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9 Download: 0

중학생의 적정 수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중학생의 적정 수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adequate sleep in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before and after COVID-19
Authors
류지원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적정 수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코로나19 전‧후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청소년에게 적정 수면은 건강한 발달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에 기반한 개인요인, 미시체계에 속하는 관계요인, 시간체계에 해당하는 생활시간요인으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개인요인으로는 성별, 아침식사 횟수, 주관적 삶의 만족도, 우울감, 학교생활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도를 포함하며 생활시간요인으로는 부모와 보내는 시간, 학습시간, 여가시간을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관계요인은 부모, 친구, 교사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청소년의 적정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에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며, 청소년 수면권 확보를 위한 방안 모색을 통해 청소년 복지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이며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사용하였다. 코로나19의 전‧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코로나19 전의 대상자는 2018년 당시의 중학교 1학년인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중1)」 1차 패널과 코로나19 후의 대상자는 2021년 당시의 중학교 1학년인 「2018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초4)」 4차 패널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전 대상자는 2,590명이며 코로나19 후 대상자는 2,275명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9.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기술통계를 통해 최솟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들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적정 수면 여부에 개인요인, 생활시간요인, 관계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전‧후 공통적으로 적정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개인요인 중 아침식사 횟수와 성별로 나타났으며, 생활시간요인은 학원 및 과외시간, 공부시간, 스마트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코로나19 후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생활시간요인에서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모와 대화시간, TV 시청시간, 방과 후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 컴퓨터 사용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요인 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 교사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전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코로나19 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개인요인 중 삶의 만족도와 관계요인 중 친구관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라 코로나19 이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점으로 종합하여 살펴보았을 때, 청소년의 적정 수면에는 개인요인, 생활시간요인, 관계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요인 중 성별, 아침식사 횟수와 생활시간요인에서 미디어 사용시간, 학습시간,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과 관계요인에서 부모와 교사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미디어 사용의 증가로 청소년의 적정 수면에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더불어 컴퓨터, TV 시청 시간의 영향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의 증가로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과 부모 관계는 청소년의 적정 수면에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라 코로나19 이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점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아침식사 횟수는 청소년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이 아침을 결식하지 않고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 교육을 지도하고 가정과 학교에서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시간의 증가는 청소년 수면 감소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업만큼 수면도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가정, 학교, 그리고 사회 전반에서 청소년의 수면권 보장을 위한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해 증가한 미디어 사용과 관련하여 올바른 사용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미디어 교육과 과의존에 관한 상담 및 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에서의 지도와 안내가 필요하다. 넷째, 코로나19로 인한 가족과의 공유시간 증가로 청소년의 적정 수면에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모 관계와 같은 부모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가족이 함께 식사를 하거나 여가생활을 함께하며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가정에서의 지원과 관심으로 청소년이 건강한 수면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족복지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ptimal sleep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ing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dequate sleep is crucial for the healthy development and well-being of adolescents, influenced by multifaceted factors. Drawing up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se factors into individual factors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relational factors within the microsystem, and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temporal dimensions. Specifically, individual factors encompass gender, frequency of breakfast consumpti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feelings of depressi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smartphone dependency. Lifestyle factors delve into time spent with parents, study hours, and leisure time. Lastly, relational factors explore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Particularly,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how the changes in daily routines due to COVID-19 have impacted the sleep quality of adolescents. Through exploring strategies to ensure adolescents' right to sleep, the study aims to discuss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dolescent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ere sourced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Welfare. To compare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participants from before COVID-19 were drawn from the 1st panel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Grade 7)" from 2018, while those after COVID-19 were from the 4th panel as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2021. Accordingly, there were 2,590 participants from before COVID-19 and 2,275 participants from after COVID-19. For analysis, SPSS 29.0 was employ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cer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key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uted to determine the minimum, maximum,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Furthermore,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Cronbach's α was utilize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lifestyle, and relational factors on the optimal sleep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oth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factors affecting optimal sleep were identified among individual factors such as frequency of breakfast consumption and gender. Lifestyle factors included time spent at academies or private tutoring, study duration, and smartphone usage time. Secondly, factors that had no impact before COVID-19 but showed an influence after the pandemic were identified in lifestyle factors as time spent with parents, time engaged in conversations with parents, TV viewing time, time spent in after-school programs, and computer usage duration. Among relational factors, these influences were observ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irdly, factors that affected sleep patterns before the COVID-19 pandemic but not after were identified in individual factors as life satisfaction and in relational factors as friendships. Lastly, when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ed after the COVID-19 era, it was evident that individual, lifestyle, and relational factors all played a role in adolescents' optimal sleep. Specifically, among individual factors, gender and frequency of breakfast consumption; among lifestyle factors, media usage time, study time, and time spent with parents; and among relational factor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eacher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influencers. This study identified that due to the increased media usage during the COVID-19 era, the impact of smartphone usage time, as well as computer and TV viewing times, has heightened in influencing adolescents' optimal sleep. Furthermore, the increased family time at h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ime spent with parents and the qual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s cruci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optimal slee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the post-COVID era. First, the frequency of breakfast consumption was found to influence adolescents' sleep. To foster regular habits and ensure adolescents do not skip breakfast, both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nutrition and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homes and schools are essential. Second, the extended study hours have been shown to reduce adolescents' sleep. There's a need to elevate societal awareness that, just like academics, sleep is equally vital. Comprehensive policies ensuring adolescents' right to sleep are imperative across homes, schools, and society at large. Third, given the increased media consumption due to COVID-19, there's a pressing need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counseling to cultivate healthy media consumption habits. Guidance and directives from schools and homes are vital in curbing over-reliance on media. Fourth, with the surge in family shared time due to COVID-19, it became evident that factors like time spent with parents and the nature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significantly influence adolescents' sleep. Therefore, efforts in the realm of family welfare are essential to ensure families share meals and leisure activities, fostering an environment where adolescents can cultivate healthy sleep habits with familial support and att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