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 Download: 0

손창섭 소설의 생명 정치 연구

Title
손창섭 소설의 생명 정치 연구
Other Titles
The Biopolitics of Son Chang-seop’s Novel
Authors
이진송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손창섭, 생명정치, 생명권력, 통치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연남경
Abstract
본 연구는 손창섭의 소설에서 생명을 관리하는 통치 기술로서 권력이 작동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문학에서 형상화되는 권력의 다양한 성격과 효과를 규명하고, 긍정과 부정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손창섭 소설의 고유성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생명 정치 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는다. 푸코의 권력 이론에서 생명 권력은 주권 권력, 규율 권력과 함께 권력의 복합적 구조를 생성한다. 주권 권력이 죽일 수 있는 권력을 행사한다면 규율 권력은 훈육과 통제를 통해 온순한 신체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명 권력은 생명을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 두는’ 권력으로서, 안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인구를 육성하고 사회를 보호한다. 생명에 대한 권력의 조직화는 육체의 규율과 인구의 조절이라는 두 가지 극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광범위한 기술이다. 생명 권력은 각종 지식과 결탁하여 종(種)으로서의 인구를 낱낱이 분석하고 관리한다. 생명 정치는 권력이 생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육체와 삶의 여러 요소에 개입하여 장악하는 방식과, 이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주체의 역동적인 관계망을 일컫는다. 푸코의 생명 정치 이론은 통치성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통치성은 국가의 권력이 작용하는 기술과 관행을 아우르는 종합적 틀이자 피통치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논리나 방법을 뜻한다. 생명 정치에서 통치란 삶과 생명을 통솔하는 권력의 행사이다. 한국 전쟁을 겪고, 국가 재건이 중요한 과제였던 1950-60년대는 강력한 주권 권력과 규율 권력, 생명 권력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통치성의 시대였다. 안보를 내세우며 불순분자를 축출하고, 근대적 규율을 체화한 시민으로 개조될 것을 촉구하고, 경제적 자유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생활의 질을 개선하는 기술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억압과 규제만이 아니라 자유를 보장하고 욕구를 독려하는 기술이 주체의 순응과 동의를 끌어내는, 중층적인 권력 구조가 이 시기의 통치성을 형성한다. 손창섭의 소설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당대 정치 체제에 비판적이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생명 정치의 차원에서 손창섭의 소설을 읽는 것은 통치성에 저항하거나 거부하는 양상뿐 아니라, 매혹되거나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면모를 함께 발견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손창섭의 소설의 특성을 재구성할 수 있다. 성적 일탈, 아동의 트라우마, 가족의 해체, 훼손된 신체와 무기력 등은 지금까지 손창섭 소설의 부정성을 강조하는 요소였다. 본 연구는 생명 권력이 정상과 비정상을 생산하고 이용하는 권력 체계를 검토하여, 비규범적 요소들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는 의미를 새롭게 사유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섹슈얼리티, 가족, 노동 장치를 중심으로 손창섭 소설을 분석하였다. 장치는 권력이 침투하거나 구체화되는 장소이자 권력의 효과를 가시화하는 틀이다. 장치는 다의적이어서 권력의 작용과 동시에 저항을 산출한다. 따라서 각 장치가 손창섭의 소설에서 생명 정치의 통치술과 맺는 관계를 주체, 공간, 서사의 층위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손창섭의 소설이 창작되었던 시대에 생명 정치의 통치술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소설과 시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는 반공과 규율이 상징하듯 억압적인 권력의 이미지가 강한 시대이다. 동시에 이 시기의 생명 정치는 전후 한국 사회를 재건하려는 국가의 통치성과 더 나은 삶을 누리려는 국민의 열망이 맞물리며 작동했다. Ⅲ장에서는 섹슈얼리티 장치를 통해, 손창섭 소설에서 의학적 지식을 통치의 전략으로 활용하는 생명 정치의 양상을 분석했다. 정신의학과 심리학은 특정 섹슈얼리티를 병리화하고, 오염과 감염의 공포는 공간을 분할하고, 인구조절과 재생산을 목표로 하는 가족계획사업은 부부의 섹슈얼리티를 관리한다. 섹슈얼리티를 교화하려는 통치에 맞서는 저항은 일탈로 드러난다. 성적 타자는 병리적 쾌락을 향유하는 대항품행을 실천하고, 격리된 공간의 경계를 침투하여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한다. 섹슈얼리티의 주도권을 쥐려는 아내들의 서사는 기혼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결혼 관계 안으로 포섭하려는 통치에 대항한다. Ⅳ장에서는 가족 장치를 통해, 손창섭의 소설이 생명 정치의 통치술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가족은 인구의 최소 단위 집단이자 이데올로기가 교차하는 장소이다. 생명 정치는 합법적인 재생산을 가족 내부로 한정하며, 생활 조건이나 삶의 방식을 규격화한다. 근대적 양육 지식의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생명 정치는 바람직한 보호자로의 주체화를 요청한다. 가족이 머무는 집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살림의 기술로 운영되어야 하고, 가정은 외부의 위험을 차단하는 안전한 공간으로 영토화된다. 근대적 가족상을 권장하는 생명 정치의 통치술은 이상적 가부장의 주도로 행복한 가족이 가능하다는 환상을 서사화한다. 가족을 돌보고 육성하는 통치에 저항하는 움직임은 가족 체계를 교란하는 불온함으로 드러난다. 문제아는 불안을 유발하며 통치술을 거부하고, 다양한 정체성의 거주자들이 집의 의미를 전복하는 헤테로토피아를 형성한다. 