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 Download: 0

내용 스키마 활성화가 한국어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내용 스키마 활성화가 한국어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ntent Schema Activation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Domain - Focused on Korean-American Youth Learners -
Authors
엄인숙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내용 스키마, 한국어 읽기 교육, 재미 교포 청소년, 디아스포라 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재미 교포 청소년(Korean-American) 학습자가 흥미 있게 한국어 읽기를 할 수 있도록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장 수업에 적용하여,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며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는 텍스트와 독자가 서로 상호 활동을 하며 이루어지는 이해 과정이다. 이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재미 교포 2‧3세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재미 교포 청소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에는 그 환경이 매우 제한적이고, 구어 능력과 문어 능력 간 불균형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재미 교포 청소년들의 읽기 교육 문제를 완화시켜 줄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으며, 연구의 목적에 대하여 재외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디아스포라 작품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스키마를 활성화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와 교육 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재미 교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통해, 첫 번째로 재미 교포 청소년을 위한 읽기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내용 스키마에 대한 이론과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며 본 논문의 읽기 프로그램 설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로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이론을 통해 연구 도구로서의 가치를 이론적 배경을 통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 프로그램 목적 및 구성, 연구 문제, 프로그램 내용 및 절차로 진행되었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방법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도구, 분석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에서는 독해력과 정의적 태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은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에 관해 기술하였다. 먼저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한국어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독해력 분석 결과, 읽기 영역에서는 스키마를 활성화한 집단의 독해력이 더 향상되었으며 내용 스키마 활성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한국어 읽기 교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 결과, 스키마 활성화 집단의 경우 전반적으로 한국어 읽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이며, 반면에 일반 수업 집단은 오히려 감소되는 결과를 통해, 스키마 활성화 프로그램이 재미 교포 청소년의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있어서 일반 수업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을 활용한 수업이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집단과 일반 수업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 결과, 일단 수업 집단보다 흥미와 유용성 영역에서의 점수가 향상된 내용 스키마 활성화 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키마 활성화 영향에 대한 심층 결과 분석을 위해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한국어 읽기 이해 능력의 증진, 한국어 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 상승, 능동적 한국어 읽기, 다양한 전략을 통한 한국어 읽기의 흥미도 상승, 한국어 읽기에 대한 자신감 고취, 한국 사회 및 문화에 대한 관심도 향상에 대한 기여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미 교포 학습자의 특징을 반영하여 내용 스키마 활성화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행 연구와 이론 연구를 통해 재외 동포 아동 학습자들의 읽기 교육에 대한 실정을 파악하였으며, 읽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이에 재미 교포들을 위해 제시되는 읽기 교육의 한계를 발견하고 이들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읽기 도구로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읽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재미 교포 학습자는 해외 거주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학습자 선정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수업 방안 제시에 한정되어 진행된 연구가 많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지역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읽기 수업이 재미 교포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내용 스키마 활성화 읽기 프로그램 진행 후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독해력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분석과 인터뷰의 응답을 분석하며 한국어 읽기의 관심, 이해, 능력, 흥미 등에 대한 개별 변인의 다양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어 논의에 대한 결론을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프로그램 제시에 있어 다양한 전략으로 구성된 내용 스키마 집단의 프로그램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프로그램 위주로 구성된 일반 수업 집단의 프로그램 제시가 두 집단의 비교 유효성에 제한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재미 교포를 비롯한 재외 동포의 향상된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은 학습자와 체계적인 스키마 활성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더욱 흥미롭고 발전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create a reading program that uses diaspora literary works to activate the content schema so that Korean–American learners can read Korean in an interesting manner and then apply it to classes to analyze how it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 and examine its effect. Reading is an understanding process that occurs when text and readers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also appli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s who do not speak their native language despite being Korean. However, the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reading ability of Korean–American youth is relatively limited, and the imbalance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is a problem. Accordingly, the effectiveness of a reading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address the reading education problem of Korean–American adolescents will be evaluated.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explores previous research on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 The chapter also examines research on reading education using diaspora works and education methods that activate the schema.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programs for Korean–American youth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examined in detail. The theories of content schema and diaspora are also discussed, and the value of this paper as a research tool has been considered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theory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 are provided. Chapter III describes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his study. First,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program, and research problems were performed. In Chapter IV, the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program effectiveness of this study are given. The study verified the research subject, tool, and analysis method using technology.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cusing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ttitud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evaluation sheets to find out how the Korean reading education program that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affected reading comprehension, both groups improved their post-reading evaluation scores in the reading area. In particular, through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reading class of the schema activation grou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e simple reading-oriented class of the general class group. Based on this, an interview was conducted to draw conclusions on active Korean reading and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Korean literary work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content schema-activated Korean reading education program influenced the affective attitude, a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pre- and post-affective attitudes of the schema-activated group. The affective attitude toward Korean reading was generally positive, and the general class group was rather reduced, indicating that the schema activation program was relatively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class program in improving the affective domain of Korean–American youths. Based on this, the interview concluded that interest and confidence in reading Korean through various strategies were raised. Upon examining how classes using diasporic literary works affected the content schema activation and general class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schema activation group experienced a more positive effect, with improved scores in the areas of interest and usefulness, compared to the general clas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in-depth results of schema activation,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contributed to improving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increasing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Korean literary works, facilitating active reading of Korean, increasing interest in reading Korean through various strategies, raising confidence in reading Korean, and improving interest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Chapter V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erms of significance, first, a content schema activation reading program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merican learners. Secon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e actual situation of reading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child learners was identified,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were considered. Accordingly, a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by selecting diasporic literary works as a reading tool to discover the limitations of the reading education offered to Korean Americans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Korean-American learners are limited in their selection because they have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living abroad.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ly to present instructional plan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sed an online platform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conduct actual classes, analyze how the reading class that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affects Korean–American learners, and derive the results.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content schema activation reading program,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responses of interviews based on the analysi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affective domain and derived the diversity of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interest, understanding,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reading. By concluding that Korean reading interest increased through various strategies and confidence in Korean reading in the affective dom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ation of the content schema positively affected Korean reading and affective areas. However,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the conclusions cannot be generalized. Furthermore, the program of the general class group comprises relatively simple programs, whereas the program of the content schema group involves various strategies; this functions as a limiting factor in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he two groups. Therefore, more advanc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must be conducted by involving more learners and systematic schema activation programs to continuously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s, including those living overs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