divided into the modified form of verse and the form of verse. Not , , and are divided into a moderation form, and "Hyungjangga"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divided into paragraphs and the remaining four songs are divided into paragraphs only. Fifth, three scales are used in the melody composition of five Gyeonggi-Jobga related to the 『Chunhyangjeon』 The most commonly used 'D Major', 'G Major', and 'E Major', respectively, is 'D Major' and it consists of a total of four songs: < Chulinga >, < Sipjangga >, and< Hyeongjangga >. The 'E Major' and 'G Major' are used once each,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 Major' appears in , and the 'G Major' is used only in the chorus of < Chulinga >. As described above, we found a common structure in which the novel 『Chunhyangjeon』 was made into a collective song b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novel 『Chunhyangjeon』, targeting the five songs of < Sochunhyangga >, < Chulinga >, < jipjangga >, and < Hyeongjangga >.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in contrast that unlike Pansori, where the passage was continuously connected, Gyeonggi-Jobga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a solo song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ongs that followed before and after. This paper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music analysis data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research data on novel literature and Gyeonggi-Jobga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In addition, we accepted the theory of the occurrence of Gyeonggi-Jobga as they were and did not have any questions about this. Through such research, we hope that the starting point of Gyeonggi-Jobga will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in new areas and will be meaningful data in more diverse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