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07 Download: 0
메타버스 기반의 언어치료 중재가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과 감정 어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Title
- 메타버스 기반의 언어치료 중재가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과 감정 어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Using Metaverse to Train Communica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 Authors
- 권순하
- Issue Date
- 202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Keywords
- 메타버스,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 감정 이해, 자폐범주성장애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영태
- Abstract
- 지식 정보화 사회로 발전되며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비대면 교육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비대면 교육 방식 중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란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인터넷 속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의 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시간, 공간, 비용, 안전 등 다양한 현실적인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교육에 적용할 때 학생들의 흥미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으며 능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메타버스 기술을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적용하였을 때 높은 중재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결함과 반복적인 행동 및 제한된 관심사를 보이는 장애이다. 자폐는 지능 수준에 따라 저기능과 고기능으로 분류가 되는데 이 중 고기능 자폐는 70 이상에 해당하는 아동이다. 이들은 지능과 언어능력에서 심한 손상을 보이지 않지만, 사회 정서적 상호작용 및 화용언어 능력에서 어려움을 겪는다(송승하, 김영태, 2016). 특히 이들은 화용언어 중에서도 의사소통과 관련된 상황, 청자, 문맥 등에 맞게 자신의 말을 적절하게 조율하는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과 자신과 타인의 정서 상태를 인지하는 능력인 감정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에게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언어치료 중재를 시행하고, 사전 사후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기능 자폐 아동 10명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중재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은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공간과 대화상대자들을 만나며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과 감정 이해를 학습하였다. 중재는 주 1~3회, 매 회기 5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으며 중재 후에는 사전검사와 같은 방식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아동 화용언어능력 평가(KOPLAC) 결과, 중재를 통해 아동은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은 대화상대자에 따른 조율 인식능력과 상황문맥에 따른 조율 인식능력으로 나뉠 수 있다. KOPLAC 결과, 대화상대자와 상황문맥 조율 능력의 판단과 수정 과제에서 모두 유의한 진전을 보였다. 둘째, 감정 어휘 이해 검사 결과, 중재를 통해 아동은 감정 이해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기반의 언어치료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참여 아동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학습법이 아닌 새로운 플랫폼인 메타버스를 언어치료 중재에 도입하여 의사소통 조율 인식능력과 감정 이해에서 중재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s the technology evolves remote education methods are increasingly employed to address communication challenges in children especially those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HF-ASD). The metaverse, a virtual world on the internet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has emerged as a promising educational too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effects of metaverse-based language therapy on HF-ASD. T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F-ASD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went through pre-assessm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During the intervention researcher used metaverse platform“Zepeto”. Under the script situation, children engaged with various spaces and conversation partners and developed communication regulation and emotion understanding skills.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50 minute sessions 1-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After the intervention was over post assessments were conducted. Pre and post assessments included Korean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KOPLAC) and an emotion understanding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munication regulation. Communication regulation is divided into regulation with conversation partners and regulation in contextual situation. KOPLAC results showed that HF-ASD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abilities. Second, the intervention resulted in significant progress in emotion understanding skill. The analysis categorized emotional vocabulary into positive and negative vocabulary, and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tervention effect in negative emotion but not in positive emotion vocabulary.
This study conducted metaverse-based language therapy intervention for school aged HF-ASD children. Through the intervention, children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ommunication regulation awareness and emotional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efficacy of metaverse-based language therapy for school aged HF-ASD children, emphasizing the use of the metaverse as a platform for language therapy intervention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