가족의 본질을 폭로하는 진실의 말하기는 쉽사리 행복의 서사에 통합되기를 거부하며 불화를 선택한다. Ⅴ장에서는 노동 장치를 통해 손창섭 소설에서 자본주의와 결합한 생명 정치가 어떻게 생산성과 효용을 기준으로 생명을 통치하는지 살펴보았다. 생명 정치의 통치술을 내면화한 주체는 자기 계발을 중시하는 생산적 주체로 거듭나고, 공간 통치는 효용과 근면의 규율이 내재한 건전한 노동 환경을 구성한다. 자립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사회복지사업은 사회 취약층을 산업역군으로 갱생시키려는 욕망을 서사화한다. 생명의 가치를 생산성으로 규격화하는 통치에 맞서는 저항은 아픈 몸의 불능과 무능함이다. 가치 없는 생명을 배제하는 생명 정치의 통치술에 맞서 끈질기게 살아남으려는 잉여인간은 장소의 의미를 전환하거나 파괴적으로 탈취한다. 또한 자립 이데올로기에 맞서 인간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의존과 돌봄을 주고받는 실천이 자활을 중시하는 생산성 통치를 무력화한다. 손창섭의 소설은 생명 정치가 배제하는 유형의 인간을 인식하고, 문학적으로 구현하는 작가 의식이 치열한 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권력이 지식과 관리의 기술로 생명과 삶을 통치하는 특성에 주목하여, 손창섭 소설에서 생명 정치가 작동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권력의 다층적인 속성을 파악하여 통치와 피통치자의 관계를 다채롭게 살펴보는 것은 문학 연구에서 해석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이를 통해 작가가 형성하는 고유한 문학적 의미를 발굴하고, 손창섭 소설 독해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biopower operates as a governing technology for managing life in Son Chang-seop's novel. This study went beyond value judgments that place productivity and health as positivity and unproductive desire and non-normative bodies as negativity and identified the uniqueness of Son Chang-seop's novels. This study uses Foucault's biopolitical theory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In Foucault's theory of power, biopower creates a complex structure of power along with sovereign power and disciplinary power. While sovereign power exercises the power to kill, disciplinary power aims to produce docile bodies through discipline and control. biopower is the power to ‘make life and let die’ and uses safety technology to convert life into population and protect society. The organization of power over life is a broad technology that revolves around two poles: discipline of the body and control of population. The power of life colludes with various types of knowledge to analyze and manage the population as a species. Biopolitics refers to the way power intervenes and takes control of various elements of life in the name of protecting life, and the dynamic network of subjects who comply or resist this. Foucault's biopolitical theory extends to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Governmentality refers to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technologies and practices through which state power operates and the logic or method that influences the behavior of the governed. Governing as biopolitics is the exercise of power to control life. The 1950s and 1960s, when the Korean War was over and national reconstruction was an important task, was an era of governmentality in which powerful sovereign power,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operated in complex ways. By focusing on biopolitics,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governmentality during this period is possible. Governmentality is formed not only by methods of oppression or regulation, but also by a complex structure of power that guarantees freedom, encourages desire, and elicits compliance and consent from subjects. Reading Son Chang-seop'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biopolitics is a task of discovering not only aspects of resisting or rejecting governmentality, but also aspects of agreement.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on Chang-seop's novel can be reconstructed. Sexual deviance, child trauma, family disintegration, damaged body and helplessness have been elements that emphasize the negativity of Son Chang-seop's novels so far.