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 Download: 0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Title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Thoughts about Future, Depression
Authors
안소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Keywords
학교 밖 청소년, 사회적 낙인감, 삶의 만족도,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 우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학 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2차년도 (2014) 자료를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이후 각 변인 간의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 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개별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하여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의 순차적 이중매 개효과를 검증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미 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는 사회적 낙인감,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삶의 만족도와 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낙인감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 우울과 정적 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만족도는 우울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간 관 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우울을 매개로 하는 순차적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투입했을 때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 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낙인감에 대한 학교 밖 청소년의 지각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삶의 만족도와 혼용)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 울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한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각각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성을 감소시키고, 우울감을 증가시켜 생활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게 된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감은 사회적 낙 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한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미래에 대한 긍정 적 사고를 방해하고 이어서 우울감을 증가시켜서 최종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 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을 늘리고 우울감을 감소시키면 삶의 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변인들 과 그 기제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중요한 변인 중 사회적 낙인감,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 우울 등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특히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는 현재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 은 변인으로, 우울과 함께 연구가 진행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상호 관련성을 증명했다는 점 또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적 낙인감과 삶 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우울이 지닌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the aim of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adolescent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cond year (2014) of the panel survey on school dropout adolescent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4.2. Descriptive statistics were initially employed to understand the general trends of each variable, follow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dditionally, Process macro Model 6 was utilized to verify and analyze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ll variables. Positive future think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ocial stigma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demonstra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econdly,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indicated the presence of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fit of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model involving depression was deemed appropriate. In other words,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evident. This implies that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tigma plays a mediating role in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through both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adolescents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Secondly,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Specifically, social stigma diminishes the tendency to think positively about the future, increases depression, and consequently reduces life satisfaction. Thirdly,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in a dual manner. In other words, social stigma hinders positive future thinking, subsequently increases depression, ultimately decreasing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In summary,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social stigma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predicts life satisfaction and that increasing positive future thinking while reducing depression can lea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lies in identifying factors and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The study demonstrated the impact of social stigma,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ositive future thinking, which is an under-researched variable in the current domestic literature. Furthermore,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future think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measure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