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 Download: 0

상호주관적 의사소통에 기반한 ‘자기 성찰의 글’ 읽기·쓰기 통합 교재구성 방안 연구

Title
상호주관적 의사소통에 기반한 ‘자기 성찰의 글’ 읽기·쓰기 통합 교재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posing the Integrated Reading-writing Textbook for Self-reflection Based on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Authors
서지아
Issue Date
202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자기 성찰의 글, 성찰, 읽기와 쓰기 영역 통합, 교재구성, 상호주관성, 사회 구성주의, 사회적 독서, 민주시민, text of self-reflection, reflection,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reas, textbook composition, intersubjectivity, social constructivism, social reading, democratic citizen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text of self-reflection’ educ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e relevant units of the existing textbooks were reviewed, and a plan to reconstruct the textbooks using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II,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was examined to explain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writing of self-reflection, the concept and type of ‘reflection’ based on this was reviewed. Reflection is an act of thinking that solves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through critical thinking, such as logic and rationality, as well as emotions. Afterwards, based on the review of reflection, the ‘text of self-reflection’ was defined as follows. It is an article containing an enlightenment to understand and discover oneself and the world through exploration of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with reflective thinking. In this way, the reflective article reflects ‘subjectivity’, which is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including own self. An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we share this with community members to construct a new meaning. It was suggested that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social reading’. In Chapter III, considering that it is the time to move from 2015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direction of discussion was set through this after examining the change in the large framework between the two curriculums. These are the following two. The first is the paradigm shift to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second is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reas. Based on this, a comparison of achievement standards by area was conducted. Through discussions between areas, it was suggested that cooperation with literary area in addition to reading and writing is also necessary when constructing an article unit of self-reflection. Next, it was suggested that ‘text’ analyzes the tendency of units related to reflection to include texts by area, and that various genres of literary texts and even information texts can be used as texts to mediate reflection. Finally, it was pointed out that in learning activities, reading is treated as a means to learn writing knowledge. In addition, a problem was raised that shar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were omitted or treated with a low weight. In Chapter IV,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to improve the problems found in the previous chapter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goals, principles, contents and methods’. First, as ‘goals’, the prerequisite learning matters for each area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with the literary domain were presented. Next, ‘principle’ focused on the selection of ‘text’. It was suggested to guide specific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information texts, and to read literary texts using various genres and materials selectively according to interest. Finally, ‘Content and Method’ suggested ‘self-selective reading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writing a text of self-reflection that reveals subjectivity’, and ‘social reading that shares and internalizes the results of reflection’, reflecting the principle of text sele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unit composition plan was prepared that reflected the paradigm shift to ‘social constructivism’ in the curriculum.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reflection’ of various levels, such as cogni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in addition to reflecting on individual emotions. Second, a plan for area integration through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two areas of reading and writing was proposed. The activity of constructing meaning through the medium of text was emphasized using various reflections. Through this, it is significant that the clos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was embodied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reading and by allowing help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content of writing.;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자기 성찰의 글’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교과서의 관련 단원을 검토하고, ‘상호주관적 의사소통’ 개념을 활용하여 교재를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주체 사이의 소통을 설명하기 위해 ‘상호주관적 의사소통’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 성찰의 글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이에 바탕이 되는 ‘성찰’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검토하였다. 성찰은 정서뿐 아니라 논리나 합리성처럼 비판적 사고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행위이다. 이후 성찰에 대한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 성찰의 글’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자신과 타자 및 세계에 대한 탐색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자신과 세계를 새롭게 이해하고 발견해 내는 깨달음을 담은 글이다. 이렇듯 성찰적 글에는 필자가 자신을 포함한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인 ‘주관성’이 반영된다. 그리고 이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며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 간다. 이런 ‘사회적 독서’의 과정에 상호주관적 의사소통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Ⅲ장에서는 2015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넘어가는 시점임을 고려해, 두 교육과정 사이 큰 틀의 변화를 살펴본 이후, 이를 통해 논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는 ‘사회 구성주의’로의 패러다임 전환이고, 둘째는 읽기와 쓰기 영역 통합이다. 이를 기반으로 영역별 성취기준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영역 간 논의를 통해, 자기 성찰의 글 단원을 구성할 때, 읽기와 쓰기 외에 문학 영역과의 협력도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텍스트’는 성찰과 관련된 단원의 영역별 텍스트 수록 경향을 분석하고, 성찰을 매개할 텍스트로 다양한 장르의 문학 텍스트, 그리고 나아가 정보 텍스트까지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활동에서는 읽기가 쓰기 지식을 학습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루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공유 및 평가 활동이 생략되거나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진 것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Ⅳ장에서는 앞 장에서 발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교재구성 방안을 ‘목표, 원리, 내용 및 방법’ 차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목표’로 영역별 선수학습 사항과 문학 영역과의 협력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원리’는 ‘텍스트’ 선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보 텍스트를 통해 구체적 성찰과 상호소통의 방법 안내하고, 다양한 장르와 소재를 활용한 문학 텍스트를 관심과 흥미에 따라, 자기 선택적으로 읽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 및 방법’은 텍스트 선정의 원리를 반영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자기 선택적 읽기’와 ‘주관성을 드러내는 자기 성찰의 글 쓰기’ 그리고 ‘성찰의 결과를 공유·내면화하는 사회적 독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교육과정상 ‘사회 구성주의’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반영한 단원 구성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정서에 대한 성찰 이외에도 인지나 실천 차원과 같이 다양한 층위의 ‘성찰’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읽기와 쓰기 두 영역의 균형과 조화를 통한 영역 통합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성찰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매개로 의미를 구성하는 활동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읽기의 비중을 높임과 동시에, 쓰기의 내용 생성 과정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하여, 두 영역의 밀접한 영향 관계를 구체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