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 Download: 0

여대생의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Title
여대생의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Imposter Syndrome and Career Aspirations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and Career Identity among Korean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uthors
범수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 젠더 마이크로어그레션, 가면 증후군, 진로포부, 진로정체감,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Imposter Syndrome, Career Aspirations, Career Identi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진로 탐색 및 선택의 시기에 있는 여자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에 있어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미묘한 성차별이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대적 성차별의 형태는 과거의 전통적인 성차별에 비해 더욱 일상적이고 미묘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제기되었으므로,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성차별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이 진로정체감으로 이르는 경로에서 가면 증후군과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18세-29세 여자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통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 8.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은 진로정체감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여자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가면 증후군이 부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여자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가면 증후군과 진로포부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고,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이 진로정체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면 증후군과 진로포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하였음을 밝혔다. 즉, 가족 내에서 겪는 일상적이고 미묘한 성차별은 여성으로 하여금 자신이 이룬 객관적인 성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무능감과 자기 의심을 경험하게 되는 가면 증후군을 겪게 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의심은 진로포부를 형성하는 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진로정체감 형성의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자 대학생의 진로 발달에서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경험적으로 밝혀내어, 진로 연구 및 상담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identity among Korean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Given the suggestion that modern forms of sexism are more normalized and subtle than traditional forms in the past, we can safely infer that sexism within the family is also evolving in this mann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mpostor syndrome and career aspirations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and career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recruit 30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to 29. The Gender Microaggressions in Family Scale, Clance Imposter Phenomenon Scale, Career Aspirations Scale and Career Identity Scale were used to measure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imposter syndrome,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identity respectivel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imposter syndrome and career aspirations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and career identity. As predicted, the result showed that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identity. Furthermore, the imposter syndro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and career identity, while career aspirations did not. Also, the results supported the serial mediation model whereby imposter syndrome and career aspirations were serial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and career ident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daily and subtle gender discrimination within the family can lead women to experience the impostor syndrome, acting as a barrier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areer ident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reveals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microaggressions within the famil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s a result, this lays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and career counse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