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 Download: 0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Video Education on Intensive Care Unit Nurses
Authors
이예나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중환자실 간호사, NANDA, NIC, NOC, NNN Linkag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간호사는 복잡한 환자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리해야 하며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근거기반 간호 수행이 필수적이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은 간호사들이 복잡한 환자 상태를 더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며, 간호 실무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영상이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 맹검, 무작위 배정을 이용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상의 임상경력이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중재군 26명, 대조군 2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21일까지 진행하였다. 중재군은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영상을 중재했으며 대조군에게는 팜플렛을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지식, 인식, 태도 측정 시 Olatubi, Oyediran, Faremi,& Salau (2019)가 개발한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로 측정하였고,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 능력은 Tucker, Olson, & Frusti (2009)가 개발한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EBPSE) scale로 측정하였다. 도구 측정은 중재 전, 교육 영상과 팜플렛 중재 2주 후, 총 2회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결과변수의 그룹 내 변화는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고,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Mann Whiteny U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지식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지식 점수는 평균 22.77±6.59점에서 27.58±3.6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Z=-3.520, p<.001),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인식 점수는 사전 평균 24.65±5.78점에서 사후 28.54±3.8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3.877, p=.001), 대조군의 사전 평균 25.11±4.16점에서 사후 22.81±3.51점으로 감소하였다(t=-2.409, p=.023). 또한,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472, p<.001). 셋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태도 점수는 사전 평균 63.46±11.85점에서 사후 74.27±9.0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4.529, p<.001),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889, p<.001). 넷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 점수는 사전 평균 53.12±10.85점에서 사후 58.12±9.5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932, p=.007),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445, p=.018). 본 연구는 중재군과 대조군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높였으며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 후 간호사의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이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간호사의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표준화된 간호용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임상에 적용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 education on the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This research was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 education on ICU nurses working in critical care settings. Participants include nurses with over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26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pamphlets. To measure the effects on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the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Olatubi, Oyediran, Faremi, and Salau (2019) and the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EBPSE) Scale developed by Tucker, Olson, and Frusti (2009) were utilize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otaling two assess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oftwar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percentag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Changes within groups for outcom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hile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education, the intervention group's knowledg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mean of 22.77±6.59 points to 27.58±3.61 points (Z=-3.520, p<.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Z=-1.043, p=.297). 2. Regarding perception, the intervention group'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24.65±5.78 points to a post-test mean of 28.54±3.84 points (t=3.877, p=.001),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4.472, p<.001). 3. In SNL of attitude, the intervention group's attitud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63.46±11.85 points to a post-test mean of 74.27±9.05 points (t=4.529, p<.001),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4.889, p<.001). 4. Regarding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the intervention group'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53.12±10.85 points to a post-test mean of 58.12±9.51 points (t=2.932, p=.007),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2.445, p=.018).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use of SNL videos as an interven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perception, attitude,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related to SNL in the intervention group. However, despite an improvement in the knowledge level among the intervention group to a 'high knowledge' leve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on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to enhance nurses' perceptions, attitudes,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related to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