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 Download: 0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Reinforcement of Safe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Fire Safety Experience Center
Authors
엄소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Keywords
안전체험관, 안전교육, 행동주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국내에서 일어난 여러 재난과 안전사고들은 이에 대한 안전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 여러 기관에서 이를 위한 시설인 안전체험관이 건립 및 운영되고 있다. 안전체험관은 실제 재난과 흡사한 상황을 직접 체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안전교육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곳이기 때문에 안전체험관 설계에 대한 공간디자인 방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학회 저널에서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안전교육과 행동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종합안전체험관의 안전적 체험을 강화하기 위한 공간디자인 방향을 알 수 있었다. 이후 학회 저널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 방향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제 I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연구의 전체적인 체계를 설명한다. 그리고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이후 제 II 장에서는 선행 연구와 소방교육 관련 자료를 통해 안전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안전교육은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습관’을 형성시키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행동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Dale의 경험 원추 이론과 Olsen의 효율적 학습 방법 이론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목표를 이해하였으며,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체험교육과 연계되는 연계교육 및 연계교육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 문헌연구와 소방청 안전체험관의 관련 자료 및 사이트를 통해 안전체험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먼저 안전체험관의 정의 및 기능을 통해 안전체험관 설립의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안전체험관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안전체험관의 현황과 함께 국내 벤치마킹 사례인 일본의 안전체험관 현황을 분석하였다. 제 III장에서는 앞서 진행한 이론적 고찰과 논의를 바탕으로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특성은 관람성, 첨단성, 다양성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은 연구 대상지의 공간디자인 과정에 적용되며 그 특성이 반영된 설계가 진행된다. 이후 제 Ⅳ장에서는 국내 사례 분석을 진행한다. 사례 분석은 소방청에서 제시한 안전체험관 분류 기준에서 종합형 안전체험관에 해당하는 현황 중 가장 최근에 설립된 안전체험관 5곳(광주 빛고을 국민안전체험관, 인천 119안전체험관, 경기도 국민안전체험관)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사례 분석은 제 Ⅳ장에서 도출한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특성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안전체험관의 공간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소방청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그에 적합한 종합안전체험관을 선정하고, 앞선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특성을 안전체험관에 적용하여 기존 체험공간의 리노베이션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최종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에 대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 사회가 요구하는 안전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안전체험관의 공간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안전교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근거한 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소방청 종합안전체험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안전교육 및 행동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공간 특성은 관람성, 첨단성, 다양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통해 국내 소방청 종합안전체험관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현 시점 종합안전체험관에서 가장 필요한 공간은 다양성을 반영한 연계교육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해서는 기존 안전체험교육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교육 강화 및 연계교육공간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안전체험관 디자인 방향에 대하여 추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Various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in Korea show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experience centers, which are facilities for this, are currently being built and operated by various institutions. Since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s a place where you can learn safety education more effectively by experiencing situations similar to actual disasters, the direction of spatial design for the design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s very important.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directio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in the journal of the academic society,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patial design direction to strengthen the safety experience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based on safety education and activism theory. Based on the subsequent research in the journal of the academic society, this study proposes a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spatial design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and conducts research with the aim of deriving it as a design direction. This study proceeds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I explains the overall system of research wit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n additi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are conducted. Later, in Chapter II, a theoretical review of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data related to fire fighting education. And since safety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activism in that it is an education that forms 'habits' so that people can live safely, a review was conducted on Dale's experiential conical theory and Olsen's theory of efficient learning methods. Through this, the importance and goals of safety education were understood, and in order to conduct effective safety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linked to experiential education and education spaces were necessary. In additio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was conducted through domestic literature research and related data and sites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of the National Fire Agency. First, the significan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was grasped through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Next, the current status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was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n Japan, a domestic benchmarking case, was analyzed. In Chapter III,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and discussion conducted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design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reinforcing safety education wer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desig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reinforcing safety education were derived as viewing, high-tech, and diversity.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re applied to the spatial design process of the study target site, and the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is conducted. After that, Chapter IV conducts domestic case analysis. The case analysis is analyzed by selecting five of the most recently established safety experience centers (Gwangju Bitgoeul National Safety Experience Center, Incheon 119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Gyeonggi-do National Safety Experience Center) among the statuses of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s based on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classification criteria suggested by the National Fire Agency. The case analysi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derived in Chapter IV, and through this, the spatial status of domestic safety experience centers was identified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In order to conduct a spatial design study of the Fire Department's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the head of the Ⅴ selected a suitabl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the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derived from the previou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to renovate the existing experience space. Accordingly, the final plan for the space desig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is presented. In conclusion, this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reinforcing safety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spatial desig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that can strengthen the safety education required by the current society,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spatial design based on the activist learning theory that is closely related to safety education and apply it to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of the National Fire Agency. Based on these safety education and activism theories, spatial characteristics could be derived from viewing, cutting-edge, and divers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at the National Fire Agency through the derived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most necessary space in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at the present time is a linked education space reflecting diversity. For effective safety education, various programs linked to existing safety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and spaces to accommodate them are needed,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safety education and a linked education space. I hope that various studies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to strengthen safety education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with this study as an opport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