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power system in which biopower produces and uses normal and abnormal, and seeks to rethink the meaning of non-normative elements being embodied in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d Son Chang-seop's novels focusing on sexuality, family, and labor mechanisms. A device is a place where power penetrates or materializes and a framework that visualizes the effects of power. The governing art of biopolitics operates at the level of subject, space, and narrative through devices. The device is polysemous, producing resistanc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power. Chapter Ⅱ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vel and the times by examining how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were developed in the era in which Son Chang-seop's novel was created. Chapter Ⅲ analyzed the aspects of biopolitics governing sexuality in Son Chang-seop's novels, using medical knowledge as a governing strategy. Psychiatry and psychology pathologize specific sexualities, fears of contamination and infection divide space, and family planning projects aimed at population control and reproduction manage the sexuality of couples. Resistance against the rule that seeks to civilize sexuality is revealed as an aberration. The sexual other practices countervailing behavior that enjoys pathological pleasure, and creates a new sense of place by infiltrating the boundaries of the isolated space. The wives' counterattack to take control of their sexuality counters the narrative that seeks to include married women's sexuality within the marriage relationship. In Chapter Ⅳ, we looked at how Son Chang-seop's novels interact with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through the family device. The family is the smallest unit of population and a place where ideologies intersect. Modern parenting knowledge makes the subject a desirable guardian. The house where the family stays is governed by scientific and systematic housekeeping techniques, and the home is territorialized as a protective space that blocks external dangers. The governing art of biopolitics narrates the fantasy that a happy family is possible under the leadership of an ideal patriarch. Movements that resist this are revealed as unrest that disturbs the family system. Problem children cause anxiety, and residents with diverse identities form a heterotopia that overturns the meaning of home. Additionally, telling the truth that exposes the nature of family refuses to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narrative of happiness and instead chooses discord. The Chapter V is a device that visualizes the operation of biopolitics combined with capitalism based on productivity and utility. Subjects who have internalized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are reborn as productive subjects who value self-development, and the space where labor discipline operates provides a sense of efficacy. Social welfare work that emphasizes the ideology of self-reliance rehabilitates the socially vulnerable into industrial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sick body reveals its incompetence and confronts the rul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that abandon and exclude surplus humans. They transform or destructively steal the meaning of a place. The narrative that acknowledges human finitude and exchanges dependence and care neutralizes the rule of biopolitics that emphasizes self-sufficiency. Son Chang-seop's novel is a text that fiercely embodies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and the movement to resist it.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governing life and life with knowledge and management techniques, and examined the way biopolitics operates in Son Chang-seop's novels.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sis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of positive and negative.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political meaning of Son Chang-seop's novel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with governmentality in the 1950s and 1960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